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정신질환자의 자립 및 주거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조사
A Study on Self-reliance and Residential Service Needs of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6 no.2, 2018년, pp.145 - 151  

전현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실) ,  허유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실) ,  고영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재헌 (국립재활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연구목적 만성정신질환자들의 회복 및 사회적 복귀를 돕기 위해 주거시설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집단적인 보호방식 및 획일화된 훈련 등으로 인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주거훈련시설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기대 및 욕구를 알아보기 위해 조사 연구가 이루어졌다. 방 법 안산 지역 내 정신보건 기관을 이용하는 만성정신질환자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인구사회적 특성, 자립의지, 원하는 주거 시설 형태 및 주거 서비스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 과 과반수이상이 자립에 대한 욕구를 보였으며, 이를 위해 일자리 지원을 가장 필요로 했다. 주거 시설 이용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일상생활 및 사회기술 훈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시설형태는 주간재활방식을 선호했고, 주중에는 공동생활을 하다가 주말에는 집으로 귀가하는 운영방식을 원했다. 결 론 주거훈련시설 참여와 관련하여 실제 이용자들의 욕구가 실질적인 치료 및 재활프로그램에 반영될 수 있도록, 주거훈련시설 및 재활서비스의 개선이 필요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Residential services are provided to help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but those have some problems because of provider focused services and uniformized training. S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residential needs of patients with the chronic mental illness such as ch...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셋째, 연구참여자들의 정확한 정신건강의학적 상태는 환자의 자가보고에 의해 간접적으로 파악하였으므로, 양극성장애, 우울증 등과 같은 공존질환 유무에 대해서는 확인이 제한되었다. 그러나 이 또한 설문 과정에서 정신 보전문요원이 설문이 어려울 정도의 감정상태 등에 대해 모니터링 하는 과정을 거쳤다.
  • 이는 설문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단, 본 설문 진행은 정신보건전문요원이 직접 일대일로 설문의 과정을 도와 이로 인한 오류를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의 정확한 정신건강의학적 상태는 환자의 자가보고에 의해 간접적으로 파악하였으므로, 양극성장애, 우울증 등과 같은 공존질환 유무에 대해서는 확인이 제한되었다.
  • 설문에 응하기 어려운 연구 참여자의 경우 정신보건요원의 도움을 받아 보충 설명 후 작성하도록 하였다. 모든 자료는 익명화된 형태로 보관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가천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인을 득하였다(1044396-201806-HR-134-01).
  • 본 연구는 대표적인 만성정신질환인 일지역에 거주하는 조현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립을 위한 주거서비스의 요구를 조사한 연구이다. 이들 환자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하고 욕구를 파악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드물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지역 정신보건센터를 이용하는 만성정신질환자들이 원하는 주거서비스의 형태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주거시설 서비스의 보완 및 개선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단, 주거 훈련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연구참여자에 한해 희망하는 주거 형태 및 시설 형태에 답하도록 하였으며, 복수 선택을 허용하였다. 주거 훈련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도 복수 응답과 함께 기타 의견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주거훈련시설에 대해서는 시설의 형태를 설문에서 설명하여 참여자의 이해를 도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만성정신질환자에 대한 주거서비스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정신보건증진 사업을 통해 사회복귀 및 주거 시설을 확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관련 시설의 수가 부족하고 기능분화도 잘 되어있지 못하다. 예산 및 전문 인력의 부족 등 제도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주거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주관적인 만족감과 관련된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여러 사람이 공동생활을 하기 때문에 집단적 보호에 따른 생활 규제가 많고, 이로 인해 거주환자들이 스트레스를 경험한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훈련 중심의 획일화된 서비스라는 비판도 받고 있는 실정이다.3,8,9)
조현병으로 인한 어려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정신장애는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며 지속적인 치료와 재활이 요구된다. 특히 조현병의 경우 주로 젊은 나이에 발병하고 쉽게 재발하므로, 조현병을 앓고 있는 정신장애자들은 증상으로 인한 고통, 가족 간의 갈등, 대인관계의 어려움, 일상생활에서의 기술부족, 사회적 편견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다.1) 또한 사회복귀에 실패하여 재입원하는 비율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정신적인 증상 때문에 정신병원 및 정신 요양소에 입원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도, 정신 사회적 요인 때문에 다시 병원으로 입원하는 경우가 많다.
지원 주거 서비스의 목표는 무엇인가? 예컨대, 미국의 경우 감독 및 통제의 정도에 따른 직선적 연속체 모델의 주거시설 서비스를 제공해 오다가, 최근에는 지원주거(supported housing)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적용해 주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2,3) 지원 주거는 지역사회 내 주거 공간의 제공과 더불어 주거 시설 내 서비스를 없애고 필요한 지원 서비스를 개별적으로 선택해 이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시설 이용자가 독립적인 삶을 영위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4) 또한 영국과 일본의 경우에는, 주거 우선 정책을 통해 지원주택 제도를 시행하여 지역 사회에서 만성정신질환자들이 적은 비용으로 주택을 임대하거나 소유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an KS.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 with chronic mental illness in community.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2;11:430-442. 

