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급식소와 영양사의 특성이 HACCP 선행요건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of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 and Dietitian on Performance of HACCP Prerequisite Program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1, 2016년, pp.107 - 113  

송윤지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현주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병원 급식소 선행요건 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서울 경인, 대구 경북지역에 위치한 종합병원 규모 100병상 이상 병원 급식소 총 65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통계처리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위탁으로 운영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환경관리(p<0.01), 폐기물관리(p<0.05), 세척 소독관리(p<0.05)에 대한 중요도 평가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개인위생관리 영역의 중요도 평가점수는 300병상 미만인 경우가 300병상 이상인 경우에 비해 중요도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또한 영양사의 조리과정 감독시간이 3시간 이상인 경우가 3시간 미만인 경우에 비해 폐기물관리에 대한 중요도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선행요건 수행도 총점을 종속변수로 하고 선행요건 수행도 총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분석된 영양사의 경력과 조리과정 감독시간, 직무만족도와 병원 급식소의 허가 병상 수와 위생기기 보유율 등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5.9%였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0.172, p<0.001). 회귀분석 결과 선행요건 수행도에는 '영양사의 직무만족도(p<0.001)'와 '위생기기 보유율(p<0.05)'이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병원 급식소 선행요건 관리 수행도 향상을 위해서는 영양사의 직무 만족도 향상을 위한 근무조건 개선과 함께 위생관리에 필요한 기기의 적정 확보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prerequisite program (PRP) performance of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s given to 65 dietitians working in general hospital with ${\geq}100beds$. Importance score of sanitary management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 규모 중 100병상 이상인 병원의 급식소를 대상으로 위생관리 실태와 HACCP 선행요건 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선행요건 관리 개선을 통해 병원 급식소의 위생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그렇지 않다, 2. 일부 그렇다, 3. 대부분 그렇다, 4. 항상 그렇다)로 실시하였고, 위생기기 보유율 조사는 총 27종의 급식 기기와 도구에 대한 보유여부를 조사한 후 각 급식소별로 조사 항목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보유율을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 급식이 위생관리에 더욱 유의해야하는 이유는? 병원 급식은 의료서비스의 일환으로 환자의 질병 치료와 회복을 돕기 위해 제공되어져왔다(Lee SJ 2005). 특히 병원 급식은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므로 급식생산 시 위생관리에 더욱 유의해야 한다. 영양사 직무 비교 분석 연구(Bae HJ 등 2007)에 의하면 병원 영양사의 직무 중 수행도가 높은 직무는 위생관리, 영양 관리 순이었고, 병원 영양사가 중요도가 높다고 평가한 직무는 영양관리, 위생관리 순이었으므로 위생관리는 영양관리와 함께 병원 영양사의 주요 업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병원 급식의 위생관리를 위해 의료기관이 노력하고 있는 것은? 의료기관은 행정관리체계의 감염관리 기준(Korea Institute Healthcare Accreditation 2011)에 따라 조리장·식재료·식기·조리기기 등을 위생적으로 관리하여 감염 발생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더 나아가 병원 급식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적용 등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고 있다. 병원 급식소에 빠른 시일 내에 효과적으로 HACCP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선행요건 관리의 올바른 수행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Bae HJ 등 2012).
병원 급식소가 가지는 문제점은? 안전하고 위생적인 병원 급식에 대한 환자와 보호자의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Gam SO 등 2007, Kim MY 등 2008)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병원 급식소 위생관리 점검결과, 이물 혼입, 조리장 환경 불량,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등을 위반하여 적발된 건이 2009년 104건, 2010년 37건, 2011년 6월까지 78건으로 병원 시설 및 위생관리가 불량한 사례가 총 219건(169곳)이 적발되었을 뿐만 아니라(Korea Pharma Today 2011)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병원 급식소는 사업체나 학교 급식소와 마찬가지로 조리작업 공간이 좁고, 급식소의 작업 동선이 일방향으로 계획되어 있지 않고, 급식 기기 및 환기·공조시설의 부족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Nam EJ & Lee YK 2001, Lee JS 등 2003a, Lee JS 등 2003b, Hong WS & Yoon JY 2003, Kim SO & Oh MS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HJ. 2002. Survey on sanitation practice and the analysis of improvement by implementing HACCP system on foodservice operations. Doctorate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p 86-116 

