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층자료의 매개효과 분석: 통계방법, 분석절차 및 실례
Multilevel Mediation Analysis: Statistical Methods, Analytic Procedure, and a Real Example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9 no.4, 2016년, pp.95 - 110  

박선미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  박병기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다층자료 매개효과의 분석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은 다층자료 매개효과의 통계방법 탐색, 분석절차 제안, 그리고 분석의 실례 제시 등 세 가지다. 첫째, MLM (multilevel modeling)과 MSEM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중에서 어떤 방법이 다층자료의 매개효과 분석에 유용한지 탐색하였다. MSEM은 MLM의 약점을 극복한 것으로서 유용한 다층 매개효과 분석방법이었다. 둘째, 다층자료 매개효과의 분석절차를 연구모형설정, 전제조건 검토, 모형검증, 계수검증의 4단계로 전개하였다. 셋째, 매개효과 분석의 실례에 사용된 자료는 2,695명의 초중등 학생과 88명의 학급교사로 구성되었다. 분석 실례로 2층${\rightarrow}$2층${\rightarrow}$1층과 1층${\rightarrow}$1층${\rightarrow}$2층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2층${\rightarrow}$2층${\rightarrow}$1층과 1층${\rightarrow}$1층${\rightarrow}$2층 모형은 완전매개모형이 지지되었지만, 2층${\rightarrow}$2층${\rightarrow}$1층 모형의 매개효과 계수만 95% 신뢰구간에서 유의하였다. 분석 실례에 사용된 Mplus 프로그램은 부록에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oper method for the multilevel mediation analysis, for which the hierarchical method should be utilized, then MLM (multilevel modeling) approach as a hierarchical method has been popularly utilized until MSEM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개효과 연구를 통해 무엇을 이해할 수 있는가? 실제현상의 변수들은 1층과 2층 또는 개인과 집단이 분리되거나 단편적이기보다는 상호역동적이고 복합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다층자료의 분석은 실제현상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매개효과 연구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단순한 관계가 아니라 두 변수 사이에 매개변수를 상정함으로써 현상의 역동적인 관계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본 연구는 다층분석과 매개효과 연구를 결합한 다층자료 매개효과의 분석방법을 다룬다.
실제현상의 변수은 어떤 특징을 가지나? 단층자료로는 밝힐 수 없는 실제현상의 이해에 기여하는 바가 크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현상의 변수들은 1층과 2층 또는 개인과 집단이 분리되거나 단편적이기보다는 상호역동적이고 복합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다층자료의 분석은 실제현상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매개효과 연구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단순한 관계가 아니라 두 변수 사이에 매개변수를 상정함으로써 현상의 역동적인 관계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의학이나 심리학 등 여러 분야에서 다층자료를 다루는 연구의 수가 급증한 이유는? 의학이나 심리학 등 여러 분야에서 다층자료를 다루는 연구의 수가 최근 들어 급증하였다. 단층자료로는 밝힐 수 없는 실제현상의 이해에 기여하는 바가 크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현상의 변수들은 1층과 2층 또는 개인과 집단이 분리되거나 단편적이기보다는 상호역동적이고 복합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다층자료의 분석은 실제현상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e, B. R.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 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Korea: Chungram. 

  2. Barrett, P. (2007).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djudging model fi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2(5), 815-824. 

  3. Bentler, P. M. (1976). Multistructure statistical model applied to factor analysi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11(1), 23-25. 

  4. Bentler, P. M. & Chou, C. P. (1987). Practical issues in structural modeling.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16(1), 78-117. 

  5. Braun, S., Peus, C., Weiswiler, S., & Frey, D. (2013). Transformational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team performance: A multilevel mediation model of trust. The Leadership Quarterly, 24(1), 270-283. 

  6. Burnham, K, P. & Anderson, D. R. (2002). Model Selection and Multimodel Inference. New York: Springer. 

  7. Burnham, K. P. & Anderson, D. R.(2004). Multimodel inference: Understanding AIC and BIC in model selection. Sociological Methods Research, 33(2), 261-304. 

  8. Chen, F., Bollen, K. A., Paxton, P., Curran, P., & Kirby, J. (2001). Improper solution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auses, consequences and strategies. Sociological Methods Research, 29(4), 468-508. 