  2. Byun EK, Yoon SJ. A study on the residential relational factors and residential service needs of persons with a mental disability.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0;19:85-95. 

  3. Bae EM, Park HJ. The experience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supported housing. Korean Acad of Qualitative Res in Soc Welfare 2017;11:59-87. 

  4. Hong SM, Byun KH, Ha KH, Lee SH. A study on strengthening housing support system for the disabled.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2014. p.14-94. 

  5. Welfarenews.net. Guaranteed independence of mentally disabled person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coexist. 2017. 6. 28. Retrieved from http://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61770. 

  6. Kim MK, Seo GD, Ha KH, Kim TY.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illness care and rehabilitation services.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14. p.23-430. 

  7. Hong SM, Kim DH, Kim MK, Yeom HG, Lee YP. Survey on the comparison of overseas cases for integration of community with mental illness.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2016. p.16-47. 

  8. Seo GD. A study on the independent housing experience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018;30:239-271. 

  9. Kown SJ, Hoe MS. A study of housing accommodation preference of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J Soc Sciences 2010;29:7-31. 

  10. Jeon JH. A study on the effect of residential service to care burden and attitude of family with the mental illness. Korean Academy of Practice Human Welfare 2014;12:63-84. 

  11. Park EJ. A study on the client satisfaction of residential service for mentally ill(master thesis).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2002. 

  12. Choi HC.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ommunity integration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at home. J Social Science 2013;39:151-177. 

  13. Corrigan P. How Stigma interfaces with mental health care. American psychologist 2004;59:614-625. 

  14. An EJ, Park KM. The effects of the changes in insight, stigma and depression on the change of quality of life in hospitalized schizophrenia patients. J Korean Assoc Soc Psychiatr 2016;21:55-62. 

  15. Kim MY, Koo JH, Koo CY. Concept analysis of self-reliance in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6;25:155-165. 

  16. Kim NR, Kim MS., Kwon JH. A study on recovery of Korean chronic schizophrenics. J Clin Psychol 2005;24:739-754. 

  17. Lee OJ, Kim HS. A study on rehabilitation program and satisfaction for the mental health disord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J Korean Acad Psych Mental Health Nurs 2004;13:449-457. 

  18. Cho SJ, Kim YI, Cho MJ, Suh TW, Park KS, Bae JN, Shin CJ, Chi KW, Hahm BJ, Chung IW. Needs assessment of the chronic mentally ill with low income living in the commun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3;42:771-783. 

  19. Kim H, Shin YJ. Study on factor to Independent Living of chronic mental disorder. Dongduk university Life Science Res 2004;9:106-116. 

  20. Kim EH, Kim YH. A comparison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ocial adjustment of mentally disabled living at residential facilities and home.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9;18:78-96. 

  21. Serrano-Aguilar PG, Lopez-Bastida J, Yanes-Lopez V. Impa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perceived burden of informal caregivers of individuals with Alzheimer's disease. Neuroepidemiology 2006;27:136-142. 

  22. Gururaj GP, Math SB, Reddy JY. Family burden, quality of life and disability in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an Indian perspective. J Postgrad Med 2008;54:91-97. 

  23. Park BS, Bae SW, Lim SO. A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rel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persons with severe mental illnes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013;41:63-92. 

  24. Jo EJ, Kim HS, Kim JC.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e on the family function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comparison of the persons with recent onset and chronic mental. Korean J of Fam Soc Work 2017;57:99-124. 

  25. Antonio L. An overview of the mental health system in Italy. Ann Ist Super Sanita 2009;45:5-16. 

  26. Angelo P, Ilaria L, Valentina C, Jessica D, Laura I, Giovanni de Girolamo. Monitoring and evaluating the ltalian mental health system. J Nerv Ment Dis 2014;202:451-4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