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활로봇용 3축 힘/토크센서 설계
Design of Three-Axis Force/Torque Sensor for Rehabilitation Robot 원문보기

한국정밀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33 no.4, 2016년, pp.309 - 316  

정재현 (경상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  김갑순 (경상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described the design of a three-axis force/torque sensor for measuring the force and torque in a lower-limb rehabilitation robot. The three-axis force/torque sensor is composed of Fx force sensor, Fz force sensor and Tz torque sensor. The sensing element for Fx force sensor and Tz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Fig. 4(a)는 감지부의 두께 t1을 조절하여 Fx 힘센서의 정격하중 300 N일 때 정격출력이 약 0.5 mV/V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Fx 힘센서를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의 부착위치인 8.
  • 발지지블록은 재활로봇의 몸체역할을 하고, 3축 힘/토크센서, 발고정구, 회전모터 등이 고정되어 있다. 3축 힘/토크센서는 본 논문에서 설계 및 제작한 것으로 발바닥을 누르는 힘 (발바닥과 직각 방향의 힘) Fx, 발바닥 방향의 힘 (발 끝과 뒤꿈치 방향의 힘) Fz와 발바닥의 좌측과 우측을 누르면 발생되는 토크 Tz를 측정한다. 발고정구는 발바닥과 발목을 접착천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발을 전후로 회전시킨다.
  • 3축 힘/토크센서는 정격용량인 Fx=300 N, Fz=100 N, Tz=15.0 N m를 가하고 정격출력을 측정 하였고, 총 세 번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각 센서의 정격출력으로 결정하였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단평행평판보와 단일평행평판보를 이용하여 발목재활로봇의 발목힘측정용 3축 힘/토크센서를 설계하였다. 3축 힘/토크센서의 Fx 힘센서와 Tz 토크센서의 감지부는 2단평판보를 사용하여 설계하였고, Fz 힘센서의 감지부는 단일평판보를 사용하여 설계하였으며,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각 보의 크기가 결정하였다. 그리고 스트레인게이지를 부착하고 휘스톤브리지를 구성하여 각 센서를 제작하였고, 제작된 3축 힘/토크센서의 특성실험을 실시하였다.
  • 3축 힘/토크센서의 설계는 각 센서의 정격출력, 정격용량, 센서의 전체 크기, 감지부 보의 폭을 결정하고, 보의 길이와 두께를 변경하여 실시한다. 3축 힘/토크센서의 각 센서는 4개의 스트레인게이지로 휘스톤브리지를 구성하고, 정격변형률은 정격용량이 가해질 때 휘스톤브리지에서 출력되는 총 변형률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계산된다.
  • 8에서 나타낸 갓과 같은 실험장치를 구성하여 교정을 실시하였다. Fx 힘센서의 교정은 다축 힘센서 교정기15로 정격출력인 300 N을 가하고 출력값이 300 N이 출력되도록 증폭률을 조절 하였고, 0 N에서 300 N까지 30 N씩 증가하면서 힘을 가하고 측정기로 출력값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3번 반복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Fz 힘센서와 Tz 토크센서도 Fx 힘센서와 같은 과정으로 교정을 실시하였다.
  • 개발된 발목재활로봇1은 뇌졸중환자의 고유 신경근 촉진을 위한 발목재활로봇을 설계 및 제작하고, 6주간 환자를 대상으로 재활훈련을 실시한 결과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발목의 회전력을 측정하기 위해 로봇의 발판과 본체에 토크센서를 부착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은 발판의 회전에 따라 발판의 무게가 다르게 가해지므로 실제로 발목에 토크가 가해지지 않는데도 자중에 의한 토크값이 출력되어 실제 발목의 회전력을 측정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 5 mV/V가 되도록 설계 할 수 있었다. 그리고 Fz 힘센서는 하나의 감지부를 단독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단일평행평판보를 사용하였고, 설계시 보의 두께 t2를 변경시켜 정격하중에 따른 정격출력 약 0.5 mV/V 가 되도록 설계 할 수 있었다.
