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ACCP 적용 학교 급식소의 조리종사자 대상 위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ing Foo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Employees at School Foodservice Implementing HACCP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1, 2016년, pp.84 - 92  

이혜연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현주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foo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Methods: Food safety education programs were made into two levels; one for new employees in school foodservice and another for employees in charge of Cr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HACCP을 적용하고 있는 학교 급식소의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HACCP 선행요건 관리 항목뿐만 아니라 CCP 모니터링과 CCP 일지 작성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위생교육 자료를 제작하여 학교 영양사와 HACCP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평가를 통해 위생교육 매체의 유효성을 평가해보았다. 선행연구[25-28]를 참고하여 작성한 교육자료 평가항목(총11개)을 5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보통이다, 4: 그렇다, 5: 매우 그렇다)로 평가한 결과 전체 항목의 평균 평가점수가 3.
  • 학교 급식 위생관리에 대한 선행 연구는 대부분 위생관리 실태[2, 8-13] 및 위생교육 실태[15,17,19]를 조사하거나 학교 급식소 조리시설·설비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분 석[20,21]을 실시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학교 급식종사자 대상 HACCP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개선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 급식소에 효과적으로 HACCP을 적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학교 급식 조리종사자의 HACCP 수행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위생교육 교육 매체를 개발하고 전문가 평가를 통해 교육 매체의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5년 간 보고된 학교 급식소 식중독의 주요 원인물질별 발생 건수는 어떻게 되는가? 5%)이었다. 또한 최근 5년 간 보고된 학교 급식소 식중독의 주요 원인물질별 발생 건수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병원성 대장균이 67건, 노로바이러스가 65건, 캠필로박터 제주니가 20건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5].
학교 급식소에 HACCP을 도입한 이후에도 학교 급식 위생관리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러나 선행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학교 급식소에 HACCP을 도입한 이후에도 학교 급식 위생관리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학교 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이 높지 않고 위생관리 수행도가 미흡하였으며[2, 7-11], 학교 급식시설 및 설비·용기 등의 위생관리가 소홀하였고 [12,13], 위생관리 관련 급식시설·설비 구비 및 활용이 부 족하였고[14-18], 급식종사자의 위생교육·훈련이 부족한 점[15,17] 등이 학교 급식소 위생관리의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우리나라의 학교 급식의 실정은 어떠한가? 학교 급식은 학생의 건전한 심신 발달과 국민 식생활 개선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학교 또는 학급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다[1]. 우리나라의 학교 급식은 양적으로는 빠른 성장을 이루었으나 급식대상자의 급식만족도가 높지 않고 식중독 사고가 연중 발생하고 있으므로 지속적인 질적 개선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2-4]. 최근 5년간(2011∼2015년)의 식중독 발생 동향을 살펴보면 전체 식중독 발생 건수는 총 1,533건, 발생 환자 수는 총 32,455명으로 이 중 직영과 위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학교 급식소에서 발생한 식중독 발생 건수는 총 228건(전체의 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 law [Interne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3 [cited 2015 Dec 30]. Available from: http://www.moleg.go.kr. 

  2. Kim GM, Lee SY.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sanitary education -Seoul, Gyeonggi, Kangwon and Choongchung area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5): 576-589. 

  3. Kim EJ, Choi JH, Kwak TK. Analysis of microbiological hazards to determine S. aureus contamination levels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 Food Cook Sci 2009; 25(3): 365-378. 

  4. Kim YH, Lee YK. A survey of receiving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Korean J Food Preserv 2012; 19(4): 611-618. 

  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borne poisoning statistics (2011-2015)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cited 2016 Jan 30].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main. 

  6. Kim GM, Lee SY. A study on the sanitation management status and barriers to HACCP system implementation of school foodservice institutio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3): 405-417. 

  7. Hong WS, Yim JM, Choi YS. Sanitary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Seoul. Korean J Diet Assoc 2008; 14(4): 382-395. 

  8. Jeon EK, Bae HJ. Evaluation of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within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in Gyeongbuk province. Korean J Food Cook Sci 2009; 25(1): 62-73. 

  9. Chang HW, Bae HJ. Assessment of food sanitation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foodservice workers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mplementing HACCP. Korean J Food Cook Sci 2010; 26(6): 781-790. 

  10. Kim GM, Lee SY. Analysis of TQM-based HACCP system and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in middle and high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Seoul, Gyeonggi, Incheon, Kangwon and Chungcheong areas in Korea-. Korean J Diet Assoc 2011; 17(1): 72-90. 

