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나무 활성탄의 산 개질이 납과 구리 이온의 흡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id Modification on Pb(II) and Cu(II) Adsorption of Bamboo-based Activated Carbon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4 no.1, 2016년, pp.3 - 10  

이명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도시시스템공학과) ,  정재우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질산염산에 의한 대나무활성탄(bamboo-based activated carbon, BAC)의 개질이 Pb(II)와 Cu(II)의 흡착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회분식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산 개질에 의해 BAC의 탄소함량은 감소하고 산소함량은 증가하며 pH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산에 의한 개질은 BAC에 뚜렷한 표면작용기를 첨가시키지 않았으나 질산에 의한 개질은 카르복실기와 OH 작용기를 첨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BAC와 산으로 개질된 BAC의 중금속 이온 흡착속도는 2차 속도모델에 의해 적절하게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흡착반응의 속도가 물리적 흡착보다는 흡착제와 금속이온들 사이의 전자들의 공유나 교환을 포함하는 화학적 흡착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흡착소재의 등온흡착특성은 Langmuir와 Freundlich 모델에 의해 적절하게 설명될 수 있으며 BAC의 염산에 의한 개질은 중금속 이온의 흡착용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표면작용기를 첨가시킨 질산에 의한 개질은 Pb(II)와 Cu(II)의 흡착용량을 각각 36.0%와 27.3%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acid ($HNO_3$ and HCl) modification on the adsorption properties of Pb(II) and Cu(II) onto bamboo-based activated carbon (BAC)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eries of batch experiments. The carbon content increased and oxygen content decreased with acid treatment. $HNO_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저비용 재료인 대나무를 원료로 제조된 활성탄의 중금속 흡착특성과 그에 미치는 표면 개질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나무 활성탄(bamboo-based activated carbon, BAC)을 대상으로 질산과 염산에 의한 산 개질이 원소조성, pH, 표면형상, 작용기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Pb(Ⅱ) 및 Cu(Ⅱ) 흡착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저비용 재료인 대나무를 원료로 제조된 활성탄의 중금속 흡착특성과 그에 미치는 표면 개질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나무 활성탄(bamboo-based activated carbon, BAC)을 대상으로 질산과 염산에 의한 산 개질이 원소조성, pH, 표면형상, 작용기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Pb(Ⅱ) 및 Cu(Ⅱ) 흡착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탄이 비싸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어떤 재료를 활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가? 3)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저비용 재료로부터 활성탄을 생산하거나 활성탄의 흡착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시도되어 왔다3),4). 저비용 재료로서 무연탄, 왕겨, 야자열매껍질, 대나무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활성탄을 제조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5). 그 중 대나무는 목재에 비하여 생산속도가 높고 석탄계에 비해 매년 생산이 가능한 바이오매스 자원이며 국내에서도 생산량이 풍부하므로 활성탄 원료로서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2),5),6).
대나무활성탄에서 질산과 염산에 의한 개질은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산 개질에 의해 BAC의 탄소함량은 감소하고 산소함량은 증가하며 pH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산에 의한 개질은 BAC에 뚜렷한 표면작용기를 첨가시키지 않았으나 질산에 의한 개질은 카르복실기와 OH 작용기를 첨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BAC와 산으로 개질된 BAC의 중금속 이온 흡착속도는 2차 속도모델에 의해 적절하게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흡착반응의 속도가 물리적 흡착보다는 흡착제와 금속이온들 사이의 전자들의 공유나 교환을 포함하는 화학적 흡착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나무가 활성탄 원료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저비용 재료로서 무연탄, 왕겨, 야자열매껍질, 대나무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활성탄을 제조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5). 그 중 대나무는 목재에 비하여 생산속도가 높고 석탄계에 비해 매년 생산이 가능한 바이오매스 자원이며 국내에서도 생산량이 풍부하므로 활성탄 원료로서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2),5),6). 이와 더불어 활성탄의 표면을 개질하여 오염물질과의 결합력이 강한 작용기나 물질을 첨가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의 흡착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들도 강도높게 이루어져 왔다6)-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ee, M., Lee, C. and Chung, J.,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Pb(II) by manganese oxide coated activated carbon in fixed bed column study",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15(8), pp. 39-44. (2014). 

