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마산(경기도)의 식물상
Flora of Mt. Cheonma (Gyeonggi-do Prov.)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9 no.1, 2016년, pp.90 - 109  

하영호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  윤창영 (신경대학교 생명공학과) ,  김상철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주환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천마산의 관속식물상의 조사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를 대상으로 한반도고유종,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적색식물, 구계학적특정식물종, 기후변화 적응대상 식물, 귀화식물을 조사하였고 또한 이미 조사가 이루어진 주변지역의 산과 종 조성을 비교분석하였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총 22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94과 266속 378종 2아종 46변종 7품종의 총 433분류군의 관속식물이 확인되었다. 이 중에서 산림청(국립수목원)이 지정한 특산식물은 13분류군이, 환경부지정 고유종은 1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IUCN 평가기준에 따라 국립수목원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약관심종(LC) 9분류군, 취약종(VU) 2분류군, 위기종(EN) 1분류군 등 총 1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환경부에서 제시한 적색자료집에 따르면 관심대상(LC) 7분류군, 미평가(NE) 1분류군 등 총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 I, II 등급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환경부지정 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49분류군이 확인 되었으며, 이 중 정밀생태 조사종인 IV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도깨비부채, 만주바람꽃, 미역고사리, 점현호색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국립수목원지정 기후변화 적응대상식물 300종 중에서 1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9분류군이 확인되어 귀화율 4.3%, 도시화지수 5.9%를 보였다. 광주산맥내 위치하는 산인 축령산, 화악산, 명지산과 비교하여 190분류군이 공통적으로 분포하였으며, 51분류군은 천마산에서만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Cheonma (Namyangju-si, Gyeonggi-do, Korea), including Korean endemic, rare and endangered plants. To support the biodiversity and usefulness of this investigation, we checked the red list plants,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climate change ad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부권 식물의 보고로 알려져 있음에도 식물학적 기본 연구가 미흡한 천마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를 토대로, 현존하는 식물자원의 다양성을 검토하고 향후 희귀 멸종위기식물 및 한국 특산식물에 대한 현황 검토는 물론 자연생태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remer, B., K. Bremer, M. Chase, M. Fay, J. Reveal, D. Soltis, P. Soltis and P. Stevens. 2009.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Bot. J. Linn. Soc. 161:105–121. 

  2. Hyun, J.O. 1986. A flora in the district of Mt. Cheonma. B.D. Thesis, Seoul National Univ., Korea. (in Korean). 

  3. Kang, D.S. 2003. The flora of northern region in Gyeonggi-Province. M.D. Thesis, Daejin Univ., Korea. (in Korean). 

  4. Koh, K.S., I.G. Kang, M.H. Suh, J.H. Kim, K.D. Kim, J.H. Kil, H.I. Rhu, D.S. Kong, E.B. Lee and E.S. Chun.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 (I) -Naturalized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p. 1-74 (in Korean). 

  5.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6.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332 (in Korean). 

  7.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534 (in Korean). 

  8.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12. Field guide naturalized plant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9. Lee, N.J. and Y.J. Yim. 1988.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orest vegetation at the southern and northern slopes of the eastern ridge in Mt. Cheonma, Central Korea. Korean J. Ecol. 11(4): 213-225 (in Korean). 

  10.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 Kwanak Arboretum 1:1-137. 

  11.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ayangmunsa, Seoul, Korea. p. 914, 910 (in Korean). 

  12. Lee, S.K., J.S. Han and K.O. Yoo. 2011. Flora of Gitdae-bong (Gapyeong-gun, Gyeonggi-do). Korean J. Env. Eco. 24(5): 564-583 (in Korean). 

  13.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Gyohaksa, Seoul, Korea. p. 974, 885 (in Korean). 

  14. Lee, Y.M. and S.S. Kim. 1997. The flora and rare plants in Mt. Myongji, Korean J. Env. Eco. 11(3):366-386 (in Korean). 

  15. Lee, Y.M., S.S. Kim, D.K. Cho and S.S. Jung. 2003. The flora in Chungnyeongsan and Seorisan. Korean J. Env. Eco. 16(1):104-123 (in Korean). 

  16.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 41(1):87-101 (in Korean). 

  17. Lee, W.C.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24 (in Korean). 

  18. Lee, W.C.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 (Appendix). pp. 1-33 (in Korean). 

  19. Lee, W.C.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p. 412 (in Korean). 

  20. Melchior, H. 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Nikolasse.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The Guide to the Four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pp. 185-216 (in Korean). 

  22.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 Korean). 

  23.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 Inventory and Management of Endemic Spec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 Korean). 

  24. Oh, B.U., D.G. Ch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Daesin Pulishing Co., Seoul, Korea. p. 205 (in Korean). 

  25.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in Korean) 

  26. Smith, A.R., K.M. Pryer, E. Schuettpelz, P. Korall, H. Schneider and P.G. Wolf. 2006.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Taxon 55:705-731. 

  27. Yeau, S.H., H.S. Chae and N.K. Chang. 1992. A study for field trips on the vegetation types and plant growth habits at the Mt. Cheonma. Korean Society for Biology Education 20(1):29-43 (in Korean). 

  28. Yim, Y.J. and T. Kira.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Jap. J. Ecol. 25:77-88. 

  29. You, J.H 2013. Flora distributed in Mt. Geumgok, Gyeongju-si, Gyeongsangbuk-do. Korean J. Plant Res. 26(2):248-270 (in Korean). 

  30. Yu, S.T., M.H. Yi., Y.M. Lee., K.S. Chang., B.D. Kim., H.T. Shin and J.W. Yoon. 2013. Vascular flora of Namhan River. Korean J. Plant Res. 26(4):463-490 (in Korean). 

  31. 한동완.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2. 환경부. 1998. 화악산(가평, 춘천)과 인근산지의 식물상.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환경부. 

  33. 환경부. 1999. 남양주?가평 소권역의 식생, 지형경관. 제2차 전국자연환경 기초조사. 환경부. 

  34. 환경부. 2007. 마석 일대의 식물상.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환경부.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