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간 심리에 대한 연구도구로서의 사진: 우정 사진을 예로
Photography as a research tool for studying human psychology: Photos of friendship as an exampl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3, 2016년, pp.337 - 344  

문경숙 (원광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지난 반세기 동안 인간 심리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 도구들의 창출을 가져왔다. 눈에 보이지 않는 심리 현상을 객관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다양한 검사도구들이 개발되었고 이러한 흐름은 인간 심리에 대한 양화된 자료의 양산을 가져왔다. 그러나 인간 경험의 주관성과 세밀함을 고려해 보건데 개인의 독특한 경험 세계와 이를 해석하는 관점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만 한다. 본 논문은 이런 맥락에서 인간의 심리를 탐구하는 도구로 사진을 제안하고, 사진의 연구도구 가능성을 타진해보았다. 스마트폰의 확산과 함께 파고든 사진 찍기 일상은 사진이라는 예술활동을 대중 친화적으로 만들었고, 만약 이러한 사진 찍는 활동이 인간의 심리를 탐구하는 연구도구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한다면 인간에 대한 이해의 깊이와 넓이는 획기적인 전기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사진이 인간의 주관적인 경험과 해석을 얼마나 충실히 담아내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대학생 두 명의 우정에 대한 사진을 소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사진의 연구도구 가능성을 피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past half century, researches on human psychology have witnessed the flourish of various research tools in this area. Many psychological measures were developed to get objectified data and this trend has lead to the abundance of quantified results. However, considering subjectiveness and re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의 목적은 인간의 심리에 대한 연구를 다른 차원에서 접근하기 위하여 이미지화된 자료 수집 방법 중 사진의 유용성을 타진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면서 겪었던 어려움 중의 하나는 청소년이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어려워하고 부담스러워 한다는 것이었다.
  • 본 연구자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우정에 대한 사진 찍기를 시도해보았다. 이를 통하여 앞서 기술한 사진의 연구도구 가능성을 더 구체화하고 우정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도 살펴보는 기회로 삼고자 하였다.
  •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는 사람들의 사진 찍는 활동을 일상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만약 사진이 인간 심리에 대한 탐구방법이 될 수만 있다면 편리성과 경제성이라는 측면에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다. 이런 취지에서 본 논문은 사진이 인간의 심리를 이해하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는지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자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우정에 대한 사진 찍기를 시도해보았다. 이를 통하여 앞서 기술한 사진의 연구도구 가능성을 더 구체화하고 우정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도 살펴보는 기회로 삼고자 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중‧고등학교 시절의 우정에 대한 회고적인 사진찍기를 주문했고 학생들은 사진과 함께 간단한 포토에세이를 작성하였다.

가설 설정

  • 가장 대표적인 예로 주제통각검사(TAT: Thematic Apperception Test)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는 애매한 그림이나 사진을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사람들이 그림에서 읽어내는 것이 바로 그 사람의 심리상태일 것이라고 가정하는 검사도구이다. 사람들의 마음상태가 그림을 바라보는 시각에 투사된다고 가정하고, 그림에 대한 이야기 속에 그 사람의 과거 경험과 관련된 심리적 상태가 녹아있다고 가정한다.
  • 우리는 사진이 순간을 포착한다고 말하지만, 사진은 오랜 시간에 걸친 고민의 흔적을 찍어내기도 하고 개인적인 염원을 찍어내기도 한다. 액자 속에 담긴 정물로서의 사진이 아니라 인간의 육체 안에 숨겨진 심리를 밖으로 끄집어내는 훌륭한 연구 도구로 사진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사진 찍기의 학문적 역할에 대한 탐구를 시도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 성능이 향상되면서 우리에게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이미지 중에서도 사진은 현대인의 일상과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의 성능이 날로 향상되면서 우리는 매우 적극적으로 우리의 일상을 찍고 저장하고 수시로 꺼내본다. 사람들은 사진을 보면서 과거를 회상하기도 하고, 마음속에 담긴 것을 사진으로 찍기도 한다.
사진이나 그림이 사람들의 마음을 진단하는 도구로 사용된 대표적인 예시와 특징은 무엇인가? 사진이나 그림이 사람들의 마음을 진단하는 도구로 사용된 지는 오래되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주제통각검사(TAT: Thematic Apperception Test)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는 애매한 그림이나 사진을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사람들이 그림에서 읽어내는 것이 바로 그 사람의 심리상태일 것이라고 가정하는 검사도구이다. 사람들의 마음상태가 그림을 바라보는 시각에 투사된다고 가정하고, 그림에 대한 이야기 속에 그 사람의 과거 경험과 관련된 심리적 상태가 녹아있다고 가정한다.
집-나무-사람 검사는 심리를 어떻게 파악하는 방법인가? 이 검사는 아동에게 백지를 주고 이 세 가지 것을 그려보라고 한 후, 아동이 그린 그림을 통해 아동의 심리상태를 읽어내는 검사이다. 집-나무-사람 검사는 TAT와 다르게 이미 그려져 있는 그림이나 사진을 해독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이 자신의 마음에 있는 것을 그림을 통해 표현해내도록 하고, 그 그림 속에 담긴 숨은 심리를 파악해내는 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P. Tinkler, Using photographs in social and historical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2013. 

