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건부 합성방법을 이용한 위성관측 토양수분과 지상관측 토양수분의 합성
Spatial merging of satellite based soil moisture and in-situ soil moisture using conditional merging techniqu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3, 2016년, pp.263 - 273  

이재현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최민하 (성균관대학교 수자원대학원 수자원학과) ,  김동균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에 레이더 강우자료의 합성에만 국한되었던 조건부 합성방법을 지상관측 토양수분과 위성관측 토양수분 자료에 적용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토양수분 자료는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는 24개 관측소의 한시간 단위의 지상관측토양수분자료와 AQUA 위성의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Earth observing system (AMSR-E) 센서에서 관측된 토양수분 자료를 사용하였다. 교차검증방법(leave one out cross validation)을 사용하여 조건부 합성방법의 예측성능을 평가 하였고, 관측소별 교차검증 방법의 결과를 공간분포 시켜서 지역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113일의 분석 기간 중 100일 이상의 기간에 대하여 조건부합성방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AMSR-E 자료에 비해 지상관측자료와의 편차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조건부 합성 방법의 예측 성능은 관측소의 밀도와 밀접한 관련을 나타내었으며, 관측소가 많이 밀집되어있는 한반도의 서쪽 지역에서 예측성능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3) 강우가 발생하지 않는 기간에 대한 AMSR-E의 낮은 정확도와 달리 조건부 합성방법은 무강우 기간에 대해서도 높은 예측성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계측 지역에 대한 토양수분을 추정하는 조건부 합성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pplied conditional merging (CM)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 to obtain the satellite and in-situ composite soil moisture data. For the analysis, 24 gages of hourly in-situ data sets from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of Korea and the satellite soil moisture data retriev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강우자료와 레이더 강우에만 적용 되었던 조건부 합성방법을 토양수분 자료에 적용하여, 한반도 지역을 대상으로 24개 지점의 지상관측자료와 AMSR-E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하여 미계측 지역에 대한 토양수분 예측 능력을 분석하고, 그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조건부 합성방법의 성능이 지역 및 지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교차검증기법의 결과물인 CMcv의 기울기와 RMSE, 상관계수의 지도를 작성하여 그 공간적 변화를 살폈고, 관측소의 밀도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관측소의 Kernel Density를 계산하여 관측소 밀도에 따른 예측 성능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제시한 4가지 결론을 종합하면 미계측 지역에 대한 토양수분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지상관측자료와 위성관측 자료를 합성하는 방법인 조건부 합성방법을 통계적인 결과로 판단하였을 때 적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중요하게 개선되어질 몇 가지 부분들을 가지고 있다. 1) 위성 토양수분 자료 자체의 공간적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주요한 제한 사항들(복잡한 지표특성 및 식생분포, RFI 등)을 극복해 나가야 할 것이다. 2)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수문지표모델들의 토양수분값들을 동시에 활용하여, 다양한 systematic error 제거기법을 적용한 최적의 토양수분 값을 산출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수분은 어느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가? 토양수분은 2010년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에 의해 필수기후변수(Essential climate variable)로 지정될 만큼 기후변화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고(WMO, 2010), 수문 모델, 농업시스템, 가뭄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Choi and Jacobs, 2008; Bindlish et al., 2009; Dorigo et al.
원격탐사기술에 사용되는 센서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원격탐사기술은 플랫폼(항공기, 위성)에 탑재된 센서를 이용하여 공간적인 스케일의 토양수분 관측을 가능하게 한다. 원격탐사기술에 사용되는 센서는 능동형 센서(Active sensor)와 수동형 센서(Passive sensor)로 구분된다. 수동형 센서는 태양에서 방출되어 관찰하고자 하는 대상에 반사된 전자기파를 측정하는 원리이고, 능동형 센서는 센서 자체에서 전자기 방사선을 방출해서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측정하는 원리이다.
지상관측 토양수분 자료를 충분히 획득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최근 원격탐사 기술의 발전은 이러한 문제 해결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원격탐사기술은 플랫폼(항공기, 위성)에 탑재된 센서를 이용하여 공간적인 스케일의 토양수분 관측을 가능하게 한다. 원격탐사기술에 사용되는 센서는 능동형 센서(Active sensor)와 수동형 센서(Passive sensor)로 구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lbergel, C., de Rosnay, P., Gruhier, C., Munoz-Sabater, J., Hasenauer, S., Isaksen, L., Wagner, W. et al (2012). "Evaluation of remotely sensed and modelled soil moisture products using global ground-based in situ observation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18, pp. 215-226. 

