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화구이와 급랭가공법을 이용한 고등어 제품의 성분 분석 및 관능적 특성 검토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Sensory Attributes of Grilled and Fast-Chilled Mackere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3, 2016년, pp.452 - 459  

임호정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김미소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유학수 (영어조합법인 숨비소리) ,  김재겸 (미네소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의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구이와 급랭 방식을 적용한 냉장 유통 고등어와 일반적인 냉동 유통 고등어의 성분 비교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해 보았다. 가공 과정에서의 영양성분 함량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한 향기성분을 포함한 관능적 특성에서도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구이 과정이라는 고온 열처리 공정이 있었지만 급랭 방식을 통해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간을 연장하는 효과를 얻었고, 고등어 제품의 색도 역시 유지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높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구이 과정에서의 주요 인자인 구이 온도, 구이 시간 및 구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의 전달 방법에 관한 세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고등어 제품이 가지는 우수한 영양적 관능적 특성을 유지한 제품이 소비자들에게 전달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tritional compositions,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attributes of grilled and fast-chilled mackerel (Scomber japonicus) were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its practical utilization as a food resource compared to commercial frozen mackerel. In the proximate analysis, lipid contents were $2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 추출된 고등어 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알아보기 위해 Boron trifluoride(BF3)-methanol을 이용한 유도체화를 실시하였다(11). 약 100 mg의 추출된 지방질을 10 mL 크기의 test tube에 옮긴 후 0.
  • 국내의 수산식품 소비증대를 위한 노력으로 이러한 직접 조리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산물의 직화구이를 통해 가공처리를 거친 후 급속 냉각방식으로 구이 고등어의 품질 저하를 최소한으로 줄이고 저온 상태로 유통 가능한 설비를 구축한 다음 가정에서 간편 조리 (전자레인지 이용)를 통해 섭취 가능한 제품을 생산하여 이에 대한 영양 및 관능적 특성 지방질 성분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가설 설정

  • 1)ND corresponds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등어의 식품으로서의 보급과 소비자들의 섭취 의지가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과도한 염장품의 섭취는 소비자들의 나트륨 섭취 증가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에 대해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실정이다. 고등어를 포함한 적색 어류는 영양학적으로 양질의 아미노산 조성 및 성인병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는 DHA(docosahexaenoic acid)와 EPA(eicosapentaenoic acid)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고등어의 식품으로서의 보급과 소비자들의 섭취 의지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5).
고등어의 특징은 무엇인가? 국내에서 포획되는 대표적인 적색 어류로써 고등어(Scomber japonicus, Mackerel)는 경골어류 농어목 고등어과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등푸른 생선이라고 불리는 정어리, 전갱이, 꽁치와 함께 우리나라의 수산식품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고등어는 일반적으로 선어상태로 이용되거나 통조림 및 염장품으로 소비되고 있다.
높은 함량의 염장처리 된 고등어는 어떤 문제가 있는가? 고등어의 높은 지방 함량은 쉽게 변질하는 문제를 안고 있어 포획 후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의 염장 처리가 이루어진 다음 소비자들에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유통 및 저장과정 중 발생 가능한 histamine의 생성은 scombroid fish poisoning과 같은 알레르기성 식중독의 가능성도 높이는 실정이다(3,4). 하지만 과도한 염장품의 섭취는 소비자들의 나트륨 섭취 증가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에 대해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ang GS, Sung JH, Lim MH, Lim JK, Ha YS. 2002. Foods and health. Hyungsul Publisher, Seoul, Korea. p 169-177. 

  2. Kim HK, Lee HS. 2007. Hopeful diet tables from the sea. Jisung Publisher, Seoul, Korea. p 23-108. 

  3. Lim CY, Lee SJ, Lee IS, Kim JG, Sung NJ. 1997. The formation of N-nitrosomine during storage of salted mackerel, Scomber japonic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45-53. 

  4. Carelli D, Centonze D, Palermo C, Quinto M, Rotunno T. 2007. An interference free amperometric biosensor for the detection of biogenic amines in food products. Biosens Bioelectron 23: 640-647. 

  5. Lee EH, Kim MC, Kim JS, Ahn CB, Joo DS, Kim SK. 1989.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frozen seasoned mackerel meat: 1. Processing of frozen seasoned mackerel meat and changes in its taste compounds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18: 355-362. 

  6. Nam HW, Lee MJ, Lee YM. 2002. Consumption and preference of seafood, and desires for the seafood utilization in school lunch program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1-7. 

  7. Pariza MW, Ashoor SH, Chu FS. 1979. Mutagens in heatprocessed meat, bakery and cereal products. Food Cosmet Toxicol 17: 429-430. 

  8. Weisburger JH, Jones RC. 1989. Nutritional toxicology on the mechanisms of inhibition of formation of potent carcinogens during cooking. Prog Clin Biol Res 304: 377-390. 

  9. Lee EH, Kim MC, Kim JS, Ahn CB, Kim BK, Koo JG. 1990.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frozen seasoned mackerel meat: 2. Keeping quality of frozen seasoned mackerel meat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19: 107-114. 

  10. Bligh EG,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 911-917. 

  11. Prato E, Biandolino F. 2012. Total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ommercially important fish species from the Mediterranean, Mar Grande Sea. Food Chem 131: 1233-1239. 

  12. AOCS. 1990.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of the AOCS. 4th ed.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Press, Champaign, IL, USA. Method Ti la-64. 

  13. AOCS. 1990. AOCS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10th ed.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Chicago, IL, USA. AOCS Official Method Cd 30-63. 

  14. AOCS. 1990. AOCS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10th ed.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Chicago, IL, USA. AOCS Official Method Cd 8-53. 

  15. KFDA. 2011. Food Cod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Chungbuk, Korea. Vol 2, p 10-7-48. 

  16. Nam HY, Lee KT. 2007. Analysis of characterization in commercial extra virgin olive oi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66-873. 

  17. Bianchi F, Careri M, Musci M, Mangia A. 2007. Fish and food safety: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in 12 fish species by SPME extraction and GC-MS analysis. Food Chem 100: 1049-1053. 

  18. Park SJ, Kim KY, Yim SB, Park MJ, Kim BS, Yu YJ, Jeong YH. 2006. Fatty acid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marketed mackerel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670-676. 

  19. Simopoulos AP. 1991. Omega-3 fatty acids in health and disease and in growth and development. Am J Clin Nutr 54: 438-463. 

  20. Choe E, Min DB. 2007. Chemistry of deep-fat frying oils. J Food Sci 72: R77-R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