  2. J. Kim, & Y, Kim, An inquiry on the educational power of the photograph from Walter Benjamin's perspective. Anthropology of Education, Vol. 12, No. 2, pp. 103-135, 2009. 

  3. G. Rose, Visual methodologies(3rd Ed.). Thousand Oaks, CA: Sage. 2012. 

  4. S. Pink(Ed.), Advances in visual methodology. Thousand Oaks, CA: Sage, 2012. 

  5. M, Kim, & Y. Tschong, Meaning and value of photography in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Idea, Vol. 24, No. 3, pp. 47-63, 2010. 

  6. L. Longoria, & I. Marini, Perceptions of children's attitudes toward peers with a sever physical disability.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 72, No. 3, pp. 19-26, 2006. 

  7. M. P. Allen, Momentum: A photo essay of the transgender community in the United States over 30 years, 1978-2007. Sexuality Research & Social Policy, Vol. 4, No. 4, pp. 92-104, 2007. 

  8. P. F. Casy, & S. J. Dollinger, College students' alcohol-related problems: An autophotographic approach. Journal of Alcohol and Drug Education, Vol. 51, No. 2, pp. 8-25, 2007. 

  9. D. Schwartz, Visual ethnography: Using photography in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Sociology, Vol. 12, No. 2, pp. 119-154, 1989. 

  10. H. Kwon,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using photography as tool for multicultural communicatio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 19, No. 3, pp. 227-247, 2011. 

  11. Y. Choi, Photography as a research method for qualitative inquir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0, No. 4, pp. 89-113, 2005. 

  12. D. Harper, Talking about pictures: A case for photo elicitation. Visual Studies, Vol. 17, No. 1, pp. 13-26, 2002. 

  13. S. Kim, & H. Ahn, A study on a photo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of the youth: A case of LTP. Journal of Art Education, Vol. 42. pp. 149-180, 2015. 

  14. K. Rubin, W. Bukowski, & J. C., Bowker, Children in peer groups. In M. C. Bornstein, & T. Leventhal(Eds.), Ecological settings and processes. Volume 4 of the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and developmental science(7th ed., pp. 175-222). Editor-in-Chief: R. M. Lerner. Hoboken, NJ: Wiley, 2015. 

  15. J. R. Brauer, & J. De Coster, Social relationships and delinquencyL Revisiting parent and peer influence during adolescence. Youth and Society, Vol. 47, No. 3, pp. 374-394, 2015. 

  16. K. H. Rubin, B. Fredstrom, & J. Bowker, Future directions in friendship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Social Development, Vol. 17, pp. 1085-1096, 2008. 

  17. W. Hartup, & N. Stevens, Friendships and adaptation in the life course. Psychological Bulletin, Vol. 121, pp. 355-370, 1997. 

  18. T. J. Dishion, G. R.. Patterson, M. Stoolmiller, & M. L. Skinner, Family, school, and behavioral antecedents to early adolescent involvement with antisocial peers.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27, No. 1, pp. 172-180, 1991. 

  19. S. Oh, & S. Lee, The relations between theory of mind and bullying/defending behaviors among adolescents: Moderation effect of callousunemotional traits.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12, No. 3, pp. 149-169. 2011. 

  20. D. Kim, & K. Lee, Relation between peer status and aggressive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ed on likeability and popularity.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Vol. 23, No. 2, pp. 175-194, 2010. 

  21. A. M. Ryan, The peer group as a context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adolescent motivation and achievement. Child Development, Vol. 72, No. 4, pp. 1135-1150, 2001. 

  22. E. R. Altermatt, Capitalizing on academic success: Students' interactions with friends as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Vol. 31, No. 1, pp. 174-203, 2011. 

  23. K. C. McLean & M. Pasupathi, Process of identity development: Where I am and how I got there. Identity: An International Journal of Theory and Research, Vol. 12, pp. 8-28, 2012. 

  24. Y. Choi, & S. Shin, Getting closer to children's everyday life through photo-interview.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8, No. 2, pp. 129-152, 2013. 

  25. E.-H. Park, H.-S. Kim, & J.-O. Kim. The effect of convergence action learning techniques in simulation clas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241-248. 2015. 

  26. Y.-A. Jung. A study on the education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2, No. 1, pp. 15-20. 2011.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