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반의 파괴기준에 따른 제주도 현무암의 강도정수
Strength Parameters of Basalts in Jeju Island according to Rock Failure Criterions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2 no.3, 2016년, pp.15 - 27  

양순보 (일본 국립연구개발법인 항만공항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북동부 육해상, 남동부 해상 및 북서부 해상에서 채취한 현무암 암석에 대하여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로부터 산정된 Hoek-Brown 파괴기준의 파라미터인 암석 계수 $m_i$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Hoek-Brown 파괴기준으로부터 추정된 점착력내부 마찰각과 Mohr-Coulomb 파괴기준으로부터 산정된 점착 력 및 내부 마찰각을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 현무암 암석에 대한 Hoek-Brown 파괴기준의 암석 계수 $m_i$는 암석의 내부 마찰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으며, 내부 마찰각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Hoek-Brown 파괴기준으로부터 추정된 점착력은 Mohr-Coulomb 파괴기준으로부터 산정된 점착력보다 평균적으로 약 24% 정도 과대하게 추정되고 있으며, Hoek-Brown 파괴기준으로부터 추정된 내부 마찰각은 Mohr-Coulomb 파괴기준의 내부 마찰각과 비슷한 값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series of triaxial compressive strength tests were conducted for basaltic intact rocks sampled in the northeastern onshore and offshore, southeastern offshore and northwestern offshore of Jeju Island. Hoek-Brown constants $m_i$ were estimated from the results of the tria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북동부 육해상, 남동부 해상 및 북서부 해상에서 채취한 현무암 암석에 대한 삼축압축시험 결과와 Kim(2006)과 Nam et al.(2009)의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제주도 현무암에 대한 Hoek-Brown 파괴기준에서 이용되는 암석 계수 mi의 특성 및 적절한 특성값을 살펴보고, Mohr-Coulomb 파괴기준으로부터 산정된 점착력 및 내부 마찰각과 Hoek-Brown 파괴기준으로부터 추정된 점착력 및 내부 마찰각을 각각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8과 9에 그 결과를 각각 도시하였다. Fig. 8에서는 Mohr-Coulomb 파괴기준의 점착력과 Hoek-Brown 파괴기준으로부터 추정된 점착력을 비교하였으며, Fig. 9에서는 Mohr-Coulomb 파괴기준의 내부 마찰각과 Hoek- Brown 파괴기준으로부터 추정된 내부 마찰각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북동부 육해상, 남동부 해상 및 북서부 해상에서 채취한 현무암 암석에 대한 삼축압축 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제주도 현무암 암석에 대한 HoekBrown 파괴기준에서 사용되는 암석 계수 mi의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Hoek-Brown 파괴기준으로부터 추정된 점착력 및 내부 마찰각과 Mohr-Coulomb 파괴기준으로부터 산정된 점착력 및 내부 마찰각을 각각 비교・분석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 제주 광역경제권 선도사업 R&D사업의 제주 해역 특성에 적합한 해상풍력발전기의 설치를 위한 지반설계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2012년에서 2014년까지 약 3년 간에 걸쳐 제주도 북동부 육해상, 남동부 해상, 북서부 해상에 대하여 시추가 이루어졌으며(Fig. 3), 채취된 암석에 대한 구성광물과 조성을 파악하기 위한 편광현미경 및 X-선 회절 분석, 그리고 KS 및 ASTM 시험규정에 입각한 다양한 물성시험 및 강도시험이 수행되었다.
  • 제주도 현무암 암석에 대한 삼축압축시험 결과로부터 산정된 Mohr-Coulomb 파괴기준의 파라미터인 점착력 및 내부 마찰각, 그리고 Hoek-Brown 파괴기준으로 부터 추정된 점착력과 내부 마찰각을 비교하기 위하여 Fig. 8과 9에 그 결과를 각각 도시하였다. Fig.

대상 데이터

  • 암석은 NX구경인 코어 시추기를 이용하여 채취하였으며, 한국암반공학회 시험편 제작 표준법(2005)에서 제시하고 있는 종횡비(h/d; h: 암석 시편의 높이, d: 암석 시편의 직경)에 만족하도록 Fig. 4와 같이 원주형 암석 시편을 제작하였고(제주도 북동부: h=99.78±2.67mm, d=50.36±0.26mm; 제주도 남동부: h=121.56±1.05mm, d=52.52±0.55mm; 제주도 북서부: h=110.78±5.20mm, d=49.94±0.24mm), 이들 현무암 암석 시편에 대하여 ASTM 규정 D 7012에 따라 5MPa, 10MPa, 15MPa인 구속압력 아래에서 가압속도를 0.5MPa/s로 축하중을 가하여 삼축압축시험(압축시험기: KDC9409-20; 삼축압축셀: NX 코어용)을 수행하였다.

