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말 흡착제를 이용한 악취 저감 여과 집진장치 개발연구
Odor Removal with Powdered Adsorbent using Bag-filter System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7 no.4, 2017년, pp.291 - 301  

허영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태형 () ,  하현철 ((주)벤텍) ,  박승욱 ((주)벤텍)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 order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olve the complaints,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remove the odor from the industrial process. There are many disposal methods to remove odor, but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and inadequate ap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본 연구에서는 분말 흡착제를 이용한 악취저감 여과집진-장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분말활성탄과 분말제올라이트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탈취제를 제조한 후 여과 집진기에 유입되는 악취공기에 분사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고 시스템의 최적 운전 조건과 탈취제의 최적의 배합비율, 분말 입경, 분사 방법 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 2. 1차 실험은 제작된 실험장치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활성탄과 제올라이트의 배합비율 변화에 따라 모두 6개의 Case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암모니아에 대한 흡착효율은 Case 3(제올라이트 100%)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고 Case 4(800mesh 활성탄 25% + 제올라이트 75%)도 양호한 것으로 측정 되었다.
  • 3. 2차 실험은 제작된 실험장치의 현실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활성탄과 제올라이트의 배합비율 변화에 따라 모두 5개의 Case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대상 공정에 적합한 배합비율은 Case 2(활성탄75% + 제올라이트25%)로 실험 시작단계의 96%에서 1시간 경과 후 82%까지 80%이상의 지속적 TVOC 흡착효율을 보여주었다.
  • 흡착제는 800 mesh 활성탄과 300 mesh 제올라이트를 100+0%, 75+25%, 50+50%, 25+75%, 0+100% 비율로 10 kg을 배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그 외, 400 mesh 활성탄 100%를 사용하는 Case를 추가하여 800 mesh 활성탄 100%를 사용한 Case와의 비교를 통해서 공극율에 따른 흡착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실험 Case는 흡착제의 조합에 따라 Table 4에서와 같이 6개 Case로 나뉜다.
  • 본 연구는 기존 악취 제거 방식과 달리 분말흡착제와 분진 제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여과 집진기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악취를 제거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여과 집진장치 배기덕트 앞단에 분말흡착제를 분사하여 덕트 내에서 기류와 함께 이동하는 과정에서 악취를 흡착하도록 설계하고 흡착을 거친 분말흡착제는 여과 집진기에서 호퍼로 포집되고 다시 재순환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기덕트 앞단으로 이송되어 재분사 된다.
  • 본 연구에서는 분말 흡착제를 이용한 악취저감 여과집진-장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분말활성탄과 분말제올라이트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탈취제를 제조한 후 여과 집진기에 유입되는 악취공기에 분사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고 시스템의 최적 운전 조건과 탈취제의 최적의 배합비율, 분말 입경, 분사 방법 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 1 초, 분사주기 180 초로 설정하였다. 사각형 여과 집진기의 경우 분사 시간 0.1, 0.2초에 비해 0.3초로 하면 탈진효율이 더 우수하다는 연구도 있었지만 본 연구는 분진의 여과에 목적을 두기보다는 흡착제의 재순환을 목적으로 안정적인 0.1초를 선택하였다(Table 1).
  • 개발된 악취 저감 여과집진기는 악취 발생특성에 따라 적절한 흡착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흡착제를 파과 시점까지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고효율성도 갖추며 사용된 흡착제를 쉽게 포집 및 재이용 할 수 있는 등 다방면 장점이 있으므로 충분한 연구가치가 있다. 연구는 예비실험(1차 실험)과 현장테스트(2차 실험)를 모두 거쳐 그 과정에서 시스템 구동조건 및 최적의 흡착효율을 갖는 분말흡착제 조제방법 등 다양한 인자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여 개발된 장치의 효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노력했다.
  • 같은 재질이라도 공극률에 따라 흡착효율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론은 기타 연구에서도 도출된바 있지만 1차실험은 활성탄과 제올라이트의 흡착능 평가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발생하는 악취 물질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합한 흡착제 사용의 필요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 두 번째 단계(2차 실험)에서는 제작된 실험장치를 모 주물공장의 생산공정에 직접 연결시켜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중자공정 가동 과정에서 실험장치의 입구와 출구의 TVOC 농도를 측정하여 저감효율을 계산하는 방법을 채택하였고 흡착제 조합 및 분사방법에 따른 TVOC 저감효율에 근거하여 실험장치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운전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오염원으로 선정된 중자공정의 TVOC 발생 농도를 1시간에 1회씩 총 10회에 걸쳐 측정하였다. TVOC 농도는 작업에 따라 변화폭이 있을 수 있지만 실험과정에서 발생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여건이 부족하여 Figure 6에서와 같이 10회 측정치 평균인 356 ppm을 오염원에서의 발생농도로 가정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Figure 1에서와 같이 출구측에 측정구가 설치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에는 무엇이 있는가?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들로는 유기산류, 알코올류, 아민류, 방향족 화합물 등의 유기물질뿐만 아니라, 염화수소, 황산화물, 오존 등의 무기물질까지 매우 다양하다. 산업공정에서 악취의 발생은 단일 발생원 또는 단일물질에 의한 영향 보다는 다수의 발생원과 복합적인 악취유발물질의 혼합에 따른 상승작용 등으로 그 영향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활성탄 재질의 흡착제로 모든 악취 유발 가스를 고효율로 흡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활성탄 재질의 흡착제로 모든 악취 유발 가스를 흡착할 수 없는 이유는?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들로는 유기산류, 알코올류, 아민류, 방향족 화합물 등의 유기물질뿐만 아니라, 염화수소, 황산화물, 오존 등의 무기물질까지 매우 다양하다. 산업공정에서 악취의 발생은 단일 발생원 또는 단일물질에 의한 영향 보다는 다수의 발생원과 복합적인 악취유발물질의 혼합에 따른 상승작용 등으로 그 영향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활성탄 재질의 흡착제로 모든 악취 유발 가스를 고효율로 흡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특히 암모니아와 같이 염기성 및 친수성을 가진 물질은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에서 효율이 이상적이지 못하다(Masuda et al.
기존 악취 제거 방식의 문제점은? 따라서, 각종 산업분야에서 발생하는 복합적 악취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흡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적절한 흡착제의 선정 외에도 대부분 상용되는 흡착탑은 구조적 문제 때문에 기류 흐름의 사각지대 발생으로 활성탄 충진재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많이 발생한다. 흡착방법 외에도, 습식 스크러버를 이용한 화학적 처리방법도 있지만, 폐수를 유발시키고 또다시 폐수를 처리해야 하는 부담이 생기며, 지속적 사용을 위한 유지관리 기술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Yang, 2007). 근래에 광촉매를 이용하여 공기 중 미량의 유기물질을 흡착하는 연구도 있었고 분말활성탄 및 제올라이트를 폴리우레탄과 혼합하여 동시 발포한 다공성 폴리우레탄 담체를 바이오필터에 적용하여 하수처리장 농축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처리하는 기술 연구도 있었지만 적용대상이 한정적이고 상용화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Lee, 2012; Morten,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llen T. Particle Size Measurement. 4th ed, Champman & Hall, London, 1990;547-28 

