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 곰소만에서 바지락 소화관 내용물의 변동 특성
Phytoplankton variability in digestive tract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32 no.3, 2016년, pp.165 - 174  

김형섭 (군산대학교 해양생명응용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바지락의 섭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서해의 곰소만에서 바지락의 소화관 내용물과 표층 해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대해 정량 및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바지락의 소화관에는 규조류 (71.5%), 와편모류 (13.1%), 미소플랑크톤 (6.6%) 과 중형동물플랑크톤을 포함한 유기쇄설물 등이 관찰되었다. 소화관내에서 섭식량은 겨울과 봄에 많았고 여름과 가을에 낮게 나타난 반면, 표층 해수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가을에 가장 많았다. 또한 바지락의 크기가 클수록 섭식한 먹이생물의 양은 증가하였다. 소화관에서 관찰된 우점종은 저서성 규조류인 Paralia sulcata 및 Navicula arenaria와 와편모류의 cyst 이었던 반면 표층해수에서 우점종은 부유성 규조류인 Chaetoceros 속, Skeletonema 속, Asterionellopsis 속 등과 cryptomonads 및 P. sulcata이었다. 소화관 내용물 분석을 통해 바지락의 주요 먹이원은 저서성 규조류이며, 식물플랑크톤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섭식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eeding behaviour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wa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characterized by comparing the contents composition in digestive tract of the clam and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surface sea water in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The contents of digestive tr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곰소만에서 서식하는 바지락을 대상으로 시기와 크기별로 세분화하여 소화관 내 내용물과 해수 중의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정량 분석을 통해 바지락의 섭식량과 저서 및 부유성 식물플랑크톤의 가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지락의 특징은?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은 조간대에서부터 수심 10 m 이내의 사니질에 잠입하여 서식하는 종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조간대 서식 패류 중 가장 많은 생산량을 기록하는 매우 중요한 수산자원이다. 바지락과 같은 잠입성 이매패류는 수관 (siphon) 을 퇴적물 밖으로 내어 수중의 식물플랑크톤 이 외에도 박테리아 등의 다양한 유기쇄설물을 먹이로 섭취하면서 생활한다 (Langdon and Newell, 1990).
바지락의 소화관에서 관찰되는 것은? 바지락의 섭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서해의 곰소만에서 바지락의 소화관 내용물과 표층 해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대해 정량 및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바지락의 소화관에는 규조류 (71.5%), 와편모류 (13.1%), 미소플랑크톤 (6.6%)과 중형 동물플랑크톤을 포함한 유기쇄설물 등이 관찰되었다. 소화관 내에서 섭식량은 겨울과 봄에 많았고 여름과 가을에 낮게 나타난 반면, 표층 해수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가을에 가장 많았다.
바지락과 같은 이미패류의 섭식 특징은? 이들 이매패류의 성장은 수온과 염분 등의 이화학적 요인 이외에도 먹이생물로서 수중에 존재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동에 따라 좌우된다. 특히 조간대에서 잠입․서식하는 여과섭식성 이매패류는 수관 길이에 따라 주변 해수에 존재하는 각종 유기물질을 섭취하는데, 밀물시 재부유된 저서성 식물플랑크톤과 수중에 존재하는 부유성 식물플랑크톤을 섭취하게 된다. 이들 이매패류는 섭취된 식물플랑크톤을 아가미에서 크기에 따라 걸러낸 후 선택적으로 섭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humway et al., 1985; Arakaw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rakawa, H., Yaoita, T., Koide, T., Morinaga, T. (1997) Size of suspended particles caught by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La. mer., 35: 149-156. 

  2. Back, S.H., Lee, J., Lee, H.O., Han, M.S. (2008) Study of the food characteristics on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and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the intertidal zone of Taeah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6(3): 145-158. (in Korean) 

  3. Brillant, M.G.S., MacDonald, B.A. (2000) Post-ingestive selection in the sea scallop, Placopecten magellanicus (Gmelin) : the role of particle size and density.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253: 211-227. 

  4. Brillant, M.G.S., MacDonald, B.A. (2003) Post-ingestive sorting of living and heat-killed Chlorella within the sea scallop, Placopecten magellanicus (Gmelin).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290(1): 81-91. 

  5. Brown, M.R., McCausland, M.A., Kowalski, K. (1998) The nutritional value of four Australian microalgal strains fed to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spat. Aquaculture, 165: 281-293. 

  6. Chang, J.H., Ryu, S.O., Jo, Y.J. (2007) Long-term variation of tidal-flat sediments in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3): 357-366. (in Korean) 

  7. Davenport, J., Ezgeta-Balic, D., Peharda, M., Skejic, S., Nincevic-Gladan, Z., Matijevic, S. (2011) Size-differential feeding in Pinna nobilis L. (Mollusca: Bivalvia): Exploitation of detritus,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92: 246-254. 

  8. Ivlev, V.S. (1961) Experimental ecology of the feeding of fishes. 302pp.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9. Jo, S.G., Kim, J.H., Kim, Y.H., Lee, C.H. (2004) Feeding selectivity of the jedo venus clam, Protothaca jedoensis on phytoplankton. Korean Jouranl of Malacology, 20(1): 27-34. (in Korean) 

  10. Kang, C.K., Kim, J.B., Kim, J.B., Lee, P.Y., Hong, J.S. (2001) The importance of intertidal benthic autotrophs to the Kwangyang Bay (Korea) food webs: ${\delta}$ 13C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6(1): 109-123. 

