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nges of resistant starch (RS) contents of cooked rice with soybean and coconut oils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and RS cont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rice and cooker types. The japonica (Hopyeong) and the indica (Thailand) type rice were cooked (washed rice: wa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 Ltd, Gyeonggi, Korea)에 12시간 저장한 다음에 급속 동결하여 동결건조를 시켰다. 12시간 냉장된 밥은 전자레인지(M-M270AR, LG Electronics, Seoul, Korea)를 이용하여 40초간 가열하여 뜨거운 상태로 급속냉동 시키고 다른 조건의 시료와 마찬가지로 동결건조하였다. 건조된 시료는 분쇄 후 100 mesh 체를 통과시켜 수분을 측정한 다음 저항전분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 1 mL amyloglucosidase를 넣고 60°C 에서 30분간 100 rpm의 속도로 흔들어주면서 반응시킨 다음에 효소반응을 멈추기 위해 시료 반응액 부피의 4배 무수에탄올을 넣고 실온에 방치하였다. Celite를 약 1 g 넣고 건조하여 항량이 된 유리 crucible(JPG32940FNL, Iwaki Co. Ltd., Tokyo, Japan)을 이용하여 감압여과 하였다. 잔여 물을 78%와 95% 에탄올, 그리고 아세톤의 순서대로 깨끗이 씻고 남은 불용성 잔사를 105°C 오븐(OF-11, Jeio Tech Co.
  • Wi EU 등(2013)의 방법을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시료인 백미 100 g을 물로 3번 씻어 체로 물기를 제거한 다음, 대조군의 밥은 유지 첨가 없이 가수량을 쌀 무게의 1.
  • 저항전분이 가장 많이 형성될 수 있는 저장 조건인 냉장저장을 냉장고(4°C)에서 12시간 실시하였다.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갓 지은 밥과 냉장 저장한 밥, 냉장저장 후 전자레인지로 재가열한 밥을 시료로 급속냉동 시켰고 이를 동결 건조하여 분쇄 후 100 mesh 체를 통과한 다음 분말로 공인된 AOAC 방법 (2000)을 이용하여 저항전분 함량을 비교하였다.
  • ndica형의 장립종을 섭취하고 있다. 국가에 따라 취반 방법이 다르나 본 연구에서는 전기밥솥과 냄비로 일정량의 물을 첨가한 다음 그 물이 쌀의 전분을 호화시켜 밥이 된 다음 뜸들이면서 잦아들게 하는 방법으로 취반하였다. 즉 두 종류의 쌀에 대해 같은 비율, 씻은 쌀에 생쌀기준으로 1.
  • 래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japonica형 일반벼인 호평 쌀과 indica형인 수입산 태국산 쌀을 이용하여 각각 물, 코코넛 오일과 콩기름을 넣고 전기밥솥과 가스 불을 이용한 냄비를 사용하여 밥을 지었다. 저항전분이 가장 많이 형성될 수 있는 저장 조건인 냉장저장을 냉장고(4°C)에서 12시간 실시하였다.
  • 밥 시료는 용기에 담아 냉장고(DY-1142RF, Daeyong E&B CO., Ltd, Gyeonggi, Korea)에 12시간 저장한 다음에 급속 동결하여 동결건조를 시켰다.
  • i EU 등(2013)의 방법을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료인 백미 100 g을 물로 3번 씻어 체로 물기를 제거한 다음, 대조군의 밥은 유지 첨가 없이 가수량을 쌀 무게의 1.3배 가하고 취반하였으며, 유지첨가 시료의 경우 각각 유지 3 g(3%, 쌀 무게 기준)을 넣고 대조군과 같은 가수량으로 25분간 밥을 하고 15분간 뜸을 들였다. 밥은 전기보온밥솥(MW-06RC, Mama Electricity, Seoul, Korea)에 물을 미리 넣고 씻은 쌀과 가수량, 또는 유지를 비커에 담고 알루미늄 호일로 덮은 다음 밥솥에 넣고 취반하였다.
  • 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국내산 japonica형 호평쌀(19.44%)과 수입산 indica형 태국쌀(28.16%)을 이용하여 코코넛 오일과 콩기름을 3%(쌀무게) 첨가하여 전기밥솥과 가스 불을 이용한 냄비로 밥을 지어 갓 지은 밥(NC), 12시간 냉장 저장한 밥(R12), 냉장 저장한 밥을 전자레인지로 데운 밥(R12H)의 저항전분(RS) 함량을 AOAC 방법(2000)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같은 조건으로 밥을 지었을 때 indica형의 태국쌀로 지은 밥은 japonica형 호평쌀밥보다 저항전분 함량이 높았다.
  • 잔여 물을 78%와 95% 에탄올, 그리고 아세톤의 순서대로 깨끗이 씻고 남은 불용성 잔사를 105°C 오븐(OF-11, Jeio Tech Co., Ltd., Daejeon, Korea)에서 건조 후 무게를 측정하여 저항전분 함량(%)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 저항전분이 가장 많이 형성될 수 있는 저장 조건인 냉장저장을 냉장고(4°C)에서 12시간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또한 식이섬유 분석에 사용된 시약인 NaOH, HCl, 99% 알코올은 대정화금(Daejung Chem. & Metals, Co., Gyeonggi,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한 쌀은 백미로 도정된 국내산 japonica 형 호평(Gangjin Nonghyun, Jeonnam, Korea)과 indica형의 수입 쌀(태국산, 태국)로 아밀로오스 함량은 각각 19.44±0.17%와 28.16±0.71%이었다.
  • 유지는 코코넛 오일(EfaGold, pure extra virgin, Nature’s Way Product Inc., Green bay, WI, USA)과 콩기름(Qone Samyang, Seoul, Korea)을 사용하였으며 식이섬유 분석에는 total dietary fiber assay kit(TDF-100A,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를 사용하였으며 heat stable α-amylase(Cat. No. A-3306,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protease(Cat. No. P-3910,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와 glucosidase(Cat. No. A-9913,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Celite(Cat. No. C-8656,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SPSS 12.0K(IBM, Armonk, NY, USA)를 이용하여 평균 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각 변수에 대한 유의성 검정은 ANOVA(Analysis of variance)를 이용하여 Duncan’s multiple-range test로 p<0.05 수준에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 의 종류, 저장조건, 취반 기구 및 첨가 유지종류를 달리한 밥의 RS 함량에 각각 어떤 효과를 주는지 또는 2-4개의 요인이 상호 어떻게 작용하는지 ANOVA를 이용하여 비교 검정한 결과는 Table 2와 같았다. 4개 요인이 각각 밥의 저항전분 함량에 유의적인 주 효과를 나타났다 (p<0.

