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이차함수 표상에서 나타난 그래프 사용 모드 및 표상의 유연성 분석
An Analysis Modes Related to Use of Graph and Flexibility of Representation Shown in a Quadratic Function Represent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8 no.1, 2016년, pp.127 - 141  

이유빈 (울산신정고등학교) ,  조정수 (영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Chauvat의 그래프 사용 모드에 근거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이차함수 문제해결에서 나타나는 그래프 표상의 사용 모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분석으로부터 Bannister (2014)의 표상의 유연성을 통해 연구 참여 학생들의 이차함수 이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그래프 표상 모드는 계산 도표학적 모드이며, 조작적 모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오류를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함수의 이해를 대상과 과정 관점에서 표상의 사용으로 분류한 Bannister(2014)의 유연성의 분류에서는 과정 관점으로 함수를 이해하고 두 표상 사이에 조작이 일어나지 않는 경직된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실에서 학생들을 위한 그래프 표상 사용에 대한 교육 및 다양한 관점으로 함수를 이해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modes related to use of graph representation that appears to solve high school students quadratic function problem based on the graph using modes of Chauvat. It was examined the extent of understanding of the quadratic function of students through the flexibility of the repres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은 함수 문제 해결의 성공 여부와 과정과 대상 관점을 연결하여 6가지의 유형의 문제 해결 유형을 세분화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의 향상과 대상과 과정 관점의 형성을 위해서 지필환경을 보완할 수 있는 동적인 교육 공학 환경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드러난 이런 측면을 보완하기 위해 Chauvat의 그래프 사용 모드에 근거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이차함수 문제해결에서 나타나는 그래프 표상의 사용 모드를 분석하고 Bannister(2014)의 표상의 유연성을 통해 연구 참여 학생들의 이차함수 이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도 이러한 그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따라서 학생들이 그래프를 단순히 점들의 연결이라는 개념을 벗어나 다양한 모드로 그래프 표상을 사용할 수 있는 경험과 그래프 표상을 함수 표상의 하나로 인식하고 조작, 사용할 수 있는 과제를 풍부하게 제공하는 수업이 필요함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학생들이 계산도표학적 모드를 선호하는 원인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는 학생들이 그래프 표상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차함수에 대한 이해를 과정과 대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 학생들의 그래프 사용 모드는 수치적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그래프를 사용하는 계산 도표학적 모드가 주된 사용 모드이며 표의기호적 모드의 사용의 경우 많은 학생들이 오류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학생들이 그래프 표상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차함수에 대한 이해를 과정과 대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과 그로부터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예를 들어 포물선 모양의 그래프는 두 변수 사이의 이차적인 변화의 아이디어를 나타내므로 표의기호적 모드의 예가 된다(Yavuz, 2010, 재인용). 본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은 기울기가 서로 다른 두 그래프를 비교하는 문제에서 그래프들 사이의 위치 관계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다. 하지만 그래프의 의미를 고려하지 않고 좁은 관점으로 그래프의 위치만 인식하고 답을 기록함으로써 그래프 해석에 오류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문제에서 주어진 그래프 표상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함수 개념에 대한 이해의 관점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5년 4월 6일 ~ 4월 31일 사이에 진행된 이차함수의 수업을 받은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더 나아가 Maria & Vanessa (2012)는 학교에서 시각적 표상의 사용을 규정하는 규칙과 기준은 수학 교수 활동의 중요한 부분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들 연구자들의 주장처럼 그래프 표상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해 그래프 표상을 올바르게 해석하고 사용할 수 있는 교육 및 교수 학습 활동이 요구됨을 본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산 도표학적 모드는 무엇인가? 세 가지 유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계산 도표학적 모드는 국소적인 절차를 사용하여 수치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그래프를 사용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이때 그래프에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수치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그래프를 조작하고 사용하는 것이다.
대상(Object) 관점과 과정(Process) 관점은 어떤 표상과 관련이 있는가? 그리고 이러한 함수 개념을 이해하는 관점에는 대상(Object) 관점과 과정(Process) 관점이 있으며 함수 문제 해결에서 과정과 대상 관점의 형성은 성공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다. 이 대상과 과정 관점은 함수를 나타내는표, 대수식, 그래프 표상과 관련이 있다. 그래서 학생들은 함수와 관련된 이러한 표상들을 조작하는 과정을 통해 함수의 이해 관점을 형성한다 (Moschovich, Schoenfeld, & Arcavi, 1993).
함수 개념을 이해하는 관점은 어떻게 나누어져 있는가? 함수 개념은 수학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며 함수에 대한 감각을 기르는 것은 수학 학습에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Eisenberg, 1992). 그리고 이러한 함수 개념을 이해하는 관점에는 대상(Object) 관점과 과정(Process) 관점이 있으며 함수 문제 해결에서 과정과 대상 관점의 형성은 성공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다. 이 대상과 과정 관점은 함수를 나타내는표, 대수식, 그래프 표상과 관련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남희, 나귀수, 박경미, 이경화, 정영옥, 홍진곤(2006).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2. 류희찬(2004). 수학교육에서 탐구형 소프트웨어의 활용방안. 청람수학교육, 14, 1-15. 한국교육대학교 수학교육연구소. 