  2. Bae HJ. 2005a. Evaluation of dietitians' perception of importance about HACCP guidelines in foodservic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11(1):105-113 

  3. Bae HJ. 2005b. Evaluation of dietitians' perception of importance about prerequisite program in foodservic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11(2):233-241 

  4. Bae HJ, Lee HY, Chun HJ. 2007. An assessment of dietitian job task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oodservice operations and dieticians. Korean J Food Cook Sci 23(6): 858-866 

  5. Bae HJ, Paik JE, Joo NM, Youn JY. 2012. HACCP principles and applications for foodservice manager. Gyomoon Publishers, Paju, Korea. pp 74-124 

  6. Gam SO, Park JR, Kim MJ, Lee MK, Shin KH. 2007. The evaluation of hospital foodservice with patients' condition. J Korean Diet Assoc 13(2):101-113 

  7. Hong WS, Yoon JY. 2003. Foodservice employees' sanitation and hygiene practice in school foodservice. Korean J Soc Food Cook Sci 19(4):403-412 

  8. Jeon EK, Bae HJ. 2009. Evaluation of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within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in Gyeongbuk province. Korean J Food Cook Sci 25(1):62-73 

  9. Korea Institute Healthcare Accreditation. 2011. Accreditation standards for healthcare organizations. Available from: http://www.koiha.or.kr/home/data/data/doList.act?boardtype05. Accessed December 28, 2015 

  10. Kim SO, Oh MS. 2005.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mployees in hospital food service. Korean J Home Economics Assoc 43(11):127-140 

  11. Kim MY, Kim KJ, Lee KE. 2008. In-patients' food consumption and perception on foodservice quality at hospitals. J Korean Diet Assoc 14(1):87-96 

  12. Korean Hospital Association. 2012. Hospital list. Available from: http://www.hospitalmaps.or.kr/hm/frHospital/hospital_list_state.jsp?s_mid020100. Accessed December 28, 2015 

  13. Korea Institute Food Safety Management Accreditation. 2012.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Available from: http://www.haccpkorea.or.kr/info/info_04.do?menuM_02_01_04. Accessed December 28, 2015 

  14. Kim SO, Oh MS. 2005.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mployees in hospital food service. Korean Home Economics Assoc 43(11):127-140 

  15. Kim YO, Kim SA, Ly SY. 2006. Perceived performance of sanitary management and HACCP knowledge of foodservice managers in Daejeon. Chungnam J Human Ecol 19(1):111-130 

  16. Lee BD, Kim JH, Kim JM, Kim DW, Rhee CO, Eun JB. 2006.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HACCP system application to hospitals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3):383-387 

  17. Lee JS, Kwak TK, Kang YJ. 2003a. Development of the hospital foodservice facility evaluation tools based on the general HACCP-based sanitation standards and guidelines. Korean J Soc Food Cook Sci 19(4):339-353 

  18. Lee JS, Kwak TK, Kang YJ. 2003b, Development of a hospital foodservice facility plan and model based on general sanitation standards and HACCP guidelines. Korean J Soc Food Cook Sci 19(4):477-492 

  19. Lee KY, Lee HS. 2005. Influences of school food service dietitians'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barriers to HACCP implementation on food sanitation/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in Gyeongbuk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1(2):179-189 

  20. Lee SJ. 2005. Analysis of the effect of dieticians' work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on quality of hospital dietary services. Korean J Nutr 38(9):756-764 

  21. Nam EJ, Lee YK. 2001. Evaluation of sanitary management based on HACCP of business and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J Korean Diet Assoc 7(1): 28-37 

  22. So GS. 2007. Survey on sanitation practice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effect by application of HACCP system, Doctorate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pp 10-36 

  23. Song YJ, Bae HJ. 2013.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bout sanitation management items at general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Food Cook Sci 29(1):63-71 

  24. Korea Pharma Today. 2011. Inspection report of hospital foodservice facilities. Available from: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1&nid145775. Accessed December 28, 2015 

  25. Yoon MY, Lee IS. 2006. Analysis on facilities and basic equipment of school foodservice safety in Pohang area. J Korean Diet Assoc 12(3):264-2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