이론/모형

  • 밥에 함유된 단백질과 회분함량은 유리 crucible(Iwaki Co. Ltd.)을 사용하여 하나는 550°C 회화로(DF-2, Jeio Tech Co., Ltd., Daejeon, Korea)로 회화시켜 회분함량을 측정하였고 나머지 하나는 미량 켈달법으로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저항전분 함량을 계산하였다.
  • 항전분 함량은 총 식이섬유소를 분석하는 AOAC 방법(2000)에 따라 dietary fiber assay kit(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밥 분말시료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분은 무엇인가? 전분은 직선상의 아밀로오스와 분지상의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된 입자형태로 부분적 결정성 고분자로 충분한 물이 있는 조건에서 가열에 의해 무정형고분자로 바뀌는데 이를 호화라 한다. 호화된 전분은 체내 효소에 의해 소화가 되며 저장 중에 적당한 수분상태에서 결정화가 일어나 경도가 증가하고 텍스쳐가 단단하며 부슬거리는데 이를 노화라 한다.
쌀은 쌀알의 형태에 따라 어떻게 구분하는가? 쌀은 세계 3대 작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에서 주식으로 소비하고 있는데 쌀알의 형태에 따라 japonica와 indica형으로 구분한다. japonica형은 동아시아의 나라에서 재배되는 쌀로 쌀알의 형태가 단립 또는 중립종으로 아밀로오스 함량이 낮아 밥을 하면 윤기와 끈기가 있지만 indica형은 동남아시아에서 재배되는 장립종의 쌀로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아 밥이 끈기가 없고 부슬거린다(Kum JS 등 1995, Rani MR & Bhattachrya KR 1995, Park SJ 등 2011).
저항전분은 특성에 따라 각각 어떻게 구분되는가? 인체 내에서 소화효소에 의해 소화되지 않는 전분과 전분유도체를 저항전분이라 하며(Asp NG 1992), 저항전분을 특성에 따라 RS1-RS5로 구분하고 있다(Englyst HN & Cummings JH 1992, Eerlignen RC 등 1993, Dupuis JH 등 2014). RS1은 효소의 접근이 어려운 전분, RS2는 생전분으로 B형의 결정형을 가진 감자, 녹색바나나와 고아밀로오스 옥수수전분이 속한다. RS3는 호화된 전분이 저장 중에 노화된 전분 또는 노화아밀로 오스, RS4는 화학적인 변성에 의해 효소작용이 어려운 전분이며, 최근 RS5로 알려진 아밀로오스-지질 복합체는 가열 중에 전분의 아밀로오스 나선 구조 내부에 지방의 소수성기가 포접되어 형성된 복합체로 효소작용이 어려운 전분 등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noja M. 2015. New low-calorie rice could help cut rising obesity rates. American Chemical Society. Available from: http://www.acs.org/content/acs/en/pressroom/newsreleases/2015/march/new-low-calorie-rice-could-help-cut-rising-obesityrates.html. Accessed June 5, 2015 