  3. 이광상, 조민식, 류희찬(2006). 엑셀의 활용이 일차함수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학교수학, 8(3), 265-290. 

  4. Bannister, V. R. P. (2014). Flexible conceptions of perspectives and representations: an examination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i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2(3), 223-233. 

  5. Blume, G. W. & Heckman, D. S. (1997). What do students know about algebra and function? In P. Kenney & E. Silver (Eds.), Results from the sixth mathematics assessment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pp. 225-277). Reston, VA: NCTM. 

  6. Dubinsky, E. & Harel, G. (1992). The nature of process of function. In E. Dubinsky, & G. Harel(Eds.), The concept of function: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 (MAA Notes No. 25, pp. 85-106).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7. Eisenberg, T. (1992). On the development of a sense for functions. In G. Harel & E. Dubinsky (Eds.), The concept of function: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 (pp. 153-174).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8. Eisenberg, T. & Dreyfus, T. (1994). On understanding how students learn to visualize function transformations. Research on Collegiate Mathematics Education, 1, 45-68. 

  9. Even, R. (1998). Factors involved in linking representations of functions.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17(1), 105-121. 

  10. Friedlender, A. & Tabach, M. (2001). Promoting multiple representation in algebra, In A. A. Cuoco (Ed.), The roles of representation in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11. Goldin, G. A. (1987). Cognitive representational systems f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Claude Janvier (Ed.), Problems of representa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pp. 125-146).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2. Hitt, F. (1998). Difficulties in the articulation of different representations linked to the concept of function.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17(1), 123-134. 

  13. Janvier, C. (1987). Problems of representa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Hillsdale, NJ: Erlbaum. 

  14. Kleiner, I. (1989). Evolution of the function concept: A brief survey. College Mathematics Journal, 20, 282-300. 

  15. Lamon, S. J. (2001). Presenting and representing: From fractions to rational numbers. In A. Cuoco (Ed.), The roles of representation in school mathematics. 2001 Yearbook of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p. 41-52).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6. Lesh, R., Post, T., & Behr, M. (1987). Representations and translations among representations in mathematics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Claude Janvier (Ed.), Problems of representa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pp. 33-40).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7. Maria T. & Rafael M. P. (2010). Geometrical representations in the learning of two-variable function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19. 

  18. Maria, M. D. & Vanessa, S. T. (2012). The role of visual representations for structuring classroom mathematical activi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0(3), 413-431. 

  19. Monk, G. S. (1988). Students' understanding of functions in calculus courses. Humanistic Mathematics Network Newsletter, 2. 

  20. Monk, S. & Nemirovsky, R. (1994). The case of Dan: Student construction of a functional situation through visual attributes. CBMS Issues in Mathematics Education, 4, 139-168. 

  21. Moschkovich, J., Schoenfeld, A., & Arcavi, A. (1993). Aspects of understanding: On multiple perspectives and representations of linear relations and connections among them. In T. Romberg, E. Fennema, & T. Carpenter (Eds.), Integrating research on the graphical representation of function (pp. 69-100).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2. Romberg, T., Fennema, E., & Carpenter, T. (1993). Toward a common research perspective. In T. Romberg, E. Fennema & T. Carpenter (Eds.), Integrating research on the graphical representation of func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3. Sierpinska, A. (1992). On understanding the notion of function. The concept of function: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 25, 23-58. 

  24. Selden, A. & Selden, J. (1992). Research perspectives on conceptions of fuction summary and overview. In E. Dubinsky, & G. Harel (Eds.), The concept of function: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 (MAA Notes No. 25, pp. 133-150).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5. Yavuz, I. (2010). What does a graphical representation mean for students at the beginning of function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41(4), 467-485. 

  26. Yerushalmy, M. & Schwartz, J. (1993). Seizing the opportunity to make algebra mathematically and pedagogically interesting. In T. Romberg, E. Fennema, & T. Carpenter (Eds.), Integrating research on the graphical representation of function (pp. 69-100).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7. Yerushalmy, M. & Swidan, O. (2012). Signifying the accumulation graph in dynamic and multi-representation environment. Educational Studies Mathematics, 80, 287-3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