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층모형을 적용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삶의 질 변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Changes i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go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 Longitudinal and Multilevel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5, 2015년, pp.694 - 703  

송지은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소향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to identify changes i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going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It was based on Roy's adaptation model. Methods: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before HSCT, 30 and 100 days after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면역력 재구축 시기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삶의 질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로이의 적응모델을 이론적 기틀로 다층모형을 적용한 종단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과 같이 즉각적으로 행위의 변화를 일으키는 자극은 초점자극으로 로이는 네 적응모드-생리적 모드(physiological mode), 자아개념 모드(self-concept mode), 역할기능 모드(role function mode) 및 상호의존 모드(interdependence mode)로의 통합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적응 수준을 사정할 수 있고 적응의 증진을 통해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응의 결과변수를 삶의 질로 간주하고 이식 후 초기 면역력 재구축 시기에 대상자들의 삶의 질 변화 영향 요인을 로이의 적응모델을 기반으로 포괄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상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이며, 종단적 자료에 대한 분석 방법으로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간호학 분야의 종단적 자료 분석에 대한 새로운 통계법을 소개하는 장이 되었다고 사료된다. 증상 중증도와 우울이 이식 후 삶의 질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고 또한 전처치 유형에 따라 삶의 질 변화율에 차이가 있어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긴다.
  • 본 연구는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환자들의 초기 면역력 재구축 시기에 삶의 질 변화 양상을 살피고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이루어졌으며 로이의 적응모델을 이론적 기틀로 종단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들의 삶의 질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였으며 전처치 유형에 따라 이식 전 삶의 질과 변화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삶의 질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증상 중증도와 우울이었다.
  • 본 연구는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이식 후 100일까지의 삶의 질 변화를 총체적으로 탐색한 전향적 종단적 서술 연구이다.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이식 후 초기 면역력 재구축 시기에 전처치유형에 따라 이식 전 삶의 질에 차이가 있으며, 증상 중증도와 우울이 삶의 질의 변화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로이의 적응모델을 적용하여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이식 후 초기 면역력 재구축 시기 동안의 삶의 질 변화 양상 및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전향적 종단적 서술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시간 경과에 따른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삶의 질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종단적으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종단적 연구 설계 분석 시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분석법은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시간과 집단을 독립변수로 변수의 효과를 개인 수준이 아닌 집단 수준으로 평가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로이의 적응모델을 기반으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후 초기 면역력 재구축 시기 환자들의 삶의 질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분석에 필요한 연구 대상자수가 많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나 한 측정 시점에 대한 결측 자료가 있을 경우 그 대상자의 모든 자료를 분석에서 제외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10]. 본 연구의 목적은 이식 전부터 이식 후 100일까지의 대상자들의 삶의 질 변화를 살펴보기 위함이며 임상적 특성 상 사망과 환자 상태 악화 등으로 결측 자료 발생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집단이 아닌 개인의 변화율을 살펴볼 수 있으며 이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수준 혹은 집단 수준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한 측정 시점의 결측 자료가 있더라도 자료 분석이 가능한 다층모형을 연구의 분석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혈모세포이식술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조혈모세포이식술의 발전으로 치료 관련 사망률과 이환율이 감소하여 이식성과가 향상됨으로써 이식 후 생존율의 향상 뿐만 아니라, 삶의 질 유지가 중요한 치료 목적이 되고 있다[2]. 그러나 이식 후에도 불완전한 면역력으로 인한 감염, 이식편대숙주질환, 이식관련 후기합병증 및 재발은 대상자들의 기능을 저하시키며 삶의 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
조혈모세포이식이란 무엇인가? 조혈모세포이식은 조혈계의 선천적 혹은 획득적 질환 혹은 항암제와 방사선 및 면역요법에 민감한 악성질환의 표준 치료법으로서, 이식 적응증 확대와 새로운 이식원 이용 및 전처치요법의 다양화로 이식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1]. 조혈모세포이식술의 발전으로 치료 관련 사망률과 이환율이 감소하여 이식성과가 향상됨으로써 이식 후 생존율의 향상 뿐만 아니라, 삶의 질 유지가 중요한 치료 목적이 되고 있다[2].
조혈모세포이식술의 치료 목적은 무엇인가? 조혈모세포이식은 조혈계의 선천적 혹은 획득적 질환 혹은 항암제와 방사선 및 면역요법에 민감한 악성질환의 표준 치료법으로서, 이식 적응증 확대와 새로운 이식원 이용 및 전처치요법의 다양화로 이식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1]. 조혈모세포이식술의 발전으로 치료 관련 사망률과 이환율이 감소하여 이식성과가 향상됨으로써 이식 후 생존율의 향상 뿐만 아니라, 삶의 질 유지가 중요한 치료 목적이 되고 있다[2]. 그러나 이식 후에도 불완전한 면역력으로 인한 감염, 이식편대숙주질환, 이식관련 후기합병증 및 재발은 대상자들의 기능을 저하시키며 삶의 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ratwohl A, Baldomero H. Trend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the third millennium. Current Opinion in Hematology. 2009;16(6):420-426. http://dx.doi.org/10.1097/MOH.0b013e328330990f 

  2. Pidala J, Anasetti C, Jim 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llowing haematopoietic cell transplantation: Patient educatio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British Journal of Haematology. 2010;148(3):373-385. http://dx.doi.org/10.1111/j.1365-2141.2009.07992.x 

  3. Cohen MZ, Rozmus CL, Mendoza TR, Padhye NS, Neumann J, Gning I, et 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diverse patients undergo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12;44(2):168-180.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11.08.011 