  2. Baik, J., Park, J., Ryu, D., and Choi, M. (2016). "Geospatial blending to improve spatial mapping of precipitation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by merging satellite- and ground based data.", Hydrological Processes, DOI: 10.1002/hyp.10786. 

  3. Bardossy, A., and Lehmann, W. (1998).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in a Small Catchment. Part 1: Geo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Hydrology, Vol. 206, No. 1, pp. 1-15. 

  4. Berndt, C., Rabiei, E., and Haberlandt, U. (2014). "Geostatistical merging of rain gauge and radar data for high temporal resolutions and various station density scenarios." Journal of Hydrology, Vol. 508, pp. 88-101. 

  5. Bindlish, R., Crow, W.T., and Jackson, T.J. (2009). "Role of passive microwave remote sensing in improving flood forecasts."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Letters, IEEE, Vol. 6, No. 1, pp. 112-116. 

  6. Bolten, J. D., Crow, W. T., Zhan, X., Jackson, T. J., and Reynolds, C. A. (2010). "Evaluating the utility of remotely sensed soil moisture retrievals for operational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IEEE Journal of, Vol. 3, No. 1, pp. 57-66. 

  7. Brocca, L., Hasenauer, S., Lacava, T., Melone, F., Moramarco, T., Wagner, W., and Bittelli, M. (2011). "Soil moisture estimation through ASCAT and AMSR-E sensors: An intercomparison and validation study across Europ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15, No. 12, pp. 3390-3408. 

  8. Cho, E., and Choi, M. (2014). "Regional scale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soil moisture and its relationship with meteorological factors over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Hydrology, Vol. 516, pp. 317-329. 

  9. Cho, E., Choi, M., and Wagner, W. (2015). "An assessment of remotely sensed surface and root zone soil moisture through active and passive sensors in northeast Asi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60, No. 166-179. 

  10. Choi, J.G. (2007). Geostatistics. Sigmapress. 

  11. Choi, M., and Hur, Y. (2012). "A microwave-optical/infrared disaggregation for improving spatial representation of soil moisture using AMSR-E and MODIS produc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24, pp. 259-269. 

  12. Choi, M., and Jacobs, J.M. (2007). Soil moisture variability of root zone profiles within SMEX02 remote sensing footprints.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30, No. 4, pp. 883-896. 

  13. Choi, M., and Jacobs, J.M. (2008). "Temporal variability corrections for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E (AMSR-E) surface soil moisture: case study in Little River region, Georgia, US." Sensors, Vol. 8, No. 4, pp. 2617-2627. 

  14. Crow, W.T., Miralles, D.G., and Cosh, M.H. (2010). "A quasi-global evaluation system for satellite-based surface soil moisture retrievals."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IEEE Transactions on, Vol. 48, No. 6, pp. 2516-2527. 

  15. Dorigo, W.A., Scipal, K., Parinussa, R.M., Liu, Y.Y., Wagner, W., De Jeu, R.A.M., and Naeimi, V. (2010). "Error characterisation of global active and passive microwave soil moisture dataset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4, No. 12, pp. 2605-2616. 

  16. Draper, C. S., Walker, J. P., Steinle, P. J., de Jeu, R. A., and Holmes, T. R. (2009). "An evaluation of AMSR-E derived soil moisture over Australi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 113, No. 4, pp. 703-710. 

  17. Ehret U. (2002). Rainfall and flood nowcasting in small catchments using weather radar. PhD Thesis, University of Stuttgart. 