이론/모형

  • 여기서, Table 6과 Table 7에 나타낸 식 (10)의 선형관계식 및 결정계수는 Hoek and Brown의 연구와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Hoek and Brown(1997)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삼축압축시험 결과에서 0 < σ3′ < 0.5σ1′인 범위에 포함된 결과에 대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Hoek-Brown 파괴기준으로부터의 점착력 및 내부 마찰각의 추정은 Hoek and Brown(1997)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식 (6)에 나타낸 관계식을 이용하여 0 < σ3′ < 0.25σci 인 범위에 있는 8개의 같은 간격으로 떨어진 σ3′ 값들에 대한 σ′ 값을 각각 구하고, (σ3′, σ′) 값들에 대한 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식 (3)과 같은 선형 관계식을 구하였으며, 식 (4)와 (5)를 이용하여 내부 마찰각과 점착력을 각각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 화산암 중, 다공성 구조를 갖고 있는 암석은? 제주도 화산암은 다공성 구조인 현무암과 같은 특수한 지질학적 조건을 갖고 있으며, 기반암은 육지부와 달리 현무암층 사이에 연약층인 화산쇄설물 및 공동이 불규칙하게 발달된 층상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전부터 대규모 토목공사 및 지하수 개발에 있어서 수많은 시행착오를 경험하고 있다(Kim, 2006). 뿐만 아니라 최근에 건설되고 있는 육상 및 해상 풍력발전시스템의 기초공사와 향후 건설예정인 대규모의 토목공사에 대비하여 제주도 암반지반에 대한 공학적 관점에서의 물리적 및 역학적 특성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무암의 기공은 어떤 원리로 형성되는가? 이중에서 제주도는 약 200만 년 전부터 역사시대까지 발생한 여러 차례의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섬으로(Yoon and Ko, 2011), 제주도의 화산암은 지역마다 지질특성이 다양하며, 그 역학적 특성 또한 지역마다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용암이 분출할 때 마그마에 작용하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그 속에 존재하던 가스가 표면으로 올라오면서 형성된 기공들은 마그마의 점성을 비롯한 여러 환경요소로 인하여 그 크기와 분포가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주도에서 중생대의 화산암는 어디에 주로 분포하는가? 우리나라의 화산활동은 중생대의 중성 내지 산성 화산암류의 분출과 신생대의 현무암의 분출로 크게 구분된다. 중생대의 화산암은 옥천대 및 경상분지 내에 주로 분포하고, 제3기 후기와 제4기의 신생대 화산활동은 제주도, 울릉도, 철원~전곡 일대, 포항분지의 구룡포 일대에서 일어났다(KGS, 2012). 이중에서 제주도는 약 200만 년 전부터 역사시대까지 발생한 여러 차례의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섬으로(Yoon and Ko, 2011), 제주도의 화산암은 지역마다 지질특성이 다양하며, 그 역학적 특성 또한 지역마다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STM D 7012-13,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and Elastic Moduli of Intact Rock Core Specimens under Varying States of Stress and Temperatures, ASTM International. 

  2. Brown, E.T. (Ed). (1981), Rock Characterization, Testing and Monitoring - ISRM Suggested Methods, Pergamon, pp.171-183. 

  3. Cho, T.C., Lee, S.B., Hwang, T.J., and Won, K.S. (2009), "Variations of Mechanical Properties of Hallasan Trachyte with Respect to the Degree of Weathering",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19, No.4, pp.287-303. 

  4. Eum, K.Y. (2002),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Volcanic Rocks in Chejudo,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p.63. 

  5. Hoek, E. and Brown, E.T. (1980), "Empirical Strength Criterion for Rock Masses", Journal of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ASCE, Vol.106, No.GT9, pp.1013-1035. 

  6. Hoek, E., Kaiser, P.K., and Bawden, W.F. (1995), Support of Underground Excavations in Hard Rock, Balkema, pp.91-106. 

  7. Hoek, E. and Brown, E.T. (1997), "Practical Estimates of Rock Mass Strength",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Vol.34, No.8, pp.1165-1186. 

  8. Hoek, E., Carranza-Torres, C., and Corkum, B. (2002), "Hoek-Brown Failure Criterion - 2002 Edition", NARMS-TAC 2002: Mining and Tunneling Innovation and Opportunity, Vol.1, pp.267-273. 

  9. International Society for Rock Mechanics (1981), Suggested Methods for Rock Characterization, Testing and Monitoring, Pergamon Press. 

  10. Kim, J.H. (2006), A Study o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trength in Pyoseonri Basalt, Master thesis, Cheju National University, p.93. 

  11. Kim, Y.K. and Choi, O.G. (1991), "Engineering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of the Northwestern Cheju Island, Ko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1, No.1, pp.19-37. 

  12.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012), Geology and Rock Mechanics for Geotechnical Engineer II, CIR Publishing Company, pp.105-110. 

  13.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2005), Standard method for sampling and preparation of rock specimen, pp.81-84. 

  14. Marinos, P. and Hoek, E. (2000), "GSI: A Geologically Friendly Tool for Rock Mass Strength Estimatio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technical and Geological Engineering, pp.1422-1440. 

  15. Marinos, P. and Hoek, E. (2001), "Estimating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Heterogeneous Rock Masses such as Flysch", Bulletin of Engineering Geology and the Environment, Vol.60, No.2, pp. 85-92. 

  16. Moon, K., Park, S., Kim, Y., and Yang, S. (2014), "Mechanical Properties of Basalt in Jeju Island with Respect to Poros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Vol.34, No.4, pp.1215-1225. 

  17. Nam, J.M., Yun, J.M., Song, Y.S., and Kim, J.H. (2008a), "Analysis of Engineering Properties to Basalt in Cheju Island", Journal of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7, No.1, pp.12-21. 

  18. Nam, J.M., Yun, J.M., Song, Y.S., and Kim, J.H. (2008b),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to Compressive and Tensile Strength of Basalt in Cheju Island",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18, No.2, pp.215-225. 

  19. Nam, J.M., Yun, J.M., and Song, Y.S. (2009), "Estimation to the Strength of Basalt in Jeju Island according to Rock Failure Criterion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19, No.2, pp.153-163. 

  20. Yang, S.B. (2014),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0, No.11, pp.39-49. 

  21. Yang, S.B. (2015a),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asalts in Northwestern and Southeastern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1, No.7, pp.41-52. 

  22. Yang, S.B. (2015b), "Cohesion and Internal Friction Angle of Basalts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1, No.11, pp.33-40. 

  23. Yoon, S.H. and Ko, K.W. (2011), Topography, Geology and Underground Water in Jeju Island, Nae Ha Publishing Company, pp.5-5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