  4. Andersson I, Ahlberg K, Stockelberg D, Brune M, Persson L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going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fter reduced intensity conditioning versus myeloablative conditioning. Cancer Nursing. 2009;32(4):325-334. http://dx.doi.org/10.1097/NCC.0b013e31819b5c81 

  5. Bevans MF, Marden S, Leidy NK, Soeken K, Cusack G, Rivera P, et 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receiving reducedintensity conditioning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Bone Marrow Transplantation. 2006;38(2):101-109. http://dx.doi.org/10.1038/sj.bmt.1705406 

  6. Tomblyn M, Chiller T, Einsele H, Gress R, Sepkowitz K, Storek J, et al. Guidelines for preventing infectious complications among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ation recipients: A global perspective. Biology of Blood and Marrow Transplantation. 2009;15(10):1143-1238. http://dx.doi.org/10.1016/j.bbmt.2009.06.019 

  7. Grant M, Cooke L, Williams AC, Bhatia S, Popplewell L, Uman G, et al. Functional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llogeneic transplant patients at hospital discharge: A comparison of sociodemographic, disease, and treatment characteristics. Supportive Care in Cancer. 2012;20(11):2697-2704. http://dx.doi.org/10.1007/s00520-012-1389-8 

  8. Braamse AM, Gerrits MM, van Meijel B, Visser O, van Oppen P, Boenink AD, et al. Predi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treated with auto- and allo-SCT for hematological malignancies. Bone Marrow Transplantation. 2012;47(6):757-769. http://dx.doi.org/10.1038/bmt.2011.130 

  9. Roy C. The Roy Adaptation Model.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2009. 

  10. Shin JH. Application of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 in nursing research. Nursing Research. 2009;58(3):211-217. http://dx.doi.org/10.1097/NNR.0b013e318199b5ae 

  11. Jung M, Lee H.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following HSCT recip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8;20(2):341-352. 

  12. Cleeland CS, Mendoza TR, Wang XS, Chou C, Harle MT, Morrissey M, et al. Assessing symptom distress in cancer patients: The M.D. Anderson symptom inventory. Cancer. 2000;89(7):1634-1646. 

  13. Sung HM, Kim JB, Park YN, Bai DS, Lee SH, Ahn HN.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08;14(2):201-212. 

  14. McCorkle R, Benoliel JQ, Donaldson G, Georgiadou F, Moinpour C, Goodell B.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home nursing care for lung cancer patients. Cancer. 1989;64(6):1375-1382. 

  15. Kim KH, Kim JH. Korea UCLA loneliness scale. Journal of Student Guidance. 1989;16:13-30. 

  16. Barone SH, Roy CL, Frederickson KC. Instruments used in Roy Adaptation Model-based research: Review, critique, and future directions. Nursing Science Quarterly. 2008;21(4):353-362. http://dx.doi.org/10.1177/0894318408323491 

  17. Nuamah IF, Cooley ME, Fawcett J, McCorkle R. Testing a theory f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A structural equation approach.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999;22(3):231-242. 

  18. Ferrans CE, Powers MJ. Quality of life index: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AN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5;8(1):15-24. 

  19. Baker F, Curbow B, Wingard JR. Development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domains scale for cancer.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1993;10(3):75-90. http://dx.doi.org/10.1300/J077V10N03_05 

  20. Beck AT, Steer RA, Brown GK. Manual for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1996. 

  21. Russell D, Peplau LA, Cutrona CE.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0;39(3):472-480. 

  22. Baker F, Denniston M, Hann D, Gesme D, Reding DJ, Flynn T, et al. Factor structure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Domains Scale for cancer (SLDS-C).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2007;25(2):1-17. 

  23. Peugh JL. A practical guide to multilevel modeling.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010;48(1):85-112. http://dx.doi.org/10.1016/j.jsp.2009.09.002 

  24. Hong SH, Park EH, Hong HY. Estimating adolescents'hanges in self-concept: Tests of the effects of parents and peers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anges. Studies on Korean Youth. 2006;17(2):241-263. 

  25. Sprangers MA, Schwartz CE. Integrating response shift in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earch: A theoretical model.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999;48(11):1507-1515. 

  26. Bevans M.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llowing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ematology /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2010;2010:248-254. http://dx.doi.org/10.1182/asheducation-2010.1.248 

  27. Syrjala KL, Langer SL, Abrams JR, Storer B, Sanders JE, Flowers ME, et al. Recovery and long-term function after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ation for leukemia or lymphoma. 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4;291(19):2335-2343. http://dx.doi.org/10.1001/jama.291.19.2335 

  28. Lee SJ, Loberiza FR, Antin JH, Kirkpatrick T, Prokop L, Alyea EP, et al. Routine screening for psychosocial distress follow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Bone Marrow Transplantation. 2005;35(1):77-83. http://dx.doi.org/10.1038/sj.bmt.1704709 

  29. Jarden M, Baadsgaard MT, Hovgaard DJ, Boesen E, Adamsen L. A randomized trial on the effect of a multimodal intervention on physical capacity, functional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in adult patients undergoing allogeneic SCT. Bone Marrow Transplantation. 2009;43(9):725-737. http://dx.doi.org/10.1038/bmt.2009.27 

  30. Grulke N, Albani C, Bailer H. Quality of life in patients before and after ha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measured with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quality of life core questionnaire QLQ-C30. Bone Marrow Transplantation. 2012;47(4):473-482. http://dx.doi.org/10.1038/bmt.2011.1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