  18. Goudenhoofdt, E., and Delobbe, L. (2009). "Evaluation of radargauge merging methods for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e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3, No. 2, pp. 195-203. 

  19. Jackson, T.J., Cosh, M.H., Bindlish, R., Starks, P.J., Bosch, D.D., Seyfried, M., and Du, J. et al. (2010). "Validation of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soil moisture products."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IEEE Transactions on, Vol. 48, No. 12, pp. 4256-4272. 

  20. Kim, B. J., Kripalani, R. H., Oh, J. H., and Moon, S. E. (2002). "Summer monsoon rainfall patterns over South Korea and associated circulation features."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Vol. 72, No. 1-2, pp. 65-74. 

  21. Kim, G. S., and Kim, J. P. (2011).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il Moisture Retrieved from Satellite Images and Ground Network Measurements." The 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4, No. 2, pp. 69-81. 

  22. Kim, H., Seonwoo, W., Kim, S., and Choi, M. (2016). Construction and estimation of soil moisture site with FDR and COSMIC-ray (SM-FC) sensors for calibration/validation of satellite-based and COSMIC-ray soil moisture products in Sungkyunkwan university, South Korea,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in Press) 

  23. Kim, S., Liu, Y.Y., Johnson, F.M., Parinussa, R.M., and Sharma, A. (2015). "A global comparison of alternate AMSR2 soil moisture products: Why do they differ?"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61, pp. 43-62. 

  24. Koike, T., Nakamura, Y., Kaihotsu, I., Davva, G., Matsuura, N., Tamagawa, K., et al. (2004). "Development of an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AMSR-E) algorithm for soil moisture and vegetation water content." Annual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JSCE, Vol. 48, No. 2, pp. 6. 

  25. Loew, A., Holmes, T., and de Jeu, R. (2009). "The European heat wave 2003: Early indicators from multisensoral microwave remote sensing?"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984-2012), Vol. 114, No. D5. 

  26. Miralles, D.G., Crow, W.T., and Cosh, M.H. (2010). "Estimating spatial sampling errors in coarse-scale soil moisture estimates derived from point-scale observations."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11, No. 6, pp. 1423-1429. 

  27. Njoku, E., Jackson, T., Lakshmi, V., Chan, T., and Nghiem, S.V. (2003), "Soil moisture retrieval from AMSR-E", IEEE Trans. Geosci. Remote Sens., Vol. 41, pp. 215-229. 

  28. Owe, M., De Jeu, R. A.M., and Holmes, T.R.H. (2008). "Multisensor historical climatology of satellite derived global land surface moistur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3(F1 F01002). 

  29. Paloscia, S., Macelloni, G., and Santi, E. (2006). "Soil moisture estimates from AMSR-E brightness temperatures by using a dual-frequency algorithm."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IEEE Transactions on, 44(11), 3135-3144. 

  30. Pandey, V., and Pandey, P.K. (2010).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soil mois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Geosciences, Vol. 1, No. 2, pp. 87. 

  31. Pegram, G.G.S. (2002). Spatial interpolation and mapping of rainfall: 3. Optimal integration of rain gauge, radar & satellitederived data in the production of daily rainfall maps. Progress report to the Water Research Commission. 

  32. Rudiger, C., Calvet, J.C., Gruhier, C., Holmes, T.R., De Jeu, R. A., and Wagner, W. (2009). "An intercomparison of ERS-Scat and AMSR-E soil moisture observations with model simulations over France."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10, No. 2, pp. 431-447. 

  33. Sinclair, S., and Pegram, G. (2005). "Combining radar and rain gauge rainfall estimates using conditional merging." Atmospheric Science Letters, Vol. 6, No. 1, pp. 19-22. 

  34. WMO (2010). Implementation plan for the global observing system for climate in support of the UNFCCC (2010 updat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GCOS-138. 

  35. Zhang, A., and Jia, G. (2013). "Monitoring meteorological drought in semiarid regions using multi-sensor microwave remote sensing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34, pp. 12-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