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시풀 추출물이 지방세포분화와 혈관신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ehmeria nivea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ngiogenesis 원문보기

KSBB Journal, v.31 no.3, 2016년, pp.145 - 150  

정민유 (한국식품연구원) ,  김성희 (한국식품연구원) ,  최효경 (한국식품연구원) ,  박재호 (한국식품연구원) ,  황진택 (한국식품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oehmeria nivea (L.) Gaud., a flowering plant, has been widely cultivated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It has been reported that B. nivea exhibits health beneficial effects for the prevention of inflammation, oxidative stress, and virus-related diseas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nhi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급성 대장염 동물모델에서 염증을 억제하는 효능도 발견하였다 [12]. 그러나 모시풀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능 및 혈관신생억제 효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어, 본 연구를 통하여 이들 효능을 증명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하여 3T3-L1 지방세포 분화모델과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혈관생성조절인자단백질에 의해 조절되는 신생혈관생성의 균형이 깨졌을 때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신규 혈관생성은 보통 상처 치료 등을 제외하면 억제되어 있고, 이는 신생혈관생성조절인자단백질에 의해 조절된다 [7]. 그러나 이러한 균형이 깨지면 당뇨성 망막병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염증, 종양의 발생을 유도하게 된다 [8]. 이에 신생혈관 형성을 예방할 수 있는 천연물 소재는 암 예방, 당뇨성 망막병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염증 등의 다양한 질병 치료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세포 측면에서 비만의 발병 원인은 무엇인가? 비만 (obesity)은 전 세계적으로 발병률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를 치료하기 위한 비용 증가는 국가 의료비 재정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세포 측면에서 비만의 발병은 불규칙한 식습관과 과다한 영양소 섭취에 비해 현저히 낮은 에너지 소비량으로 인해 지방조직의 과도한 축적으로 야기된다. 지방세포는 인체 내에서 에너지 공급이 많을 경우 중성지방으로 저장하고, 운동 등의 에너지가 필요할 경우에 유리 지방산과 포도당으로 분해하여 이용한다 [1].
피파감마는 무엇인가? 다양한 연구자들에 의해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소재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식욕억제 물질인 렙틴 (leptin), 식욕 촉진물질인 뉴로펩타이드 Y (neuropeptide Y) 길항제,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 (β3-adrenergic receptor agonist), 에너지 소비 촉진마커인 비커플링 단백질 (uncoupling protein, UCP), 지방세포 분화억제 마커인 피파감마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등을 타겟으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3-5]. 이중 피파감마는 피파의 한 타입이며, 지방산 분화 시 발현이 증가하는 전사인자로 잘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지방산 분화에 관계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5]. 따라서 오랜 기간 동안 피파감마를 억제하기 위한 항비만 약물들이 보고되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Fruhbeck, G., L. Mendez-Gimenez, J. A. Fernandez-Formoso, S. Fernandez, and A. Rodriguez (2014) Regulation of adipocyte lipolysis. Nutr. Res. Rev. 27: 63-93. 

  2. Lucke-Wold, B. P., A. F. Logsdon, R. C. Turner, C. L. Rosen, and J. D. Huber (2014) Aging, the metabolic syndrome, and ischemic stroke: redefining the approach for studying the blood-brain barrier in a complex neurological disease. Adv. Pharmacol. 71: 411-449. 

  3. Mancini, M. C. and A. Halpern (2006) Investigational therapies in the treatment of obesity. Expert Opin. Investig. Drugs 15: 897-915. 

  4. Mantzoros, C. S., D. Qu, R. C. Frederich, V. S. Susulic, B. B. Lowell, E. Maratos-Flier, and J. S. Flier (1996) Activation of beta(3) adrenergic receptors suppresses leptin expression and mediates a leptin-independent inhibition of food intake in mice. Diabetes 45: 909-914. 

  5. Wang, S., N. Moustaid-Moussa, L. Chen, H. Mo, A. Shastri, R. Su, P. Bapat, I. Kwun, and C. L. Shen (2014) Novel insights of dietary polyphenols and obesity. J. Nutr. Biochem. 25: 1-18. 

  6. Krentz, A. J., K. Fujioka, and M. Hompesch (2016) Evolution of pharmacological obesity treatments: Focus on adverse side-effect profiles. Diabetes Obes. Metab. 18: 558-570. 

  7. Li, B. and R. Xiu (2013) Angiogenesis: from molecular mechanisms to translational implications. Clin. Hemorheol. Microcirc. 54: 345-355. 

  8. Albini, A., S. Indraccolo, D. M. Noonan, and U. Pfeffer (2010) Functional genomics of endothelial cells treated with anti-angiogenic or angiopreventive drugs. Clin. Exp. Metastasis 27: 419-439. 

  9. Wei, J., L. Lin, X. Su, S. Qin, Q. Xu, Z. Tang, Y. Deng, Y. Zhou, and S. He (2014) Anti-hepatitis B virus activity of Boehmeria nivea leaf extracts in human HepG2.2.15 cells. Biomed. Rep. 2:147-151. 

  10. Kandimalla, R., S. Kalita, B. Choudhury, D. Devi, D. Kalita, K. Kalita, S. Dash, and J. Kotoky (2016) Fiber from ramie plant (Boehmeria nivea): A novel suture biomaterial. Mater. Sci. Eng. C Mater. Biol. Appl. 62: 816-822. 

  11. Sung, M. J., M. Davaatseren, S. H. Kim, M. J. Kim, and J. T. Hwang (2013) Boehmeria nivea attenuates LPS-induced inflammatory markers by inhibiting p38 and JNK phosphorylations in RAW264.7 macrophages. Pharm. Biol. 51: 1131-1136. 

  12. Shin, E. J., M. J. Sung, H. J. Yang, M. S. Kim, and J. T. Hwang (2014) Boehmeria nivea attenuates the development of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experimental colitis. Mediators Inflamm. 2014: 231942. 

  13. Sancheti, S., S. Sancheti, and S. Y. Seo (2010) Evaluation of antiglycosidase and anticholinesterase activities of Boehmeria nivea. Pak. J. Pharm. Sci. 23: 236-240. 

  14. Ghadieh, H. E., Z. N. Smiley, M. W. Kopfman, M. G. Najjar, M. J. Hake, and S. M. Najjar (2015) Chlorogenic acid/chromium supplement rescues diet-induced insulin resistance and obesity in mice. Nutr. Metab. 12: 19. 

  15. Choi, I., Y. Park, H. Choi, E. H. Lee (2006) Anti-adipogenic activity of rutin in 3T3-L1 cells and mice fed with high-fat diet. Biofactors 26: 273-281. 

  16. Alam, M. A., K. Kauter, and L. Brown (2013) Naringin improves diet-induced cardiovascular dysfunction and obesity in high carbohydrate, high fat diet-fed rats. Nutrients 5: 637-650. 

  17. Gosmann, G., A. G. Barlette, T. Dhamer, D. P. Arcari, J. C. Santos, E. R. de Camargo, S. Acedo, A. Gambero, S. C. Gnoatto, and M. L. Ribeiro (2012) Phenolic compounds from mate (Ilex paraguariensis) inhibit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Plant Foods Hum. Nutr. 67: 156-161. 

  18. Min, S. Y., H. Yang, S. G. Seo, S. H. Shin, M. Y. Chung, J. Kim, S. J. Lee, H. J. Lee, and K. W. Lee (2013) Cocoa polyphenols suppress adipogenesis in vitro and obesity in vivo by targeting insulin receptor. Int. J. Obes. 37: 584-5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