  11. Lee HY, Chang HW, Bae HJ.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bout sanitation management items performed by school food service workers. Korean J Food Cook Sci 2011; 27(1): 21-31. 

  12. Kwon SH, Lee HO, Chung DH, Shin WS, Om AS. The seasonal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for application of HACCP system to the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Korean J Soc Food Cook Sci 2003; 19(5): 647-658. 

  13. Kim SA, Yi HC, Kim EM, Lee MA, Park JA, Kim JW. Assessment of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as foodservice environments. Korean J Soc Food Cook Sci 2007; 23(3): 321-326. 

  14. Seo HY, Jung BM. Comparison of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the employee feeding operations of Jeonnam and Chungchong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2): 191-203. 

  15. Park SH, Lim YH. A study on the sanitary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Daejeon and Chungnam.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2): 234-242. 

  16. Lee KE, Lee HS. Influences of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barriers to HACCP implementation on food sanitation/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in Gyeongbuk province. Korean J Diet Assoc 2005; 11(2): 179-189. 

  17. Soh GS, Kim YS, Shin DH. A survey on the sanitary management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J Fd Hyg Safety 2007; 22(1): 63-75. 

  18. Lee JH, Goh YK, Park KH, Ryu K. Assess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for school foodservice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3): 310-321. 

  19. Kwak TK, Lee KM, Chang HJ, Kang YJ, Hong WS, Moon HK. Analysis of critical control points through field assessment of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Korean J Soc Food Cook Sci 2005; 21(3): 290-300. 

  20. Kim YS, Jeon YS, Han JS. Inhibition effect of sanitizers against E. coli and a hygienic condition on the surface of utensils and equipments used to food serv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2; 31(6): 965-970. 

  21. Kim JH, Kim YS, Han JS. Seasonal changes of microbiological counts and sanitation state on the surface of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 33(10): 1653-1660. 

  22. Bae HJ, Lee HY. Importance evaluation about the remedies for improvement of sanitation management by foodservice managers.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2): 266-274. 

  23. Ministry of Education. Food safety manual for 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 [Internet]. 2010 [cited 2015 Dec 30]. Available from: http://www.moe.go.kr/main.do. 

  24. Lee HY. Verification of the HACCP system and developing remedies for improving foodservice quality at 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s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2014. 

  25. Lee HY, Yang IS, Kang YH, Kim HY. How can we develop and make use of the quality assessment tool of web-based instruction (WBI) for nutrition education? Korean J Nutr Health 2004; 37(4): 310-315. 

  26. Jung HA. The development of web-based education program for foodservice managers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5. 

  27. Park YH, Kim HH, Shin EK, Jun SY, Lee YK.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anitation education media for restaurant employers and employees. Korean J Diet Assoc 2008; 14(2): 139-151. 

  28. Ahn HS, Ku BS, Lee SM. Systematic evaluation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Korean nutrition education websites. Korean J Diet Assoc 2008; 14(3): 218-228. 

  29. Yang HS, Han EH, Sohn HS, Rho JO. A study on the sanitary education program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Jeonju. Korean J Human Ecol 2006; 9(3): 81-87. 

  30. Um YH. A study on actual sanitary management conditions and education plan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orean J Culin Res 2010; 16(3): 237-249. 

  31. Hong WS, Yim JM. Evaluation of foodservice employees' sanitary performance and sanitary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Korean J Diet Assoc 2009; 15(2): 113-127. 

  32. Yoon JY, Moon HK. Perception of hygiene education and food safety knowledge among new restaurant owners -focused in Gyeongnam area- Korean J Diet Assoc 2007; 13(3): 265-276. 

  3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Educational materials for prevention of the foodborne outbreaks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cited 2015 Dec 30].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fm/article/list.do?boardKey22&menuKey146. 

  34. Garayoa R, Vitas AI, Leturia MD, Jalon IG. Food safety and the contract catering companies: food handlers, facilities and HACCP evaluation. Food Control 2011; 22(12): 2006-2012. 

  35. Strohbehn CH, Gilmore SA, Sneed J. Food safety practices and HACCP implementation: perceptions of registered dietitians and dietary managers. J Am Diet Assoc 2004; 104(11): 1692-1699. 

  36. Bae HJ, Paik JE, Joo NM, Youn JY. HACCP principles and applications for foodservice manager. 1st ed. Paju: Kyomunsa; 2012. p. 236-2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