  • 3축 힘/토크센서의 Fx 힘센서와 Tz 토크센서의 감지부는 2단평판보를 사용하여 설계하였고, Fz 힘센서의 감지부는 단일평판보를 사용하여 설계하였으며,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각 보의 크기가 결정하였다. 그리고 스트레인게이지를 부착하고 휘스톤브리지를 구성하여 각 센서를 제작하였고, 제작된 3축 힘/토크센서의 특성실험을 실시하였다.
  • 그리고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t1, t1’, t2를 결정하였다.
  • 둘째, 발목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감지하기 위한 Fx 힘센서의 정격용량은 Fig. 1과 같이 발을 고정한 후 발바닥이 Fig. 1의 “A”의 위치에 접촉시킨 후 발바닥으로 힘을 x방향으로 가했을 때의 힘인 300 N으로 결정하였고, Fz 힘센서의 정격용량은 Fig. 1과 같이 고정하였을 때 발바닥을 위쪽 혹은 아래쪽 방향으로 (z방향) 밀었을 때 가해지는 힘인 100 N으로 결정하였으며, Tz 토크센서는 Fig. 1과 같이 고정하였을 때 발바닥의 안쪽 혹은 바깥쪽으로 (x방향) 힘을 가했을 때 발생되는 토크인 15 N m로 결정하였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단평행평판보와 단일평행평판보를 이용하여 발목재활로봇의 발목힘측정용 3축 힘/토크센서를 설계하였다. 3축 힘/토크센서의 Fx 힘센서와 Tz 토크센서의 감지부는 2단평판보를 사용하여 설계하였고, Fz 힘센서의 감지부는 단일평판보를 사용하여 설계하였으며,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각 보의 크기가 결정하였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단평행평판보와 단일평행평판보를 이용하여 발목재활로봇의 발목힘측정용 3축 힘/토크센서를 설계하였다. 3축 힘/토크센서의 Fx 힘센서와 Tz 토크센서의 감지부는 2단평판보를 사용하여 설계하였고, Fz 힘센서의 감지부는 단일평판보를 사용하여 설계하였으며,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각 보의 크기가 결정하였다.
  • 그리고 각 변형률분포에서 좌측과 우측의 끝의 변형률이 감소한 것은 유한요소 프로그램의 끝 효과 오차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Fx 힘센서와 Tz 토크센서는 하나의 감지부에 스트레인게이지각 4개씩을 부착하여 제작해야한다. 그래서 이들 센서들을 위해 2단평행평판보를 사용함으로 Fx 힘 센서의 설계를 위해서는 보의 두께 t1을 변경시키고, Tz 토크센서를 위해서는 두께 t1’을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각 정격하중에 따른 각 정격출력을 모두 약 0.
  • 3축 힘/토크센서는 별도의 측정장치와 연결 하여 교정을 해야 실제로 재활로봇에서 발목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축 힘/ 토크센서를 측정장치에 연결한 후 Fig. 8에서 나타낸 갓과 같은 실험장치를 구성하여 교정을 실시하였다. Fx 힘센서의 교정은 다축 힘센서 교정기15로 정격출력인 300 N을 가하고 출력값이 300 N이 출력되도록 증폭률을 조절 하였고, 0 N에서 300 N까지 30 N씩 증가하면서 힘을 가하고 측정기로 출력값을 측정하였다.
  • 셋째, 3축 힘/토크센서의 전체 크기는 재활로봇에 부착하는 것을 구려하고 각각의 센서 감지부의 크기를 고려하여 136 × 74 × 17 mm로 결정하였고, 스트레인게이지의 부착위치는 보의 길이와 스트레인게이지의 크기를 고려하여 보의 길이 방향으로는 1.5 mm, 폭 방향으로는 1/2로 하였다.
  • Fx 힘센서의 교정은 다축 힘센서 교정기15로 정격출력인 300 N을 가하고 출력값이 300 N이 출력되도록 증폭률을 조절 하였고, 0 N에서 300 N까지 30 N씩 증가하면서 힘을 가하고 측정기로 출력값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3번 반복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Fz 힘센서와 Tz 토크센서도 Fx 힘센서와 같은 과정으로 교정을 실시하였다. Table 6은 교정결과로부터 계산한 3축 힘/토크센서의 각 센서의 재현도오차와 비직선성오차를 나타내고 있다.
  • 중증뇌졸중환자는 다리 중 한쪽 혹은 모두가 굳어져 정상인과 같이 원활하게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재활전문치료사는 굳어지는 발목관절을 유연하게 하고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루에 오전과 오후 각 30분씩 재활운동을 시킨다. 재활전문치료사가 발목재활운동을 시키는 방법은 발목을 굽힐 때에는 손으로 발가락 아래부위를 잡고 체중을 실에 지긋이 누르고 3-6초 머무른 후 다시 펴는 쪽으로 누르는 것을 반복한다.
  • 45%이다. 정격토크 Tz=15 N m가 가해졌을 때 Fx 힘센서의 상호간섭오 차가 0.53%인 것은 0.2 m 암의 끝에 Fx=75 N을 가했을 때 Fx 힘센서에 0.1316 mV/V가 출력되었고, Fx=75 N을 가했을 때 Fx 힘센서의 정격출력 (0.5156 mV/V)으로부터 비례적으로 출력값을 계산하면 0.1289 mV/V이었으며, Fx 힘센서의 편차 0.0027 mV/V를 Fx 힘센서의 정격출력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대상 데이터

