$\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 경영주체별 사유림 경영 지원제도의 이용실태 - 독림가, 임업후계자, 일반산주를 대상으로 -
Condition of Use on Management Support System of Private Forest by Forest Ownership Type - Focus on subjects of Sincere forest manager, Forest successor and Forest owner -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4, 2016년, pp.486 - 495  

강진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전준헌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기획과) ,  이성연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전주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초록

본 연구는 산주들을 대상으로 사유림 지원제도 이용 실태를 조사하여 지원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수행하였다. 사유림 경영 지원제도의 인지도에 대해서는 독림가 57.8%, 임업후계자 47.6%인 반면 일반산주는 불과 17.6% 만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경험도 인지도와 마찬가지로 독림가 79.2%, 임업후계자 58.6%인 반면 일반산주는 28.6%로 현저하게 낮은 비율을 보였다. 지원을 신청하기 못한 이유로는 '지원제도를 모름'에 대한 응답이 독림가, 임업후계자, 일반산주 각각 36.1%, 43.0%, 78.6%로 나타난 인지도분석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반면 사유림 경영 지원에 대한 효과정도는 독림가와 임업후계자보다 일반산주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만족도 역시 독림가 28.5%, 임업후계자 36.8%, 일반산주 41.5%로 나타나 오히려 다소 지원횟수가 적은 일반산주에게서 경영전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산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반산주의 적극적인 산림경영을 유도하기 위해서 사유림 지원제도의 인지도 개선이 필요하며, 지자체와 산림조합의 적극적인 홍보대책과 지원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propose the improvement by looking into the use of private forest support system and then analyzing the status of support system and problems among forest owners.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recognition of private forest support system was 57.8% in si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앞서 설명한 농림사업 중 임업 및 산촌분야 지원제도에 대한 이용 실태 조사를 통해 지원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유림의 경영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 지난40년간 정부가 추진한 것은? 합리적인 산림 경영을 위해서는 산림의 규모화가 필요하지만 점차 늘어나는 산림 파편화로 인해 사유림 경영을 위한 기반 여건 환경이 점차 악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유림의 경영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정부는 지난 40여 년 동안 협업경영제도, 대리경영제도, 사유림 경영 대행제도 등 다양한 정책 및 지원을 추진하였으나 효과는 미흡하였다. 또한 조림, 숲 가꾸기, 국내재 생산 등에 투입되는 비용이 상승하고 있음에도 목재가격의 정체가 지속 되는 등 사회적 산림경영 여건은 점차 악화되고 있다.
사유림의 경영 패러다임을 개선시키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는 어떠한 사업을 시행하였는가? 그러나 다행히도 과거에 비해 현재 사유림의 임상조건은 상당히 호전되어 산림경영을 위한 환경적 기반은 마련된 상태이며, 과거의 목재생산중심에서 산림의 복합경영과 6차산업화를 통한 산림소득증대 사업으로 전환되는 사유림의 경영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농림축산식품부는 사회 각 분야별로 농림사업시행을 실시하고 있으며 임업및 산촌 분야에도 경영지원을 하고 있으며, 임업 및 산촌분야는 생산 및 유통개선분야와 산림자원조성분야로 대별되며, 생산 및 유통개선분야는 산림경영계획작성사업, 산림 사업종합자금지원, 산림소득증대사업, 산림바이오매스 확충사업,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 임산물수출사업 등 6개 사업이 해당되며, 산림자원조성분야는 조림, 숲 가꾸기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Kim et al.은 도농 복합 도시 산촌 지역의 사유림 파편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어떤 연구를 수행하였는가? 최근 Kim et al.(2014) 등은 도농 복합 도시 산촌 지역의 사유림 파편 현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유규모별, 소유자 거주지별, 연령별, 용도별, 필지수별 현황을 토지·임야대장 등기부와 주민 청취조사를 통해 사유림 파편화가 임업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수립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Kim et al.(2014) 등은 산림복합경영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산림복합경영에 대한 제도의 개선 및 정책의 변화, 그리고 임업인들의 의식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근에는 우리나라 사유림의 영세성과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로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o, E.H. and Koo, S.H. 1984. An Analysis of Socio-Economic Factors Associated with Private Forest Owners'Knowledge of Forestry Practic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66: 37-44. 

  2. Kim, J.K. 1984. A Cas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ooperative Management by Leading of Forest Owners and Its Extension Syste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67: 17-27. 

  3. Kim, J.K. 1988. Logic of the Cooperative Management for the Private Fores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77(2): 242-251. 

  4. Kim, N.G. 1992. A Study on Landowners Perception of Forest Investment and Incentive Policies for Private Forest Investment.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149. 

  5. Kim, H.S. 2011. A case Study on Improvement Directions and Situations of the Agriculture Support Policy for a Farmhouse Unit. Master's Degree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pp. 92. 

  6. Kim, H.J., Kim, H.H., and Kim, E.G. 2014. Phenomenon of Private Forest Fragmentation in City combined with Functions of Rural and Urban Communitie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8(3): 1-11. 

  7. Kim, H.J., Kim, H.S., and Lee, S.H. 2014. Present Situations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of Agro-foresty in Private Forests of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8(4): 35-45. 

  8. Kim, H.S., Park, S.I., and Lee, S.H. 2015. an Attitude of Forest Owner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Management-Scale Improvement on Private Forest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9(6): 57-63. 

  9. Korea Forest Service. 2013.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pp. 490. (In Korean) 

  10. Seo, Y.W. and Choi, J.C. 2001. Comparison of the Determinants Affecting Forest Investment by the Type of Private Forest Land Owner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0(5): 643-6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