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흄드실리카로부터 제조된 실리카졸의 분산인자 상관성 연구
Correlation Research of Dispersion Factors on the Silica Sol Prepared from Fumed Silica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6 no.3, 2016년, pp.136 - 142  

박민경 (한국세라믹기술원 에코복합소재센터) ,  김훈 ((주)한테크) ,  임형미 (한국세라믹기술원 에코복합소재센터) ,  최진섭 (인하대학교 화학.화학공학융합학과) ,  김대성 (한국세라믹기술원 에코복합소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tudy the dispersion factors of silica sol prepared from fumed silica powder, we prepared silica sol under an aqueous system using a batch type bead mill. The dispersion properties of silica sol have a close relationship to dispersion factors such as pH, milling time and speed, the size and amo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fumed silica의 분말과 밀링 후 실리카졸의 입자 형상과 크기는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JEM-2000EX, JEOL, Japan)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fumed silica의 제타전위, 밀링 후의 실리카졸의 입도 및 입도분포는 각각 전기영동광산란(Electrophoretic Light Scattering) 및 동적광산란(Dynamic Light Scattering)을 사용하여 입도 및 제타전위분석기(ELS-Z, Otsuka Electronics, Japan)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밀링 속도는 분산기에 설정되어있는 속도인 530, 1600, 2100 rpm 조건에서 비교하였다. fumed silica의 양은 250 ml 증류수 대비 5~20 g(고형분 함량 2~8 wt%) 으로 각각 밀링하여 비교하였다. 밀링에 사용되는 지르코니아 비드 크기는 각각 0.
  • 그 다음 이 슬러리를 배치식 비드밀 분산기(Alesco Co., Japan) 하에서 지르코니아 비드(Cenotec Co.) 0.1 φ 1 kg과 530 rpm의밀링속도에서 3시간동안 시간별로 분산된 실리카졸 샘플을 취하여 분산특성을 비교하였다.
  • 4(d)는 분산하고자 하는 물질인 fumed silica 고형분 함량에 따른 분산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이 분말을 수계에 분산시켜 고형분 함량을 2~8 wt%로 조건을 변화하면서 밀링에 의한 분산을 진행하였다. 기본 조건인 fumed silica 10 g (4 wt%) 대비 이차 증류수 250 ml에서 fumed silica를 5, 15, 20 g으로 무게비에 맞추어 각각 밀링하였다. Fig.
  • fumed silica의 분말과 밀링 후 실리카졸의 입자 형상과 크기는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JEM-2000EX, JEOL, Japan)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fumed silica의 제타전위, 밀링 후의 실리카졸의 입도 및 입도분포는 각각 전기영동광산란(Electrophoretic Light Scattering) 및 동적광산란(Dynamic Light Scattering)을 사용하여 입도 및 제타전위분석기(ELS-Z, Otsuka Electronics, Japan)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 및 1 M KOH로 조절하였다. 또한 밀링시간에 따른 분산특성은 매시간마다 샘플을 채취하여 최대 5시간동안 밀링하여 비교하였다. 밀링 속도는 분산기에 설정되어있는 속도인 530, 1600, 2100 rpm 조건에서 비교하였다.
  • 또한, 비드밀에 장착된 임펠러 형상 및 크기에 따른 영향을 비교하였다. 주로 비드밀 장치는 가운데 축에 장착된 임펠러가 회전하면서 용매내에서 비드와 밀링시료가 분쇄 분산되는 방식인데, 이때 밀링에 사용된 임펠러는 형상 제작의 용이성을 위해 polyethylene(PE) 재질을 가공하여 밀링 후의 분산특성을 비교하는데 적용하였다.
  • 분산인자에 따른 실리카졸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의 기본 실험조건하에서 다양한 분산인자를 변경하여 실험하였다. 먼저, fumed silica의 제타전위 값에 근거하여 pH 3, 5, 7, 10인 조건에서 밀링하여 실리카졸을 제조하였다. 이때, pH는 1 M HNO3 (Dae Jung Co.
  • 또한 밀링시간에 따른 분산특성은 매시간마다 샘플을 채취하여 최대 5시간동안 밀링하여 비교하였다. 밀링 속도는 분산기에 설정되어있는 속도인 530, 1600, 2100 rpm 조건에서 비교하였다. fumed silica의 양은 250 ml 증류수 대비 5~20 g(고형분 함량 2~8 wt%) 으로 각각 밀링하여 비교하였다.
  • 밀링에 사용되는 지르코니아 비드 크기는 각각 0.1, 0.3 φ로 비교하여 밀링하였으며, 비드 함량은 0.5, 0.75, 1, 1.5 kg으로 조건을 달리하였다.
