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다문화 가정의 특성 및 유형분석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Areas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7 no.1, 2016년, pp.95 - 108  

이남효 (충남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김은순 (충남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김정연 (충남연구원 지역.도시연구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areas and to classify their types by applying multi-variate techniques and cluster analyses. Data for the study were obtained by a surveying 120 married migrant females in rural areas of Chungchengn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문화 가정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는 경제적 · 사회적 · 문화적 · 심리적으로 매우 다양한 범주에 속하는 다문화 가정에 대해 획일적 정책이 아닌 유형별 맞춤형 정책의 개발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연구라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의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다문화 가정을 유형화하는 데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다문화 가정의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다문화 가정을 유형화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농촌 다문화 가정의 다양한 특성들을 소수의 공통요인으로 분류하는 요인 분석(Factor Analysis)을 실행하고 이들 요인에 의거하여 농촌 다문화가정을 몇 개의 유형으로 나누는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 이 연구는 경제 · 사회 · 문화적으로 매우 다양한 범주에 속하는 농촌 다문화 가정을 획일적 정책이 아닌 유형별 맞춤형 정책의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의도하고 농촌 다문화 가정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조사지역과 조사대상이 충청남도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있어서 그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를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 다문화 가정의 증가 원인 중, 국외적 요인은 무엇인가? 국외적 요인으로는 한국의 발전과 여성의 상품화 현상이 관련되어 국제 결혼이 증가하고 있다3)(Kim 2006). 최근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국 드라마, 영화, 가요, 한식 등이 인기를 얻는 등 한류의 영향으로 아시아 저개발 국가들의 주민이 코리안 드림을 꿈꾸며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에 입국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농촌 다문화 가정의 여건 및 환경을 구성하는, 공통 요인 6가지는 무엇인가?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에는 농촌 다문화 가정의 전반적인 여건 및 환경을 구성하는 16개 기초변수가 이용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공통요인 6개가 추출된 바, 이들 공통요인 6개의 특성을 살펴보면 요인1은 다문화 가정 이주여성 및 배우자의 ‘결혼기간·연령’을 나타내고, 요인2는 이주여성의 배우자·자녀·시부모·시댁친척에 대한 ‘가족만족도’를 나타내고, 요인3은 이주여성 본인의 한국어 읽기·말하기 수준을, 요인4는 배우자의 이주여성(부인) 모국어 읽기·말하기 수준을 나타내고, 요인5는 이주여성이 느끼는 전반적 한국생활 만족도와 이주여성의 본국으로의 송금액 만족도를 통합하여 ‘종합적 만족수준’을 나타내고, 요인6은 연간 가구수입과 이주여성 본인의 교육 수준을 통합하여 다문화 가정의 ‘잠재적 경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농촌 다문화 정책의 방향은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가? 앞으로 농촌 다문화 정책의 방향은 농촌 다문화 가정의 경제적 향상이 곧 농촌 다문화 가정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우리 농업·농촌의 잠재성을 향상시킨다는 차원에서 접근하여 이주여성에 대한 구체적인 직업교육 및 취업기회 확대를 위한 정책과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 HS(2012) Phenomenological study on spouse role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Master's Thesis, Hanbuk University 

  2. Hair JF, Black WC, Babin BJ, Anderson RE, Tatham RL(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6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rentice Hall 

  3. Hong JS(2012)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ttitudes and recogn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Master's Thesis, Daejin University 

  4. Hwang BR(2011)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role of the visiting Korean instructor training for immigrant women. Master's Thesis, Hanil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University 

  5. Hwang SS(2007) A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Ph.D.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6. Jeong HJ(2011) A study on the children's educational environment,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s in multicultural families of rural areas. Ph.D. Dissert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7. Jung HY(2010) Studies on the social adapta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immigrant woman. Master's Thesis, Chodang University 

  8. Kang DJ(2009) A study on the family life of multicultural family in rural area.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9. Kang JH(2012) The relation between the multi-cultural family father's participation in rearing of children and the children's adaptability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0. Kim HM(2006) Global gender politics of cross-border marriage: in case of Korean Male and Vietnamese female. Econ Soc 70, 10-37 

  11. Lee JS(2012)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courses for high school teachers. Master's Thesis, Dajin University 

  12. Park DS, Ma SJ, Gwon IH(2011) Social adaptation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nd policy task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3. Park DS, Choe GE(2008) Situ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in rural areas and policy direction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4. Park HB(2012) Study on factor of adjusting to the school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Master's Thesis, Kyongbuk University of Foriegn Studies 

  15. Shin HS(2011) Study on nurturing experience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area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6. Statistics Korea(2010) 2010 Population census 

  17. Statistics Korea(2011) Situation of married immigrants in Korea by nationality 

  18. Woo BN(2012) Changes in Chungcheongnam-do multicultur al policy and development plan. Chungcheongnam-do Women's Policy Deve lopment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