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브런치 카페의 서비스품질, 가치지각, 고객충성도의 영향관계
Brunch Cafe of Service Quality, Value Perception, and Customer Loyalty the Impact of Relationship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2 = no.77, 2016년, pp.1 - 12  

김건휘 (상지영서대학교 호텔경영과) ,  하헌수 (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브런치 카페 서비스품질에 따라서 가치지각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과 그 요인을 이용한 앞으로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총 225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15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나머지 210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실증연구에 사용되었다. 조사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서비스품질에 대한 측정항목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으로 KMO 값은 0.823, 총분산비율 66,095%, 가치지각에 대한 요인분석은 총분산비율 61.213%, KMO 값은 0.871로 나타났다. 고객충성도에 대한 요인분석은 총분산설명력 64,054%, KMO 값은 0.845으로 나타났다.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다른 변수에 의해 설명되는 정도가 좋게 분석되었고, 유의확률이 0.000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적이다. 따라서 서비스품질에 따른 가치지각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은 부분채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of brunch cafe, value perception and customer loyalty. A total of 22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consumers, of which 210 were deemed suitable for the analysis after the removal of 15 unusable respons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브런치 카페를 방문하는 고객과의 원활한 상호작용과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신뢰를 줄 수 있는 서비스교육을 실시해 인적서비스품질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가 브런치 카페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발전 가능성을 인식하고, 카페문화 발전에 기여가 되었으면 한다. 따라서 특색 있는 브런치 카페만의 서비스품질은 이용고객의 머릿속에 각인시킬 수 있어 그들만의 브랜드 및 정체성을 확립하고, 브런치 카페문화 활성화 방안과 마케팅 전략에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 본 연구는 브런치 카페의 서비스품질요인을 파악하고, 서비스품질이 가치지각과 고객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브런치 카페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첫째, 서비스품질 13개의 변수는 4개 요인으로 분석되었고, KMO 값은 0.
  • 따라서 브런치 카페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대되면서 기존의 커피전문점과 베이커리 카페 및 디저트카페를 차별화 할 수 있는 색다른 컨셉과 특별한 마케팅이 필요한 시점이며, 방문하는 고객들에게 깊은 인상과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각각의 차별화 메뉴와 브런치 카페의 서비스품질은 매우 중요한 마케팅 전략이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최근경쟁이 심화되어 가고 있는 카페산업에서 디저트카페의 서비스품질과 가치지각 및 고객충성도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브런치 카페의 서비스품질측정의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서비스품질의 현황을 살펴보고, 서비스품질 이용실태를 조사하여가 치지각과 고객충성도와의 유의적 관계를 분석하여 인과적 관련성을 도출하여, 향후 브런치카페의 서비스품질 개발과 더불어 지속적인 매출증대에 이바지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 및 브런치카페의 서비스품질 발전 방향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H1-1: 상호작용은 가치지각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물리적 환경은 가치지각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유형성은 가치지각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4: 디저트 메뉴는 가치지각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 브런치카페의 서비스품질은 가치지각 에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금전적 가치는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2: 비금전적 가치는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가치지각은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001)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가설 H1인 브런치 카페의 서비스품질은 가치지각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채택되었다. 가설 H2인 가치지각의 하위요인 중 금전적 가치와 비금전적 가치는 고객충성도(p<0.
  • 001)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H2인 가치지각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채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브런치 카페의 마케팅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런치란? 브런치(brunch)는 아침식사인 브렉퍼스트(breakfast)보다는 가볍지 않으나, 만찬(dinner)에 비해서는 가벼운 편을 뜻하는 말로 아침식사와 점심식사 사이에 늦은 오전 시간대에 먹는 아침 겸 점심식사인 ‘아점’의 영어 표현으로 영어 브렉퍼스트(breakfast)와 런치(lunch)를 합성한 단어이다. 우리의 ‘아점’과 ‘브런치’는 사전적 의미로는 비슷해 보이며, 단어 의조어 방식도 동일하지만, ‘아점’은 식사가 행하여지는 시간에 큰 의미를 두고 있으나, ‘브런치’는 사람들 내면에 숨겨진 서구문화에 대한 동경이나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삶에 대한 욕망을 상품화하였으며, 이러한 브런치를 전문으로 하는 레스토랑의 출현으로 대중화가 되었기에 ‘브런치’는 레스토랑 비즈니스에 의해 다시 개념화된 용어임을 알 수 있다(GO BH 2015).
브랜드 간 치열해진 경쟁때문에 커피업계가 시도하는것들은 무엇인가? 최근 외식업계가 전반적으로 고전을 하고 있는 가운데 커피업계는 매장수와 매출액 모두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가며 활기를 띠고 있다. 그러나 브랜드 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경쟁력 강화와 매출 다각화를 위한 노력으로 드라이브 스루매장과 푸드 콘셉트 매장 등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또한, 원가절감을 통한 중저가 메뉴의 개발과 베이커리 업계의 카페 진출로 샐러드, 브런치메뉴 등 고객의 범위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Di- ning Korea Information 2013). 이처럼 카페시장이 외식산업의 미래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서비스품질을 구성하는 5가지 차원은 무엇인가? SERVQUAL 모형은 고객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기대(Expectation)와 지각(Perception)간의 격차를 5가지 서비스 차원별로 분석할 수 있게 한 측정방법이다. 서비스품질을 구성하는 5가지 차원은 신뢰성(Reliability), 확신성(Assurance), 유형성(Tangibles), 공감성(Empathy), 반응성(Resonse)이며, 영문 첫 글자를 모아 'RATER 5가지 차원'이라고도 한다. 고객이 지각하는 특정서비스의 품질은 평가과정의 결과로서 고객은 서비스에 대한자신의 기대된 서비스와 제공받는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를 비교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의 결과가 바로 지각된 서비스품질이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odds WB, Monroe KB, Grewal DJ (1991). Effects of price, brand, and store information on buyers' product evau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8:307-319. 

