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신지역지리학 : (2) 지리학 분야별 지역 연구 동향과 과제
New Regional Geography in Korea : (2) Trends and Issues of Regional Research in Major Subfields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2 no.1, 2016년, pp.1 - 24  

최병두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2000년대 이후 한국의 신지역지리학의 발달 배경 및 종합적 연구 동향에 관한 앞선 논문에 이어서, 인문지리학의 주요 전공분야들에서 이루어진 경험적 지역 연구의 동향과 과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장소와 경관에 관한 역사문화지리학, 산업지구(또는 클러스터)에 관한 경제지리학, 도시 네트워크와 분화에 관한 도시(사회)지리학에서 지역이 어떻게 연구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각 전공분야들에서 연구자들은 지역을 지칭하기 위해 각기 다른 용어들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역의 특수성을 보편적 과정과 관련시키고, 본질적 실체이지만 또한 담론적 구성물로 이 해하며, 영역성보다는 네트워크나 관계성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러한 공통점들은 기존의 전통적 지역연구에서 벗어나 신지역지리학의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지역 연구에서 지역의 개념화를 위한 주요 과제로, 특수성/보편성, 실체성/구성물, 그리고 영역성/관계성의 이분법을 극복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지역에 관한 경험적 연구의 주요 이슈로 새로운 관점에서의 지역적 종합, 지역 내 외적 관계로서 지역불균등발전, 그리고 대안적 지역 만들기 등이 제시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to consider trends and issues of regional research in major sub-fields of human geography in Korea, following the previous one which dealt with contexts and general trends of new regional geography in Korea since the 2000s. They include historical and cultural geography on place and l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리학에서 지역에 대한 연구가 재활성화된 배경은? 지리학의 연구 대상은 물론 지역이지만, 특히 지리학에서 지역 연구가 재활성화된 것은 1990년대 이후 이른바 ‘신지역지리학’의 등장과 발전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리학에서 신지역지리학에 관한 논의는 주로 거시적 사회이론이나 보편적 관점에서 제시된 연구방법론에 머물러 있고, 실제 ‘신지역지리학적’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추진된 경험적 연구는 거의 없었다.
지리학 외의 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지리학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최근 지리학뿐만 아니라 다른 학문 분야들에서 지역(공간, 장소, 도시, 로컬리티 등 다양한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지만)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이는 오늘날 자본주의 경제의 지구화 과정과 교통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전개되는 경제・정치적 재편과 사회・문화적 변화가 우리의 삶이 영위되는 지역에 근본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역은 새로운 경관과 장소성 또는 정체성을 가지거나, 경쟁력을 가진 새로운 혁신지구 또는 산업집적지로 변모하거나 (또는 반대로 쇠퇴・침체지역으로 전락하거나), 변화한 도시체계 속에서 새로운 사회공간적 관계로 재편된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지역의 개념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이는 오늘날 자본주의 경제의 지구화 과정과 교통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전개되는 경제・정치적 재편과 사회・문화적 변화가 우리의 삶이 영위되는 지역에 근본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역은 새로운 경관과 장소성 또는 정체성을 가지거나, 경쟁력을 가진 새로운 혁신지구 또는 산업집적지로 변모하거나 (또는 반대로 쇠퇴・침체지역으로 전락하거나), 변화한 도시체계 속에서 새로운 사회공간적 관계로 재편된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5)

  1. 강민정.권상철, 2007, 제주도 도시화의 공간적 특성: 인구와 지가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3), 55-67. 

  2. 공윤경, 2013, 농촌에서 도시로의 공간구조 변화와 특성 - 부산 북구 화명동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1), 97-110. 

  3. 구동회, 2004, 도시문화 전략으로서의 장소 마케팅과 삶의 질, 국토지리학회지, 38(3), 215-226. 

  4. 구동회, 2013, 부산 대도시권의 통근권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8(4), 533-544. 

  5. 구양미, 2002, 구로공단(서울디지털산업단지) 산업구조개편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39, 1-48. 

  6. 구양미, 2012, 서울디지털 산업단지의 진화와 역동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8(3), 283-297. 

  7. 권오혁, 2006, 신지역주의 비판에 대한 반론, 국토계획, 41(1), 21-40. 

  8. 권오혁, 2009, 네트워크도시의 이론적 검토와 동남권에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3), 277-290. 

  9. 권오혁.윤영삼.최홍봉, 2005, 부산지역 기계금속 산업의 네트워크분석과 경쟁력 제고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543-558. 

  10. 권정화, 2001, 부분과 전체: 근대 지역지리 방법론의 고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4), 81-92. 

  11. 김걸, 2007,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원인과 설명요인,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1), 37-49. 

  12. 김광선, 2000, 학습지역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동대문시장 지역을 사례로, 공간과 사회, 13, 94-126. 

