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밀폐공간 질식재해 자료 분석을 통한 질식재해 요인 분석 (2005-2015)
Analysis of Suffocating Accidents in Confined Spaces in the Past 10 Years (2005-2015)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6 no.4, 2016년, pp.436 - 444  

이정완 (창원대학교 친환경해양플랜트FEED공학과) ,  김태형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하현철 ((주)벤텍) ,  박승욱 ((주)벤텍) ,  안광석 (위스콘신 주립대 산업보건안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Despite recent efforts to prevent suffocation disasters, a number of confined space accidents still happen and each year deaths continue to occur.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on the dangers of various potential disaster sites, such as manholes, septic tanks, reactors, and oth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생한 질식재해 사고사례를 통계 분석하여 기인물질 및 발생장소 특성별로 세분화 하여 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밀폐공간의 특징을 분석하고자한다. 통계분석을 통해 작업별, 물질별 위험성을 파악하고, 재해원인을 파악하여 국내에서 발생하는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활동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생한 질식재해 사고사례를 통계 분석하여 기인물질 및 발생장소 특성별로 세분화 하여 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밀폐공간의 특징을 분석하고자한다. 통계분석을 통해 작업별, 물질별 위험성을 파악하고, 재해원인을 파악하여 국내에서 발생하는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활동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밀폐공간에서의 질식재해 발생 장소는? 밀폐공간에서의 질식재해는 주로 피트, 맨홀, 탱크, 반응탑, 정화조, 침전조, 집수조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산소결핍, 일산화탄소, 황화수소, 불활성가스 등 기타 유해가스와 같은 물질에 의해 발생한다. 작업장소 형태, 기인물질 종류 등 다양한 사고 원인이 있지만 사고 유형에 따른 정보가 부족하고, 작업별 특성에 따른 세분화된 연구가 미흡하여 밀폐공간에서의 질식재해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선진외국(일본, 미국 등)의 밀폐공간 질식재해 분석을 위해 어떠한 자료를 사용했는가? 주요 선진외국(일본, 미국 등)의 밀폐공간에 대한법 및 질식재해 사고 사례를 정리 하고, 질식재해 현황을 통계 분석하여 국내의 질식재해 사고 사례와 비교하였다. 미국의 밀폐공간 질식재해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NIOSH(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와 OSHA(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의 FACE(Fatality Assessment and Control Evaluation)프로그램을 통해 171건의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일본의 경우는 일본 후생노동성의 자료를 참고하였다. 일본 후생노동성의 통계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1989년~2014의 산소결핍증과 황화수소중독에 의한 재해발생 현황을 파악할 수 있고 년도별, 월별, 업종별 발생현황을 알 수 있다.
밀폐공간이란? 밀폐공간이라 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18조의 별표 18에 의거하여 산소결핍이나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 및 화재, 폭발 등에 의한 사고의 위험이 있는 장소로 정의할 수 있다. 밀폐공간은 산소농도가 18%미만 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 Threshold Limit Values(TLVs) for Chemical Substances and Physical Agents and Biological Exposure Indices(BEIs). 2007 

  2. Damien.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Approach to Managing Confined Space Entry. Journal of Occup 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4;11:485-498 

  3. Gobchok Wuthichotwanichgij, Alan F. Geater. Low-Ox ygen Atmosphere and its Predictors among Agricul tural Shallow Wells in Northern Thailand. Safety and Health at Work. 2016;6(1):35-38 

  4. Japanese Ministry of Health. Oxygen Deficiency Prevention Rule. 2003 

  5.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Technical Guidelines for Enforcement of Confined Space Health Work Program. KOSHA Code H-80-2012.2012 

  6.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Guidance on the Record and Classification of Industrial Accidents. KOSHA Code G-8-2006.2006 

  7.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Confined Space Work Choking Disaster Prevention Manual. 2014 

  8.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Confined-Space Work Choking Disaster Prevention Manual. 2015 

  9.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Confined-Space Work Choking Disaster Prevention Manual. 2016 

  10.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Confined-Space Prevention of Choking Disaster. 2011 

  11. Ministry of Labor. Regulations on Occupational Health Standards. 2009 

  12.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 2007 

  13.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OSHA). Permit-required spaces. Available from:URL: https://www.osha.gov/pls/oshaweb/owadisp.show_document?p_tableFEDERAL_REGISTER&p_id13871 

  14. Park CK, Kim MG, Kim HC, Ahn BG, Park MS(et al.).Etiology and Radiologic Findings of Anoxia Occured at Dan-Mu-Ji(Salted Radish in Rice Bran) Manufacture: A Case Report and Results of Gas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1994;31(1):81-84 

  15. Suruda, pettit, Noonan, Ronk. Deadly rescue: The confined space harzard.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994;36:45-53 

  16. Sujit Dahal. Evaluation of forced-ventilation strategies to remove toxic gases from confined space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hesis(M.A.)-Chang won university 2016 

  17. Yoo KM, Park HH, Jung GJ. Study for Identifying and Assessing Hazardous Conditions in Confined Spac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OSHA. 2008 

  18. Yoo KM, Park HH, Jung GJ. A Study on Statistics for Accidents in Confined Space in Korea.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09;19(4):363-369 

  19. Yang HS, Bang SS, Kang KS. Control and status of Industries with Confined Spac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2003(a);65-69 

  20. Yang HS, Bang SS, Kang KS. Status of Prevention on Health Obstacle in Industries with Confined Spac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2003(b);5(4):13-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