  11. Kang, C.K., Kim, J.B., Lee, K.S., Kim, J.B., Lee, P.Y., Hong, J.S. (2003). Trophic importance of benthic microalgae to macrozoobenthos in coastal bay systems in Korea: dual stable C and N isotope analyse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259: 79-92. 

  12. Kang, C.K., Lee, Y.W., Choy, E.J., Shin, J.K., Seo, I.S., Hong, J.S. (2006) Microphytobenthos seasonality determines growth and reproduction in intertidal bivalve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315: 113-127. 

  13. Koh, C.H., Khim, J.S., Araki, H., Yamanishi, H., Mogi, H., Koga, K. (2006) Tidal resuspension of microphytobenthic chlorophyll a in a Nanaura mudflat, Saga, Ariake Sea, Japan: flood-ebb and spring-neap variation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312: 85-100. 

  14. Langdon, C.J., Newell, R.I.E. (1990) Utilization of detritus and bacteria as food sources by two bivalve suspension-feeders, the oyster Crassostrea virginica and the mussel Geukensia demissa.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58: 299-310 

  15. Lee, C.S. (1997) Studies on the feeding activity and environmental tolerance of geoduck clam, Panopea japonica. Journal of Aquaculture, 10(2): 213-218. (in Korean) 

  16. Lee, Y.W., Choi, E.J., Kim, Y.S., Kang, C.K. (2009) Seasonal variations of microphytobenthos in sediments of the estuarine muddy sandflat of Gwangyang Bay: HPLC pigment analysis.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4(1): 48-55. 

  17. Lee, Y.W., Park, M.O., Yoon, J.H., Hur, S.B. (2012) Temperal and spatial variation of microalgal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in seawater and surface sediment of the Gomso Bay as determined by chemotaxonomic analysis.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7(2): 87-94. 

  18. Lehane, C., Davenport, J. (2002) Ingestion of mesozooplankton by three species of bivalve; Mytilus edulis, Cerastoderma edule and Aequipecten opercularis. Journal of th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the United Kingdom, 82(4): 615-619. 

  19. Newell, C.R., Shumway, S.E., Cucci, T.L., Selvin, R. (1989) The effects of natural seston particle size and type on feeding rates, feeding selectivity and food resource availability for the mussel Mytilus edulis L., 1758 at bottom culture sites in Maine. Journal of Shellfish Research, 8: 187-196. 

  20. Loret, P., Pastoureaud, A., Bacher C., Delesalle B. (2000) Phytoplankton composition and selective feeding of the pearl oyster Pinctada margaritifera in the Takapoto lagoon (Tuamotu Archipelago, French Polynesia): in situ study using optical microscopy and HPLC pigment analysi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199: 55-67. 

  21. Park, S.K., Kim, B.Y., Oh, J.S., Park, K.J., Choi, H.G. (2015) Seasonal variations of microphytobenthos and growth of Ruditapes philippinarum at Jeongsanpo and Hwangdo tidal flat, Taea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29(6): 884-894. (in Korean) 

  22. Persson, A. (2000) Possible predation of cysts: a gap in the knowledge of dinoflagellate ecology? Journal Plankton Research, 22(4): 803-809. 

  23. Rouillon, G., Rivas, J.G., Ochoa, N., Navarro, E. (2005) Phytoplankton composition of the stomach contents of the mussel Mytilus edulis L. from two populations: Comparison with its food supply. Journal of Shellfish Research, 24(1): 5-14. 

  24. Ryou, D.K., Kim, Y.H. (1995) Studies on the food organisms of bivalve, Mactra veneriformis in shore of Kunsan. Journal of Aquaculture, 8(2): 99-115. (in Korean) 

  25. Shim, J.H. (1994)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Marine phytoplankton (Vol. 34). 487pp. Ministry of Education, Seoul. 

  26. Shumway, S.E., Cucci, T.L., Newell, R.C., Yentsch, C.M. (1985) Particle selection, ingestion, and absorption in filter-feeding bivalves.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91: 77-92. 

  27. Shumway, S.E., Selvin, R., Schick, D.F. (1987) Food resources related to habitat in the scallop Placopecten magellanicus (Gmelin, 1791):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Shellfish Research, 6(2): 89-95. 

  28. Tang, H., Vanderploeg, H.A., Johengen, T.H., Liebig, J.R. (2014) Quagga mussel (Dreissena rostriformis bugensis) selective feeding of phytoplankton in Saginaw Bay. Journal of Great Lakes Research, 40(S1): 83-94. 

  29. Tomas, C.R. (1997) Identifying marine phytoplankton. 858pp. Academic Press, California. 

  30. Villalejo-Fuerte, M., Muneton-Gomez, M.S., Garate-Lizarraga, I., Garcia-Dominguez, F. (2005) Gut content, phytoplankton abundance and reproductive season in the black oyster (Hyotissa hyotis, Linne, 1758) at Isla Espiritu Santo, Gulf of California. Journal of Shellfish Research, 24(1): 185-190. 

  31. Yoon J.H. (2012) The Study population ecology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Bay. Ph. 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193pp. 

  32. Ward, J.E., Levinton, J.S., Shumway, S.E., Cucci, T. (1997) Site of particle selection in a bivalve mollusc. Nature, 390: 131-132. 

  33. Zimba, P.V., Hill, E.M., Withers, K. (2016) Benthic microalgae serve as the major food resource for porcelain crabs (Petrolisthes spp.) in oyster reefs: Digestive track content and pigment evidence.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483: 53-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