  • 분산인자에 따른 실리카졸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의 기본 실험조건하에서 다양한 분산인자를 변경하여 실험하였다. 먼저, fumed silica의 제타전위 값에 근거하여 pH 3, 5, 7, 10인 조건에서 밀링하여 실리카졸을 제조하였다.
  • 비드밀 밀링 시 사용되는 비드의 크기와 함량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비드 0.1, 0.3 φ로 각각 밀링한후 입도분석하였다.
  • 1 φ 비드로 함량을 달리하여 밀링 후 입도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비드의 양은 0.5, 0.75, 1, 1.5 kg 4가지 조건에서 비교실험하였다. 배치식 비드밀에 사용되는 1 L 비커 대비 비드 0.
  • 입도가 58 nm인 실리카졸을 제조하였다. 실리카졸 제조를 위해 분산인자로서 비드밀 장비내의 비드 크기 및 함량, 임펠라 크기 및 형상, 밀링시간 및 속도, fumed silica의 고형분 함량, 용매의 pH 등에 따른 분산인자별 상관성을 연구하고 실리카 나노졸의 분산성을 최적화하였다.
  • 실리카졸 제조를 위해 실험부분에 서술한 기본 밀링조건하에서 다양한 분산인자 (밀링시간, 밀링속도, 고형분 함량, 비드 크기 및 첨가량)에 따른 분산안정성과의 상관성을 관찰하였다.
  •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0~600 nm, 5~60 μm의 미립자와 응집된 입자가 있는 넓은 입도분포가 관찰되었으며 D50은 15μm 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입도분포 측정은 fumed silica 분말을 증류수에 넣고 밀링없이 실리카 슬러리 상으로 제조하여 관찰하였다. Fig.
  • 5(b)에 나타내었다. 임펠러의 형태는 Fig. 1에서 보는 바와같이 순서대로 기존의 flat disc 형태, 홀이 있고 하단에 propeller 형태로 된 디스크, 홀이 있고 하단이 톱니바퀴 형태로 되어있는 cap disc 형태의 3종 임펠러를 적용하여 제조한 실리카 졸의 입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입도 D50은 순서대로 70, 67, 58 nm 로 작은 홀에 하단이 톱니바퀴 형태로 되어 있는 임펠러로 밀링한 결과가 가장 좋았다.
  • 또한, 비드밀에 장착된 임펠러 형상 및 크기에 따른 영향을 비교하였다. 주로 비드밀 장치는 가운데 축에 장착된 임펠러가 회전하면서 용매내에서 비드와 밀링시료가 분쇄 분산되는 방식인데, 이때 밀링에 사용된 임펠러는 형상 제작의 용이성을 위해 polyethylene(PE) 재질을 가공하여 밀링 후의 분산특성을 비교하는데 적용하였다. Fig.
  • 입도가 58 nm인 실리카졸을 제조하였다. 특히, 실리카졸 제조 시에 다양한 분산인자로서 분산매의 pH, 실리카의 함량, 비드의 크기와 함량, 밀링시간과 속도 등 분산인자에 대한 상관성 연구를 통해 실리카졸 입도를 최적화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는 fumed silica 응집분말을 수계에서 배치식 비드밀 장비 및 다양한 분산인자를 최적화하여 D50 입도가 58 nm인 실리카졸을 제조하였다. 실리카졸 제조를 위해 분산인자로서 비드밀 장비내의 비드 크기 및 함량, 임펠라 크기 및 형상, 밀링시간 및 속도, fumed silica의 고형분 함량, 용매의 pH 등에 따른 분산인자별 상관성을 연구하고 실리카 나노졸의 분산성을 최적화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fumed silica로부터 수계에 분산시킨 후 배치식 비드밀 분산기로 밀링하여 D50 입도가 58 nm인 실리카졸을 제조하였다. 특히, 실리카졸 제조 시에 다양한 분산인자로서 분산매의 pH, 실리카의 함량, 비드의 크기와 함량, 밀링시간과 속도 등 분산인자에 대한 상관성 연구를 통해 실리카졸 입도를 최적화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드밀 장치의 방식은 어떻게 되는가? 또한, 비드밀에 장착된 임펠러 형상 및 크기에 따른 영향을 비교하였다. 주로 비드밀 장치는 가운데 축에 장착된 임펠러가 회전하면서 용매내에서 비드와 밀링시료가 분쇄 분산되는 방식인데, 이때 밀링에 사용된 임펠러는 형상 제작의 용이성을 위해 polyethylene(PE) 재질을 가공하여 밀링 후의 분산특성을 비교하는데 적용하였다. Fig.
고분산 나노 졸의 최적화를 위한 방법은? 나노 분산졸 제조를 위해서는 무기 산화물의 종류 및 특성의 이해, 용매의 선택, 밀링장비 및 밀링조건 등 여러 분산 인자에 따른 충분한 이해를 통해 고분산 나노 졸을 최적화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탄산칼슘 분산을 위한 고분자첨가량 및 pH에 따른 점도변화 등에 보고한 바 있다.
실리카의 특성에 따른 활용은 어떻게 되는가? 실리카는 지구상에 가장 흔한 원소로서 다양한 응용분야에 널리 적용되는 소재 중에 하나로서,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강도, 흡착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우수한 무기물이다. 특히, 제조방법에 따라 졸, 겔, 흄드계 입자 등 여러 형태로 존재하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난연제, 연마재, 코팅제, 흡착 담체, 단열재, 잉크 및 도료, 접착제, 레진 등 상업적으로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T. Kashiwagi, J. W. Gilman, K. M. Butler, R. H. Harris, J. R. Shields and A. Asano, Fire Mater., 24, 277 (2000). 