  13. 김광익, 2009, 서울대도시권의 통근권 변화 특성, 국토지리학회지, 43(4), 571-586. 

  14. 김광익, 2010, 시도간 통행 및 산업연계 분석을 통한 광역권역 구분, 국토지리학회지, 44(4), 525-536. 

  15. 김덕현, 2007, 중소도시의 지역만들기 방향: 진주시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1), 11-17. 

  16. 김숙진, 1999, 장소 마케팅을 통한 지역 활성화에 관한 연구 - 고양시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34(2), 209-225. 

  17. 김재행.장성민.장영원.남영우, 2009, 수원시 등질 지역의 구조적 변화: 1995-2005,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2(1), 45-63. 

  18. 김주영, 2003, 네트워크도시이론을 적용한 도시의 효율성 분석, 국토연구, 38, 63-78. 

  19. 김준우.안영진, 2006, 한국 경제자유구역의 개발 배경과 동인 - 인천 송도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3), 79-87. 

  20. 김학희, 2007, 문화소비공간으로서 삼청동의 부상: 갤러리 호황과 서울시 도심 재활성화 전략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2), 127-144. 

  21. 남기범, 2003, 서울 신산업집적지 발전의 두 유형: 동대문시장과 서울벤처벨리의 산업집적,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제도화 특성에 대한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6(1), 45-60. 

  22. 남기범, 2005, 지역산업군집의 혁신환경: 대전 생물벤처산업과 부천 조립금속산업을 대상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8(1), 1-16. 

  23. 노승철,심재헌,이희연, 2012, 지역간 기능적 연계성에 기초한 도시권 설정 방법론 연구, 15(3), 23-43. 

  24. 류주현, 2005, 서울시 사업서비스업의 공간적 분포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8(3), 337-350. 

  25. 문남철, 2004, 전북지역 자동차산업 입지와 지역산업 실태 및 발전 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2), 261-281. 

  26. 박경숙.이철우, 2007, 대구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사슬체계와 경영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2), 171-186. 

  27. 박경숙.이철우, 2010, 클러스터의 가치사슬 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대구문화콘텐츠산업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4), 601-622. 

  28. 박경환, 2009, 광주광역시 초국적 다문화주의의 지리적 기반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2(1), 91-108. 

  29. 박경환, 2014, 글로벌 시대 인문지리학에 있어서 행위자 - 네트워크이론의 적용 가능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1), 57-78. 

  30. 박래현, 2005, 서울시 제화산업의 집적 특성 및 혁신환경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40(6), 653-670. 

  31. 박배균, 2010, 장소마케팅과 장소의 영역화: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498-513. 

  32. 박배균.김동완, 2013, 국가와 지역: 다중스케일 관점에서 본 한국의 지역, 알트. 

  33. 박배균.정건화, 2004, 세계화와 '잊어버림'의 정치: 안산시 원곡동의 외국인 노동자 거주지역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4), 800-823. 

  34. 백영기, 2006, 지역경제발전에서의 경쟁, 협력 및 혁신 네트워크: 전북의 경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9(3), 459-472. 

  35. 박선미, 2007, 인천의 장소 만들기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3), 13-25. 

  36. 백선혜, 2004,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 도입과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대한지리학회지, 39(6), 888-906. 

  37. 손승호, 2003, 수도권의 통근통학통행과 지역구조의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6(1), 69-83. 

  38. 손승호, 2011, 인천시 공간상호작용의 변화에 따른 기능지역의 재구조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4(3), 87-99. 

  39. 손용택, 2004, 여주의 경제지리 변화: 토지이용, 주민생활 실태, 생활공간의 입지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2), 283-296. 

  40. 손정렬, 2011, 새로운 도시성장 모형으로서의 네트워크도시 - 형성과정, 공간구조, 관리 및 성장 전망에 대한 연구 동향, 대한지리학회지, 46(2), 181-196. 

  41. 송희은, 2007, 창경궁의 장소성과 상징적 의미의 사회적 재구성, 문화역사지리, 19(2), 24-44. 

  42. 신성희, 2013, 비공간적 문화컨텐츠의 지역화와 문화지리 읽기: 전주지역 음악축제를 사례로, 문화역사지리, 25(3), 64-78. 

  43. 심승희.한지은, 2006, 압구정동.청담동 지역의 소비문화경관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1), 61-79. 

  44. 윤옥경, 2008, 도시 지역 마을만들기의 사례와 시사점: 대구 삼덕동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5), 466-479. 

  45. 이경민.이철우, 2007, 성서산업단지 활성화 정책의 거버넌스 특성과 평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5), 509-525. 

  46. 이경진, 2011, 지역자원기반산업의 가치사슬 상의 기업활동 네트워크 - 순창 장류산업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46(2), 351-365. 

  47. 이나영.안재섭, 2014, 서울 서촌지역의 문화적 도시재생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1), 15-27. 

