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면적 주거환경 구성요소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ltiphasic components of home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3, 2016년, pp.419 - 425  

홍선관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부동산학과)

초록

본 연구는 거주자들이 지각하는 주거의 다면적 구성요소, 즉 물리적, 안전적, 경제적, 교육적 요소 등과 사생활보장에 대한 인식수준을 파악하고, 이러한 다면적 요소들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주거의 다면적 구성요소를 독립변인으로, 삶의 만족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2015년 9월에서 11월까지 디지털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최종적으로 298부의 설문이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응답자들은 주거의 각각의 특성들에 대해 대체로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 중 사생활 보장 수준을 중간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지각하였다. 둘째, 주거의 사생활 보호 및 경제성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이었다. 셋째, 건강 및 월평균소득이 삶의 만족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면적 주거 환경 구성요소 중 주거의 사생활 보호 및 경제성이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multiphasic components of home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5 to November, 2015 and 298 responses from the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는 일반 거주자들의 삶의 만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면적인 거주환경 구성요소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현실적인 한계로 개인이 원하는 주거환경을 확보하지 못할지라도 개인이 당면한 주거환경에서, 미시적인 차원에서 개별적·주관적으로 중요한 주거요소를 찾고 그것이 확보될 때 부분적으로나마 삶의 만족이 증진될 수 있다는 경험적 자료를 확인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디지털대학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거주환경의 다양한 요인들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디지털대학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주거환경 구성요인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연구대상자는 서울지역에 소재한 디지털대학교의 재학생인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에게 조사의 취지 및 내용, 절차 등에 대해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하였으며, 이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성인들이 조사에 응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본 조사는 2015년 9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실시되었으며, 이메일을 통해 총 500여 부가 배포되었으나 수집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298부가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디지털대학의 성인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지하는 다면적인 주거환경 구성요소의 수준은 어떠하며, 그러한 주거환경 구성요소들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은 무엇인가? 주거, 즉 집은 인간의 삶을 담는 그릇이고 주거환경은 주택을 둘러싼 자연적,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환경으로서 보다 광범위한 의미에서 인간의 삶을 담아내는 곳이다. 실제 거주자들은 주거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선택조건과 기준을 단순히 단위주택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주거를 둘러싼, 주거의 질을 결정하는 주거환경에도 주된 관심을 갖는다[3,4].
개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인간의 노화가 진행될수록 부각될 요인은 무엇인가? 개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심리사회적인· 환경적인 측면에서 실로 다양하지만, 그 중 주거 특성과 같은 물리적 요인은 인간의 노화가 진행될수록 더욱 중요한 요소로 부각될 수 있다[1]. 이는 일반적으로 노화로 인해 신체적 기능이 저하되고 사회적 활동 범주가 축소될수록, 자신의 거주지에서 하루일과 중 장시간을 보내게 되기 때문이다.
주거 특성과 같은 물리적 요인이 인간의 노화가 진행될수록 더욱 중요한 요소로 부각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개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심리사회적인· 환경적인 측면에서 실로 다양하지만, 그 중 주거 특성과 같은 물리적 요인은 인간의 노화가 진행될수록 더욱 중요한 요소로 부각될 수 있다[1]. 이는 일반적으로 노화로 인해 신체적 기능이 저하되고 사회적 활동 범주가 축소될수록, 자신의 거주지에서 하루일과 중 장시간을 보내게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선행연구[2]의 주거실태조사에 의하면 심지어 노인들은 일상생활능력이 저하된 이후에도 현재 집에서 계속 거주를 희망하고 있고, 건강이 악화될 경우에도 요양원 등의 시설보다는 현재 집에서 계속 거주를 희망하는 노인이 6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H. Cho, H. G. Kang, Residents' Attitudes for the components of Home Environment. Housing Research Journal, Vol. 11, No.1, pp.45-56, 2000. 

  2.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On Survey of Housing Research Report (Elderly), 2009. 

  3. J. H., Park. An Analysis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in Downtown of Seoul. Master dissertation,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2012. 

  4. J. W. Yang, A Study on the urban residents'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Master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1990. 

  5. S. H. Cho, A Study on the Motives of Mobility and profile of Housing Environment Quality according to Household Characteristics. Housing Research Journal, Vol.7, No. 2, pp.69-77, 1996. 

  6. B. S., Kim , C. M. Chung, Study on the effect of housing value and trust in residential area on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 according to the housing environment influence factors - Focusing on the multi-family housing dwellers in general residential area of Jeonju. Housing Evironment Vol. 11, No. 2, pp.79-92. 2013. 

  7. Y. J. Kim, Analysis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Live of the Elderly using Person-Environment Fit Model Kim. Housing Evironment Vol. 11, No. 1, pp.51-62. 2013. 

  8. H.Y. Chung.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and Cognitive Defusion in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Thoughts and Satisfaction with Life. Master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5 

  9. J. H., Park. An Analysis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in Downtown of Seoul. Master dissertation,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2012. 

  10. C. H. Peck.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Housing and Quality of Life," Oklahoma state Univ. Ph D. Dissertation.1981. 

  11. S. B. Park, Residential Factor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Vol. 23 No. 3, 2011. 

  12. H. M. Yoon, A Study of the Influence of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Ph D.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2010. 

  13. J. I. Kim, What is the house to Koreans?, Dong-a news, http://news.donga.com/Main/3/all/20131012/5815563/1, October, 13. 2013. 

  14. H. J. Jeon, University Students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Residential Preference to One-room Housing,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Mokwon. 2011. 

  15. B. H. Jung, A Research on the Effect of Residential Property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Value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okwon. 2011. 

  16. C. O. Jang, "A study of family function and convergent adaptation hearing protection facto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3, pp. 119-125, 2015. 

  17. H. J. Choi, Soon-Gi Back, "A Study on Depressive disposition by Convergence approach of Leisure History and Family situatio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295-302,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