  2. Y. M. Ahn, J. Y. Yoon, C. W. Baek and Y. K. Kim, Wear, 257, 785 (2004). 

  3. H. Barthel, M. Dreyer, T. Gottschalk-Gaudig, V. Litvinov and E. Nikitina, Macromol. Symp., 187, 573 (2002). 

  4. I. A. Rahman and V. Padavettan, Nanomaterials., 2012, 15 (2012). 

  5. H. C. Lee, J. H. Kim and Y. H. Chang, J. Korean Ind. Eng. Chem., 17, 386 (2006) (in Korean). 

  6. A. M. Buckley and M. Greenblatt, J. Chem. Educ., 71, 599 (1994). 

  7. S. E. Pratisinis, Prog. Energy Combust. Sci., 24, 197 (1998). 

  8. R. V. Lakshmi, T. Bharathidasan and B. J. Basu, Appl. Surf. Sci., 257, 10421 (2011). 

  9. K. Chrissafis, K. M. Paraskevopoulos, G. Z. Papageorgiou and D. N. Bikiaris, J. Appl. Polym. Sci., 110, 1739 (2008). 

  10. M. J. Park, J. W. Ahn and H. Kim, J. Korean Ceram. Soc., 38, 343 (2001) (in Korean). 

  11. J. H. Yu, S. H. Jung, G. P. Hong, J. S. Mun and J. B. Kang, J. Korean Ceram. Soc., 46, 24 (2009) (in Korean). 

  12. H. K. Kang, H. C. Park and H. C. Park, J. Korean Ind. Eng. Chem., 8, 704 (1997) (in Korean). 

  13. H. S. Park, B. S. Cho, E. S. Yoo, J. B. Ahn and S. T. Noh, Appl. Chem. Eng., 22, 384 (2011) (in Korean). 

  14. H. M. Lim, J. H. Lee, J. H. Jeong, S. G. Oh and S. H. Lee, Eng., 2, 998 (2010). 

  15. T. Takatsuka, T. Endo, Y. Jianguo, K. Yuminoki and N. Hashimoto, Chem. Pharm. Bull., 57, 1061 (2009). 

  16. D. H. Lee, G. S. Cho, H. M. Lim, D. S. Kim, C. Y. Kim and S. H. Lee, J. Ceram. Process. Res., 14, 274 (2013). 

  17. A. Amiri, G. Oye and J. Sjoblom, Colloids Surf. A, 349, 43 (2009). 

  18. G. R. Wiese and T. W. Healy, Trans. Faraday Soc., 66, 490 (1970). 

  19. K. H. Hwang, J. H. Park and T. K. Yoon, J. Korean Ceram. Soc., 31, 337 (1994) (in Korean). 

  20. K. Lee, University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182, Hanbitacademy, Seoul,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