  2. Gronroos C (1984). An service quality model and its implicat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8(4):40. 

  3. GO BH (2015). The Selection of Properties Brunch Caf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fluence. Kyo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4. Han DY (2008). Impact on Purchasing Behavior and Service Quality of the Bread Cafe. Kyonggi University Graduate, Master's Thesis. 

  5. Hellier PK, Geursen GM, Carr RA, Rickard JA. (2003). Customer repurchase intention: A general structural equation model.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7(11/12):1762-1800. 

  6. Hirschman (1982). Hedonic consumption :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Journal of Marketing 46:92-101. 

  7. Jeon HM, Kim GS (2009). A study on the physical environment, fine dining restaurant using the form in accordance with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Korea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5(4):172-186. 

  8. Jeong MB, Kim SH, Kim YI (2010). Hotel buffet impa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in the restaurant: My five star hotels targeted in Seoul. Tourism Studies 25(3):101-120. 

  9. Jamal A, Naser, K (2002). Customer satisfaction and retail banking: An assessment of some of the key antecedents of customer satisfaction in retail banking.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anking Marketing 20(4/5):146-150. 

  10. Johnson WC, Lee KK (2000). A comparative evaluation of polytetrafluoroethylene, umbilical vein, and saphenous vein bypass grafts for femoral-popliteal above-knee revascularization: a prospective randomized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cooperative study. Journal of Vascular Surgery 32(2):268-277. 

  11. Kang MS, Park SG (2011). Education 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tudent satisfaction, impact on the reputation and student loyalty.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29(1):153-174. 

  12. Kim KA (2013).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mall Business, Entrepreneur Spirit, Entrepreneurship Satisfied, Recommended Establishment o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yungsung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13. Kim DJ (2012). Impact on the value of the assets perceived as hotel brand loyalty. Catering Business Review 15(4):85-104. 

  14. Kim SS, Jeong CH (2012). Quality of service perceived service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impact on revisiting intention: Focusing on health services. Korea Business Education Association 26(3):111-134. 

  15. Kim SH, Choi SM, Kwon SM (2009). Hotels physical environment is perceived emotional reactions of the restaurant, customer satisfaction, impact on the degree of re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Tourism Studies 23(4):81-99. 

  16. Lee NR, Jo TY, Lee HG (2010).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acting by a Korean dessert physical environment, the emotional reaction of the cafe. Tourism Studies 34(7):233-256. 

  17. Lee OH, Won CS, Park HJ (2007). Impact on the internal marketing of luxury hotel service quality and employee job satisfaction. Korea Food Service Industry Association 3(1):51-67. 

  18. Lee YJ, Lee JY (2001). Rethinking about the expected effects of the measure and quality of servic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KS-SQI model. Marketing Research 16(1):1-26. 

  19. Lee JS (2010). The Impact on the City's Aesthetics and Perceived Value of the Brand Image of the City Tourists. Sejong University Doctoral Thesis. 

  20. Lee JY (2009).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Customer Behavior in Hybrid Cafe. Sejo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1. Lewis RC, Booms H (1983). The marketing of service quality, in Emerging Perspectives on Service Marketing, Eds. L. Berry, G. S hostack, and G. Upah, AMA, Chicago, 99-107. 

  22. Nou GY (2008). The Perceived Value of the Franchise Family Restaurants Effect on Customer loyalty. Sil Graduate School Doctoral Thesis. 

  23. Oliver RL (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60-469. 

  24. Parasuraman, A, Zeithaml VA, Berry LL (1998). SERVQUAL: A multi-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spring. 

  25. Park JE (2009). The Role of the Design Process and Visual Designer for a Successful Food Business.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Master's thesis. 

  26. Son SY, Kwon JI (2014). Customers also act in accordance with the dessert menu, the quality of the coffee shops: Focused cod cafe area. Korea Food Service Industry Association 10 (3):123-133. 

  27. Song EJ (2013). Influence of the Quality of the Food Menu Coffee Shop Value Perception and Behavior. University Dissertation Game. 

  28. Sierra JJ (2009). Shared responsibility and student learning: Ensuring a favorable educational experience. Journal of Marketing Education. 

  29. http://mnb.moneyweek.co.kr/mnbview.php?no2014030508468031401 

  30. Dining Korea Information (2013). Dining Korea Almanac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