  • Fx 힘센서와 Tz 토크센서는 2단평행평판보를 사용하였고, 보의 전체길이 (l1+l1’)은 10 mm이고, 폭은 74 mm이며, 두께 t1과 t1’은 각각 0.0.68 mm 와 1.28 mm이었다.
  • 28 mm이었다. Fz 힘센서의 감지부는 단일평행 평판보를 사용하여 설계하였고, 길이는 10 mm이고, 폭은 14 mm이며, 두께는 1.38 mm이었다. 결론적으로 2단평행평판보를 감지부를 사용함으로서 Fx 힘 센서와 Tz 토크센서의 각 정격용량에 따른 정격출력 (약 0.
  •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Method, FEM)을 위해 소프트웨어에 입력한 재료상수 는 제작할 센서의 재질이 알루미늄이므로 종탄성 계수가 210 GPa, 프와송의비가 0.3이며, 8절점 6면체 블록을 선택하였다. Fig.
  • 1은 3축 힘/토크센서가 부착된 발목재활 로봇의 원리를 나타내고 있다. 재활로봇은 발지지 블록 (Foot Support Block), 3축 힘/토크센서 (ThreeAxis Force/Torque Sensor), 발고정구 (Foot Fixture), 접착천 (Velcro), 회전모터 (Rotation Motor) 등으로 구성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목 재활로봇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때 중요한 것은 적당한 힘을 가하여 재활효과를 크게 하는 것이다. 중증뇌졸중환자의 증가로 인해 재활전문치료사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발목재활운동은 치료사의 힘이 많이 소요되어 자동으로 치료사가 운동을 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발목 재활로봇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개발된 다축 힘/토크센서가 토크센서의 정격출력을 맞추기 매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이들 감지부는 하나의 보를 2개 센서 (힘센서와 토크센서)를 위한 감지부로 사용될 경우에는 힘센서의 정격용량과 정격출력을 맞추어 설계하면, 토크센서의 정격출력을 맞추기가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다축 힘/토크를 설계할 경우에는 각 힘센서와 토크센서의 정격용량은 사용하는 것과 같이 용도에 따라 결정하고, 정격출력은 모두 같도록 결정하기 때문에 설계변수 (보의 길이, 보의 폭, 보의 두께) 중 먼저 보의 길이와 폭을 결정하고 보의 두께를 변경하면서 각 센서의 정격중량에 따른 정격출력이 되도록 설계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나의 보를 2개 센서의 감지부로 사용할 경우에는 보의 폭에 단을 두어 2개의 두께를 변경시키면 센서 설계에서 정격출력을 맞추는데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재활전문치료사가 발목재활운동을 시키는 방법은 무엇인가? 재활전문치료사는 굳어지는 발목관절을 유연하게 하고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루에 오전과 오후 각 30분씩 재활운동을 시킨다. 재활전문치료사가 발목재활운동을 시키는 방법은 발목을 굽힐 때에는 손으로 발가락 아래부위를 잡고 체중을 실에 지긋이 누르고 3-6초 머무른 후 다시 펴는 쪽으로 누르는 것을 반복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적당한 힘을 가하여 재활효과를 크게 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Zhou, Z., Zhou, Y., Wang, N., Gao, F., Wei, K., et al.,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Integrated Robotic Ankle-Foot System for Post Stroke Rehabilitation,"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Vol. 73, pp. 111-122, 2015. 