  48. 이무용, 2009, 장소마케팅 전략의 지역믹스 유형 분석과 시론적 모델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2), 226-249. 

  49. 이선영.주경식, 2008, 젠트리피케이션 과정으로서 용산 재개발 지구의 근린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3), 113-123. 

  50. 이영민, 1999, 지역정체성 연구와 지역신문의 활용 - 지리학적 연구주제의 탐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5(2), 1-14. 

  51. 이영민, 2001,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장소의 역사, 지리적 의미의 재구성 - 인천 구도심지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4(2), 1-13. 

  52. 이영민, 2006, 서울 강남지역의 사회적 구성과 정체성의 정치: 매스미디어를 통한 외부적 범주화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1), 1-14. 

  53. 이영민, 2008, 서울 강남 정체성의 관계적 재구성 과정 연구: 지역 구성원들의 내부적 범주화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3), 1-14. 

  54. 이영아, 2009, 지역역량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민참여 요소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2), 261-272. 

  55. 이용균, 2005, 국제자유도시 제주의 장소마케팅 추진방안, 8(3), 21-34. 

  56. 이용균, 2007, 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네트워크의 특성: 보은과 양평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2), 35-51. 

  57. 이용균, 2013, 이주자의 주변화와 거주공간의 분리 - 주변화된 이주자에 대한 서발턴 관점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3), 87-100. 

  58. 이은숙.정희선.장은미, 2007, 문학공간을 활용한 장소마케팅 방안: 종로지역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41(1), 53-65. 

  59. 이재하, 2003, 세계도시지역론과 그 지역정책적 함의, 대한지리학회지, 38(4), 572-586. 

  60. 이재하, 2007, 살기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1), 1-10. 

  61. 이전, 2014, 한국 지리학계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에 대한 고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1), 1-15. 

  62. 이정협, 2008, 울산 자동차클러스터의 형성과 발전 전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8. 

  63. 이정협.김형주, 2009, 대구경북 모바일 클러스터 육성전략: 지역혁신 거버넌스의 대안 모색,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4), 477-483. 

  64. 이종호, 2003, 학습,혁신 그리고 지역경제발전: 연구동향 및 쟁점, 지리학논구, 23, 315-326. 

  65. 이종호.이철우, 2008, 집적과 클러스터: 개념과 유형 그리고 관련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3), 302-318. 

  66. 이철우, 2011, 대도시 도심 제조업 집적지의 형성 과정과 존립기반: 대구시 수제화 산업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4), 506-523. 

  67. 이철우, 2013, 산업집적에 대한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지리학 연구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8(5), 620-650. 

  68. 이철우.박민정, 2009, 거문도의 근대적 어업 기술 도입에 따른 지역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4), 435-448. 

  69. 이철우.이종호, 2000, 창원산업지구의 비즈니스 네트워크와 뿌리내림, 지리학논구, 20, 84-112. 

  70. 이철우.이종호, 2004, 지방대도시 벤처생태계의 제도적 및 문화적 환경: 대구지역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1), 1-27. 

  71. 이철우.이종호.박경숙, 2010, 새로운 지역혁신 모형으로서 트리플 힐릭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335-353. 

  72. 이희연, 2005, 세계화 시대의 지역연구에서 장소 마케팅의 의의와 활성화 방안, 한국도시지리학회지, 8(2), 35-53. 

  73. 이희연.김홍주, 2006, 서울대도시권의 통근 네트워크 구조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1), 91-111. 

  74. 임병조, 2009, 지역정체성의 구성과 제도화 - 홍성 신문에 투영된 '내포' 만들기, 대한지리학회지, 44(1), 89-104. 

  75. 임영훈.박삼옥, 2006, 광주 광(광)산업 집적지의 형성과 그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9(3), 273-296. 

  76. 장미화.한주성, 2009, 충북 음성군 접목선인장의 글로벌 상품사슬, 대한지리학회지, 44(1), 56-76. 

  77. 장영진, 2006,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업지역의 성장과 민족 네트워크 - 안산시 원곡동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5), 523-539. 

  78. 전종한, 2009, 도시 뒷골목의 '장소 기억': 종로 피맛골의 사례, 대한지리학회지, 44(6), 779-796. 

  79. 전종한, 2011, 근대 이행기 경기만의 포구 네트워크와 지역화 과정, 문화역사지리, 23(1), 95-118. 

  80. 전종한, 2013, 도시 '본정통'의 장소 기억: 충무로.명동 일대의 사례, 대한지리학회지, 48(3), 433-452. 

  81. 정준호, 2006, 경로의존성과 지역발전경로: 안산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힉학회지, 9(3), 410-430. 

  82. 정치영, 2007, 문화.역사지리학에서 지역문화 연구의 동향과 과제, 정신문화연구, 30(3), 63-89. 