  2. AOA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its, 17th ed. Method 991.43 Total dietary fiber enzymatic-gravimetric method. The Association: Gaithersburg, MD, USA 

  3. Asp NG. 1992. Resistant starch. Proceedings from the 2nd plenary meeting of EURESTA: European Flair concerted action no. 11 (COST 911): Physiological implications of the consumption of resistant starch in man. Eur J Clin Nutr 46(Suppl 2):S1 

  4. Choi SY, Shin MS. 2009. Properties of rice flours prepared from domestic high amylose r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1):16-20 

  5. Eerlingen RC, Crombez M, Delcour JA. 1993. Enzyme-resistant starch. I.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fluence of incubation time and temperature of autoclaved starch on resistant starch formation. Cereal Chem 70(3):339-344 

  6. Englyst HN, Kingman SM, Cummings JH. 1992. Classification and measurement of nutritionally important starch fractions. Eur J Clin Nutr 46(Suppl 2):S33-50 

  7. Hasjim J, Lee SO, Hendrich S, Setiawan S, Ai Y, Jane JL. 2010. Characterization of a novel resistant-starch and its effects on postprandial plasma-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Cereal Chem 87(4):257-262 

  8. Hong KH. 2009. Dietary therapy for prevention of atherosclerosis. J Korean Med Assoc 52(3):287-298 

  9. Kim JE, Zhang C, Shin MS. 2015. Forming rice starch gels by adding retrogradaded and cross-linked resistant starch preared from rice starch. Food Sci Biotechnol 24(3):835-841 

  10. Kum JS, Lee CH, Baek KH, Lee SH, Lee HY. 1995. Influence of cultivar on rice starch and cooking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3):365-369 

  11. Lee SK, Hong YH, Shin MS. 1999. The effect of mild-acid treated waxy starches on the yield of resistant starch. Korean J Food Cook Sci 15(4):418-425 

  12. Mun SH, Baek MY, Shin MS. 1997. Effect of amylose conten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resistant star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3):516-521 

  13. Park SJ, Park KW, Shin MS. 2011.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high-yielding japonica and tongil type rice. Korean J Food Cook Sci 27(6):735-743 

  14. Rani MR, Bhattachrya KR. 1995. Microscop of rice starch granules during cooking. Starch/Starke 47(9):334-337 

  15. Shin MS. 1999. Resistant starch. Korean J Human Ecol 2(2):29-38 

  16. Wi EU, Park JH, Shin MS. 2013.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oking quality of Korea origanic rice varieties. Korean J Food Cook Sci 29(6):785-793 

  17. Zhang W, Bi J, Yan X, Wang H, Zhu C, Wang J, Wan J. 2007. In vitro measurement of resistant starch of cooked milled ric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its formation. Food Chem 105(2):462-4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