  2. Burgess RM, Perron MM. Use of Zeolite for Removing Ammonia and Ammonia-Caused Toxicity in Marine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s. Arch, Environ, Contam. Toxicol., 2004;(47):440-447 

  3. Environmental statistics portal. Complaints about odor, 2017 URL: http://stat.me.go.kr/nesis/mesp2/webStatistics/ stat_main.jsp?tblIDDT_106N_99_2400002&inq_g ubun1&langkor&list_id&l_interval2 

  4. Khan FI., Ghoshal AK.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from polluted air.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2000;(13):527-545 

  5. Lee SCH. Odorous Gas Removal in Biofilter with Powdered Activated Carbon and Zeolite Coated Polyurethane Foam. Clean Technology; 2012. p. 209-215 

  6. Masuda J, Fukuyama J, Fujii S. Influence of concurrent substances on removal of hydrogen sulfide by activated carbon. Chemosphere, 1999;39(10):1611-1616 

  7. Morten GN. Removal of low concentration contaminant species using photocatalysis: Elimination of ethene to sub-ppm levels with and without water vapor present.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15;262: 648-657 

  8. Na BG. Effect of Rinse and Recycle Methods on the Pressure Swing Adsorption Process To Recover $CO_2$ from Power Plant Flue Gas Using Activated Carbon. American Chemical Society, 2002;41:5498-5503 

  9. Oh KJ. Breakthrough data analysis of adsorp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on granular activated carbon. Korean J Chem Eng, 2010;27(2):632-638 

  10. Piao CH. The Fundamental Study on Pulse Jet Cleaning of Rectangular Bag-Filter System.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08;18(2):149-160 

  11. Yang SH. Performance Evaluation of Wet Scrubber for Odor Removal using Operational Parameters, Study on Biosystems & Bio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M.S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2007 

  12. Yim G. Absorption Engineering and Science. Dooyang Publishing company,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