  2. Chisholm, K., Klumper, K., Mullins, A., and Ahmadi, M., "A Task Oriented Haptic Gait Rehabilitation Robot," Mechatronics, Vol. 24, No. 8, pp. 1083-1091, 2014. 

  3. Jamwal, P. K., Xie, S. Q., Hussain, S., and Parsons, J. G., "An Adaptive Wearable Parallel Robot for the Treatment of Ankle Injuries," IEEE/ASME Transactions on Mechatronics, Vol. 19, No. 1, pp. 64-75, 2014. 

  4. Saglia, J. A., Tsagarakis, N. G., Dai, J. S., and Caldwell, D. G., "Control Strategies for Patient-Assisted Training Using the Ankle Rehabilitation Robot (ARBOT)," IEEE/ASME Transactions on Mechatronics, Vol. 18, No. 6, pp. 1799-1808, 2013. 

  5. Wu, B. and Cai, P., "Decoupling Analysis of a Sliding Structure Six-Axis Force/Torque Sensor," Measurement Science Review, Vol. 13, No. 4, pp. 187-193, 2013. 

  6. Nagai, K., Ito, Y., Yazaki, M., Higuchi, K., and Abe, S., "Development of a Small Six-Component Force/Torque Sensor Based on the Double-Cross Structure," Journal-Robotics Society of Japan, Vol. 22, No. 3, pp. 81-89, 2004. 

  7. Song, A., Wu, J., Qin, G., and Huang, W., "A Novel Self-Decoupled Four Degree-of-Freedom Wrist Force/Torque Sensor," Measurement, Vol. 40, No. 9, pp. 883-891, 2007. 

  8. Kim, H.-M., Yoon, J., and Kim, G.-S., "Development of a Six-Axis Force/Moment Sensor for a Spherical- Type Finger Force Measuring System," IET Science, Measurement & Technology, Vol. 6, No. 2, pp. 96-104, 2012. 

  9. Kim, G., "Development of a Six-Axis Force/Moment Sensor with Rectangular Taper Beams for an Intelligent Robot,"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Vol. 5, No. 4, pp. 419-428, 2007. 

  10. Park, J.-J. and Kim, G.-S., "Development of the 6-Axis Force/Moment Sensor for an Intelligent Robot's Gripper," 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Vol. 118, No. 1, pp. 127-134, 2005. 

  11. Liu, S. A. and Tzo, H. L., "A Novel Six-Component Force Sensor of Good Measurement Isotropy and Sensitivities," 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Vol. 100, No. 2, pp. 223-230, 2002. 

  12. Kim, G., "Development of 6-Axis Force/Moment Sensor for a Humanoid Robot's Foot," IET Science, Measurement & Technology, Vol. 2, No. 3, pp. 122-133, 2008. 

  13. Lee, K. and Kim, G., "Design of Structure of Four-Axis Force/Torque Sensor with Parallel Step Plate Beams,"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ol. 20, No. 11, pp. 1147-1152, 2014. 

  14. ATI Industrial Automation, "Multi-Axis Forcre/Torque Sensor," 2014. 

  15. Kim, G.-S. and Yoon, J.-W., "Development of Calibration System for Multi-Axis Force/Moment Sensor and Its Uncertainty Evaluation," J. Korean Soc. Precis. Eng., Vol. 24, No. 10, pp. 91-98,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