  9. Cruz, K. S. & Pil, F. K. (2011). Team design and stress: A multilevel analysis. Human Relations, 64(10), 1265-1289. 

  10. Hayes, A. F. (2009). Beyond Baron and Kenny: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in the new millennium. 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76(4), 408-420. 

  11. Hong, S. H.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12. Hwang, J. & Hopkins, K. (2012). Organizational inclusion, commitment and turnover among child welfare workers: A multilevel mediation analysi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36, 23-39. 

  13. Joo, M. J. & Lee, J. S.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older driver's BIS/BAS and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mobility and affectivity.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7(4), 29-40. 

  14. Kim, K. (2011). Comparisons Between the Longitudinal Multilevel Models and the Latent Growth Models and the Realization of Piecewise Growth Modeling: Longitudinal Changes and Influential Factors in Anxiety in Korean Adolescence. Unpublished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Korea. 

  15. Kolenikov, S. & Bollen, K. A. (2012). Is a Heywood case a symptom of misspecification? Sociological Methods Research, 41(1), 124-167. 

  16. Krull, J. L. & MacKinnon, D. P. (2001). Multilevel modeling of individual and group level mediated effect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6(2), 249-277. 

  17. Lee, C. H., Sohn, Y. W., & Rim, H. B. (2015). The influence of cultural similarity and empathy on helping intention: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smopolitanism.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8(4), 35-46. 

  18. Lee, H. A. & Lee, K. H. (2009).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1), 83-102. 

  19. Lee, S. K. & Park, J. H. (199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group cohesiveness perceived by nurses and thei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otivation and intend to stay on job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 5-15. 

  20. MacKinnon, D. P., Warsi, G., & Dwyer, J. H. (1995). A simulation study of mediated effect measure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0(1), 41-62. 

  21. Matsumura, L. C., Garnier, H. E., & Spybrook, J. (2013). Literacy coaching to improve student reading achievement: A multi-level mediation model literacy coaching to improve student reading achievement. Learning and Instruction, 25, 35-48. 

  22. Mulaik, S. A., James, L. R., Alstine, J. V., Bennett, N., Lind, S., & Stilwell, C. D. (1989). Evaluation of goodness-of-fit indice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sychological Bulletin, 105(3), 430-445. 

  23. Muthen, B. O. (2013). Advances in latent variable using Mplus version7. Retrieved on June 4, 2014 from the http://www.modeling.uconn.edu/m3c/aGSSeJST/File 

  24. Muthen, B. O. & Asparouhov, T. (2008). Growth mixture modeling: Analysis with non-Gaussian random effects. In G. Fitzmaurice, M. Davidian, G. Verbeke, & G. Molenberghs (Eds.), Longitudinal data analysis (pp. 143-165). Boca Raton, FL: Chapman & Hall/CRC. 

  25. Muthen, L. K. & Muthen, B. O. (2012). Mplus User's Guide. Los Angeles, CA: Muthen & Muthen. 

  26. Na, K. J., Lee, Y. G., & Yook, H. Y. (2010). The mediating effects of design valu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design evaluative elements and brand Loyalty.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3(3), 511-522. 

  27. Park, D. Y. (2011). A tendency analysis on the School effectiveness using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4(2), 345-376. 

  28. Park, S. M. & Bak, B-G. (2014). A trend 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 researches and a suggestion for the new direction of them.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8(1), 41-70. 

  29. Park, S. M. (2015). Mediator analysis methods for the longitudinal, multilevel, and categorical dat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buk University, Korea. 

  30. Pituch, K. A., Murphy, D. L., & Tate, R. L. (2010). Three-level models for indirect effects in school-and class-randomized experiments in education.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78(1), 60-95. 

  31. Preacher, K. J., Zyphur, M. J., & Zhang, Z. (2010). A general multilevel SEM framework for assessing multilevel mediation. Psychological Methods, 15(3), 209-233. 

  32. Preacher, K. J., Zyphur, M. J., & Zhang, Z. (2011). Alternative methods for assessing mediation in multilevel data: The advantages of multilevel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8(2), 161-182. 

  33. Raftery, A. E. (1995). Bayesian model selection in social research. Sociological Methodology, 25(1), 111-163. 

  34. Song, J. H. (2011). Exploring the Explanatory Factors of Student Happiness by Applying the Multi-level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buk University, Korea. 

  35. Zhang, Z., Zyphur, M. J., & Preacher, K. J. (2009). Testing multilevel mediation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s: Problems and solution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2(4), 695-7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