  2. Liu, Q.-S., Zheng, T., Li, N., Wang, P. and Abulikemu G., "Modification of bamboo-based activated carbon using mirowave radiation and its effects on the adsorption of methylene blue", Applied Surface Science, 256(10), pp. 3309-3315. (2010). 

  3. Lee, S. J., Lee, M. and Chung, J.-W., "Comparison of heavy metal adsorption by manganese oxide-coated activated carbon according to manufacture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6(1), pp. 7-12. (2014). 

  4. Ioannidou, O. and Zabaniotou, A., "Agricultural residues as precursors for activated carbon production-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1(9), pp. 1966-2005. (2007). 

  5. Bak, Y.-C., Cho, K.-J. and Choi, J.-H., "Production and $CO_2$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arbon from bamboo by $CO_2$ activation method",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43(1), pp. 146-152. (2005). 

  6. Mui, E. L. K., Cheung, W. H., Valix M. and McKay G., Activated carbon from bamboo scaffolding using acid activation,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Vol. 74, No. 2, pp. 213-218. (2010). 

  7. Ghaedi, M., Ansari, A., Habibi, M. H. and Asghari, A. R., "Removal of malachite green from aqeuous solution by zinc oxide nanoparticle loaded on activated carbon: Kinetics and iotherm study",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20(1), pp. 17-28. (2014). 

  8. Lee, M.-E., Park, J. H., Chung, J. W., Lee C.-Y. and Kang S., "Removal of Pb and Cu ions from aqueous solution by $Mn_3O_4$ -coated activated carbon",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21, pp. 470-475. (2015). 

  9. Rivera-Utrillia, J., Sanchez-Polo, M., Gomez-Serrano, V., Alvarez, P. M., Alvim-Ferraz, M. C. M. and Dias, J. M., "Activated carbon modifications to enhance its water treatment applications. An overview",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87(1-3), pp. 1-23. (2011). 

  10. Ho, Y. S., "Review of second-order models for adsorption system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B136, pp. 681-689. (2006). 

  11. Liu, Z. and Zhang, F. S., "Removal of lead from water using biochars prepared from hydrothermal liquefaction of biomas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67(1-3), pp. 933-939. (2009). 

  12. Pellera, F.-M., Giannis, A., Kalderis, D., Anastasiadou, K., Stegmann, R., Wang, J.-Y. and Gidarakos, E., "Adsorption of Cu(II) ions from aqueous solutions on biochars prepared from agricultural by-product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6(1), pp. 35-42. (2012). 

  13. Chen, B., Zhou, D. and Zhu, L., "Transitional adsorption and partition of nonpolar and polar aromatic contaminants by biochars of pine needles with different pyrolytic temperatur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2(14), pp. 5137-5143. (2008). 

  14. Aksu, Z., "Determination of the equilibrium, kinetic and thermodynamic parameters of the batch biosorption of lead(II) ions onto Chlorella vulgaris", Process Biochemistry, 38(1), pp. 89-99. (2002). 

  15. Ho, Y. S. and McKay, G., "Pseudo-second order model for sorption processes", Process Biochemistry, 34(5), pp. 451-465. (1999). 

  16. Choi, I. W., Kim, S. U., Seo, D. C., Kang, B. H., Sohn, B. K., Rim, Y. S., Heo, J. S. and Cho J. S., "Biosorption of heavy metals by biomass of seaweeds, Laminaria species, Ecklonia stolonifera, Gelidium amansii and Undaria pinnatifid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4(4), pp. 370-378. (2005). 

  17. Weber, J. and Miller, C. T., Organic chemical movement over and through soil, In Sawhney, B. L. and Brown, K.(ed)., Reactions and movement of organic chemical,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and American Society of Agnonomy, pp. 305-334. (1989). 

  18. Goel, J., Kadirvelu, K., Rajagopal, C. and Garg V. K., "Removal of lead(II) by adsorption using treated granular activated carbon: Batch and column studie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25(1-3), pp. 211-220. (2005). 

  19. Imamoglu, M. and Tekir, O., "Removal of copper(II) and lead(II) ions from aqueous solutions by adsorption on activated carbon from a new precursor hazelnut husks", Desalination, 228(1-3), pp. 108-113.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