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교사의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 향상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프로그램 설계
Designing Programming Curriculum for Developing Programm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e-service Informatics Teachers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19 no.2, 2016년, pp.1 - 10  

안상진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이영준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실제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적용하여 예비교사의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의 변화를 확인한 연구이다. 제작된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블록 기반 모바일 프로그래밍 언어인 앱 인벤터를 사용하였고, 문제 기반 학습 방법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 방법을 활용하였다.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예비정보교사에게 교육하고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문항으로 자기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제 기반 학습 방법으로 프로그래밍을 학습한 후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 점수와 교수법영역 지식의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프로젝트 기반 학습 방법을 적용한 후 내용지식영역, 교수법영역, 교육과정영역의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for developing a programming education course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programming education. A 40-hour training course was designed with App Inventor, a block-based mobile programming environment, and with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정보교사의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내용지식과 교수방법을 학습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교육프로그램을 학습자에게 교육하고 학습자의 프로그래밍 교수 내용지식을 측정하여 예비정보교사의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의 향상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K 대학에 개설된 컴퓨터교육학과 전공과목에서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정보 교사는 총 12명으로 남학생 6명, 여학생이 6명이다.
  • 본 연구는 예비정보교사 교육에서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예비정보교사의 프로그래밍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적용한 연구이다. 해당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지만 적절한 비교집단이 형성되지 않아 단일집단 효과만을 판별하였다.
  •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 향상을 위하여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앱 인벤터와 문제 기반 학습,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결합한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이를 예비정보 교사에게 적용한 연구이다. 사전 검사에서 예비정보교사의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은 평균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21차시부터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 형태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습자를 일정한 모둠으로 나누고, 20차시까지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 대상자들이 제작하고자 하는 안드로이드 앱에 대한 계획을 세우게 하였다. 모둠별로 작성한 프로젝트 계획을 학습자끼리 서로 피드백한 후에 12차시에 걸쳐 모둠별 앱을 제작하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예비정보교사의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을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통해 검정한 결과는 <표 3>, <표 4>와 같다. 모든 영역의 구형성 검정에서 구형성을 만족하였으므로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 점수의 변화는 구형성을 가정한 통계값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과 지식이란? 일반적으로 교사가 가져야 하는 지식을 분류하였을 때 교과 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 교육학 지식 (pedagogical knowledge), 맥락 지식(knowledge of context)으로 나누어서 논의하고 있다[4][5]. 교과 지식은 교사가 특정한 내용을 가르치기 위해서 가지고 있어야 하는 해당 분야에 대한 지식을 말한다. 현대의 교육에서는 단순히 해당 분야의 사실이나 절차적 지식을 암기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육하고자 하는 분야의 핵심 개념, 내용간의 관계, 추론능력, 활용능력 등의 지식 또한 내용 지
프로그래밍 학습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과학에서 중요하고 필수적인 부분이지만 학습자가 학습하기 어려워하는 교육내용이기도 하다. 프로그래밍 학습의 어려움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지만 많은 경우 프로그래밍 언어가 가지고 있는 프로그래밍 문법을 습득하기가 쉽지 않고, 알고리즘이나 프로그래밍 전략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을 학습자가 어려워한다고 알려져 있다[2][3]. 프로그래밍 학습의 어려움은 곧 프로그래밍 교육의 어려움이기도 하다.
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은 문제 기반 학습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있는데, 이것은 어떤 교육방법인가? 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은 문제 기반 학습(problem-based learning)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이다. 문제 기반 학습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실제 상황과 유사한 문제나 프로젝트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해당 영역의 교육내용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육방법이다. 문제 기반 학습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학습을 진행하고, 실제적인 해결책을 생성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16][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Resnick, M., Maloney, J., Monroy- Hernandez, A., Rusk, N., Eastmond, E., Brennan, K. Millner, A., Rosenbaum, E., Silver, J. Silverman, B. & Kafai, Y. (2009). Scratch: Programming for all. Communications of the ACM, 52(11), 60-67. 

  2. 최정원, 이영준 (2014).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학습자의 어려움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5), 89-98. 

  3. Robins, A., Rountree, J., & Rountree, N. (2003). Learning and teaching programming: A review and discussi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13(2), 137-172. 

  4. 소경희 (2003).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학연구, 21(4), 77-96. 

  5.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6. Abell, S. K. (2007). Research on science teacher knowledge. In S. K. Abell and N. G. Lederma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7. Magnusson, S., Krajcik, J., and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Gess-Newsome and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8. 박준기 (2011). 전문성 발달 단계를 반영한 교사자격기준 개발 및 타당성 분석. 박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9. Jaworski, B., & Gellert, U. (2003). Educating new mathematics teacher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nd the roles of practising teachers. In Second international handbook of mathematics education, 829-875, Springer Netherlands. 

  10. 안상진, 이영준 (2014). 앱 인벤터를 활용한 초,중등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5), 79-88. 

  11. 전성균, 이영준 (2015). LT 협동학습 기반의 앱 인벤터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2), 1-9. 

  12. Gao, M., Johnson, J., Reed, D., Sheller, C., & Turbak, F. (2015). Using App Inventor in Introductory CS Courses. In Proceedings of the 46th ACM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346-347. 

  13. Soares, A., & Martin, N. L. (2015). Teaching Non-Beginner Programmers with App Inventor: Survey Results and Implications.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Journal, 13(5), 24. 

  14. 박성혜 (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0(1), 105-134. 

  15. 김자미, 윤일규, 이원규 (2010).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PCK) 수준 측정 문항 개발 및 타당화.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3(6), 23-34. 

  16. O'Grady, M. J. (2012). Practical problem-based learning in computing education. ACM Transactions on Computing Education (TOCE), 12(3), 10. 

  17. Blikstein, P. (2011). Using learning analytics to assess students' behavior in open-ended programming tasks. In Proceedings of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analytics and knowledge, 110-1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