  83. 정희선, 2004, 종교공간의 장소성과 사회적 의미의 관계: 명동성당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7(1), 97-110. 

  84. 정희선, 2009, 경관 재구조화에 의한 장소의 경제적 가치 재생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동대문운동장의 사례, 대한지리학회지, 44(2), 161-175. 

  85. 정희선, 2012, 근대산업시설에 투영된 장소성: 당인리 발전소를 둘러싼 갈등의 이해, 문화역사지리, 24(2), 123-137. 

  86. 조성욱, 2006, 도시주변 면단위 행정구역의 지역변화 - 전라북도 조촌면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1), 59-71. 

  87. 조일환, 2013, 지역 이미지, 리얼리티 그리고 지역 정체성의 혼란 - 화성 동탄 신도시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4), 697-711. 

  88. 조현미, 2006, 외국인 밀집지역에서의 에스닉 커뮤니티의 형성 - 대구시 달서구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5), 540-556. 

  89. 진종헌, 2012, 산업유산과 지역발전에 대한 문화지리학적 연구 - 태백시 철암지역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46(3), 287-299. 

  90. 진종헌.신성희, 2006, 도시 정체성 형성을 위해 '과거'의 선택적 복원 과정: 인천시의 '만국공원' (현 자유공원) 복원론을 사례로, 지리학연구, 40(2), 241-255. 

  91. 최병두, 2002, 현대 사회에서 장소성의 상실과 복원, 도시연구, 8, 253-278. 

  92. 최병두, 2005, 지역문화환경 발굴을 통한 지리연구와 지역발전 방법론,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1), 1-18. 

  93. 최병두, 2006, 살기 좋은 도시를 위한 지역공동체 복원방안, 국토지리학회지, 40(4), 513-528. 

  94. 최병두, 2008, 도시발전 전략에 있어 정체성 형성과 공적 공간의 구축에 관한 비판적 성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5), 604-626. 

  95. 최병두, 2012a, 자본의 도시: 신자유주의적 도시화와 도시정책, 한울. 

  96. 최병두, 2012b, 역사적 경관의 복원과 장소 정체성의 재구성, 공간과 사회, 42, 92-135. 

  97. 최병두, 2014, 한국의 신지역지리학: (1) 발달배경, 연구 동향과 전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4), 357-378. 

  98. 최병두, 2015a, 네트워크도시 이론과 영남권 지역의 발전 전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1(1), 1-20. 

  99. 최병두, 2015b, 행위자-네트워크이론과 위상학적 공간 개념, 공간과 사회, 25(3), 125-172. 

  100. 최은영, 2006, 차별화된 부의 재생산 공간, 강남의 형성 - 아파트 가격의 시계열 변화(1989-2004)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1), 33-45. 

  101. 최재헌, 1998, 세계화 시대의 도시지리 연구를 위한 글로벌 패러다임의 쟁점과 연구동향,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 31-46. 

  102. 최재헌, 2002, 1990년대 한국도시체계의 차원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5(2), 33-49. 

  103. 한주성, 2001, 로컬리티로서 대덕연구단지의 노동시장 특성과 공간적 네트워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2), 35-54. 

  104. 홍금수, 2004, 안성지방 지역정체성의 분열과 그 원인, 문화역사지리, 16(1), 287-313. 

  105. 홍금수, 2007, 근대형 지역구조로의 이행과 지역 패권의 선점을 위한 도시 담론의 동원, 91-124. 

  106. 홍금수, 2009, 경관과 기억에 투영된 지역의 심층적 이해와 해석, 문화역사지리, 21(1), 46-94. 

  107. 홍금수.김수진.김태형, 2012, 도시 공간 속의 촌락: 중계본동 '104마을' 서민경관의 퇴락, 문화역사지리, 24(1), 50-75. 

  108. 황주성, 2004, 대덕 IT 클러스터의 구조와 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3), 359-384. 

  109. Amin, A., 2004, Regions unbound: towards a new politics of place, Geografiska Annaler 86B, 33-44. 

  110. Harvey, D., 2006, Spaces of Global Capitalism: Towards A Theory of Uneven Development, Verso, London. 

  111. Harvey, D., 2009, Cosmopolitanism and Geographies of Freedom, Columbia Univ. Press, New York, 

  112. Jones, M. and MacLeod, G., 2004, Regional spaces, spaces of regionalism: territory, insurgent politics and English question,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29, 433-452. 

  113. MacLeod, G. and Jones, M., 2007, Territorial, scalar, networked, connected: in what sense a 'regional world'? Regional Studies, 41(9), 1177-1191. 

  114. Massey, D., 1994, Space, Place and Gender, Univ.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115. McCann, E. and Ward, K., 2010, Relationality/territoriality: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cities in the world, Geoforum, 41, 175-1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