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지하수 취수원 현황 및 지하댐 활용 방안 원문보기

물과 미래 : 한국수자원학회지 = Water for future, v.49 no.1, 2016년, pp.8 - 28  

김형수 (중원대학교 신재생에너지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국내 수도 취수원에 대한 지하수의 미미한 역할이 국내의 지형 및 지질 혹은 수리수문학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인지 아니면 지나치게 지표수 위주 개발의 수도 정책의 결과인지를 개관적으로 평가하고 검토하는 것은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확보에 대한 어려움을 대처하고 앞으로 국민에게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수자원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공공 수도에서 지하수 역할에 대한 자료를 조사, 검토하고 국내 수도 취수원에 대한 다양한 취수원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양호한 대수층 혹은 지하댐 등 인공적인 시설을 연계한 지하수 확보방안을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수가지방상수도 규모 이상의 일반 수도에서도 취수원 역할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전력사업자에게 RPS 제도를 통해 일정 비율 이상의 신재생에너지를 확보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특정 규모 이상의 수도사업자가 의무적으로 지표수 이외의 취수원을 확보하는 방안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지하수가지방상수도 규모 이상의 일반 수도에서도 취수원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정책 검토가 필요하다. 이러한 수도 취수원 개선 노력은 가뭄 등 기후변화 시, 수도공급 차질에 따른 파급 효과를 최소화하는 현명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지하수 연간 이용량은? 국내 지하수 연간 이용량은 약 37억m3으로 수자원 총이용량 333억m3톤 대비 약 11%에 해당된다(국토해양부, 2011).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세계평균 강수량에 비해 약 1.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세계평균 강수량에 비해 어떠한가? 국내 지하수 연간 이용량은 약 37억m3으로 수자원 총이용량 333억m3톤 대비 약 11%에 해당된다(국토해양부, 2011).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세계평균 강수량에 비해 약 1.6배이지만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우리나라의 1인당 강수총량은 세계 평균의1/6에 불과한 상황을 고려할 때, 지하수는 우리 국민들에게 적지 않은 기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하수 개발은 주로 공공기관의 개발이 아닌 개인적인 용도의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고 그 결과,개별 공당 일 평균 이용량이 7m3 (국토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14) 안팎으로, 현재의 지하수 정호설치 기술을 고려할 때 지극히 비상식적이며 기형적인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2002). 지하댐 개발방안 수립조사 보고서 

  2. 국토해양부 (2011). 수자원장기종합계획 

  3. 국토해양부.한국수자원공사(2012) 도서 해안지역 지하수 확보 방안 기본조사 보고서 

  4. 국토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2014). 2014 지하수 조사연보 

  5. 김형수 (2015). "장기적 수도 취수원으로서의 지하수의 역할", 국회환경포럼, 한국지하수토양 

  6. 환경학회, 한국지하수지열협회 가뭄대책특별심포지움 발표자료집,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7. 농어촌진흥공사 (1996). 소유역 지하댐 개발에 관한 기술개발 연구, 421.p 

  8. 한국수자원공사 (1999). 지하수 함양 및 활용증대방안 연구, 198p. 

  9. Hanson, G. & Nilsson, A. (1986). "Groundwater dams for rular-water supplies in developing countries", GROUND WATER, Vol.24, No. 4. pp. 497-506, 

  10. Huisman, L. & Olsthoorn, T. N. (1983). Artificial Groundwater Recharge, Pitman Press, 320p 

  11. Japan Green Resources Agency (J-Green) (2006). "Guide to Water Resources Development Using Subsurface Dams" (unpublished) 

  12. Maupin, M. A., Kenny, J. F., Hutson, S. S., Lovelace, J. K., Barber, N. L. and Linsey, K. S., (2014)., Estimated Use of Water in the United States in 2010, USGS Circular 1405, 56p 

  13. Nilsson, A. (1988). Groundwater Dams for Small-Scale Water Supply, Intermediate Technology Publications, 69p 

  14. Technical Committee on Groundwater Dams (TCGD) (2009) Lists of groundwater dams, International Commission on Large Dams-ICOLD 2009 (unpublished) 

  15. UNESCO (2004). Groundwater Resources of the World and Their Use, Editors Zekster, I. S. & Everrett, L. G., 346p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