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학습에서 일시적 정보효과가 학습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he transient information effect on multimedia learning efficiency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19 no.2, 2016년, pp.99 - 114  

시지현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인문학교실)

초록

일시적 정보효과는 멀티미디어 학습 환경에서 길고 복잡한 청각적 정보의 일시성으로 인해 학습에 가해지는 부정적인 효과를 말한다. 본 연구는 인지부하이론의 틀에서 멀티미디어 학습에서 일시적 정보효과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또한 일시적 정보효과를 극복하는 방법인 것으로 생각되는 분절화(long vs. short)와 학습자료 제시 조절방법(system-paced vs. learner-paced)이 일시적 정보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학습 환경에서 길고 복잡한 학습자료를 학습자에게 제시할 경우에는 시각적으로만 제시하는 것이 시청각적으로 제시하는 것보다 학습효율성이 보다 높은 것(높은 성취와 낮은 인지부하 투입)으로 드러났다. 또한 시청각적으로 자료를 제시해야 하는 경우는 청각적 학습 자료를 분절화해서 제시하거나, 학습자료 제시를 학습자가 조절하는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학습 환경을 설계하는 것이 학습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인 것으로 드러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ransient information effect occurs when long and complex transient information disappear before the learner has time to adequately process it or link it with new information.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act of the transient information effect on multimedia learning efficiency within th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시적 정보효과란? 이때 학습 자료가 복잡하고 길이가 긴 경우, 학습자는 청각적 자료를 처리하기 위해 제시된 자료를 처음부터 끝까지 작동기억 속에 기억하려 애쓸 것이고, 이러한 단순한 기억 활동은 학습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불필요한 인지부하를 학습자에게 부가한다[5]. 이러한 청각적 자료의 일시성으로 인해 학습에 가해지는 부정적인 영향을 일시적 정보효과라 한다[1]
청각적 학습 자료는 어떤 특징을 갖고있는가? 학습상황에서 멀티미디어의 활용은 학습 자료를 텍스트와 같은 시각적 양식이외에도 내레이션과 같은 청각적 양식으로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청각적 학습 자료는 전달양식의 특성상, 영구적인 시각적 자료와는 달리, 학습자가 한번 듣고 나면 그대로 사라지는 일시성을 띤다. 이때 학습 자료가 복잡하고 길이가 긴 경우, 학습자는 청각적 자료를 처리하기 위해 제시된 자료를 처음부터 끝까지 작동기억 속에 기억하려 애쓸 것이고, 이러한 단순한 기억 활동은 학습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불필요한 인지부하를 학습자에게 부가한다[5].
인지부하이론은 인간의 인지구조를 정보처리시스템으로 간주하고 정보처리에 대한 5가지 원리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 5가지 원리는 무엇인가? 인지부하이론은 인간의 인지구조를 정보처리시스템으로 간주하고 정보처리에 대한 5가지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4][5][10[11]. 먼저 장기기억과 정보저장 (information store)원리로 이는 인간의 장기기억은 거의 무제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이며, 둘째는 스키마 이론과 재조직(borrowing and reorganizing)원리로 이는 인간은 글을 읽거나 듣는 것을 통해 다른 사람의 장기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얻는 것으로부터 학습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문제해결과 임의 발생(randomness as genesis)원리로 만약 필요한 정보를 다른 사람의 장기기억에서 빌려올 수 없을 경우, 인간은 문제해결을 위한 시도를 하고, 그 시도의 효과성을 테스트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이 발생 하게 된다는 것이다. 넷째는 작동기억과 소폭의 변화(narrow limits of change)원리로 인간의 작동기억은 용량과 그 지속성에서 한계를 가지므로, 새로 발생된 지식은 소폭으로 일어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기기억과 환경적 재구성 (environmental organizing and linking)원리는 인간의 작동기억은 새로운 정보를 다룰 때만 그 용량과 지속성에서 제한적이며, 이미 장기기억에 조직화되어 있는 정보를 작동기억에서 다룰 때는 그 용량과 지속성에서 거의 무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eahy, W., & Sweller, J. (2011). Cognitive load theory, modality of presentation and the transient information effect.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25(6), 943-951. 

  2. Lin, Y. C., Liu, T. C., & Sweller, J. (2015). Improving the frame design of computer simulations for learning: Determining the primacy of the isolated elements or the transient information effects. Computers & Education, 88, 280-291. 

  3. Singh, A. M., Marcus, N., & Ayres, P. (2012). The transient information effect: Investigating the impact of segmentation on spoken and written text.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26(6), 848-853. 

  4. Wong, A., Leahy, W., Marcus, N., & Sweller, J. (2012). Cognitive load theory, the transient information effect and e-learning. Learning and Instruction, 22(6), 449-457. 

  5. Sweller, J., Ayres, P., & Kalyuga, S. (2011). Cognitive load theory (Vol.1). New York: Springer. 

  6. Low, R., & Sweller, J. (2005). The modality principle in multimedia learning. The Cambridge Handbook of Multimedia Learning, 147-158. 

  7. Paas, F., Renkl, A., & Sweller, J. (2004). Cognitive load theory: Instructional implications of the interaction between information structures and cognitive architecture. Instructional Science, 32(1), 1-8. 

  8. Sweller, J. (2010). Element interactivity and intrinsic, extraneous, and germane cognitive load.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2(2), 123-138. 

  9. Hatsidimitris, G., & Kalyuga, S. (2013). Guided self-management of transient information in animations through pacing and sequencing strategi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1(1), 91-105. 

  10. Plass, J. L., Moreno, R., & Brunken, R. (2010). Cognitive load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Sweller, J. (1988). Cognitive load during problem solving: Effects on learning. Cognitive Science, 12(2), 257-285. 

  12. Sweller, J., & Chandler, P. (1994). Why some material is difficult to learn. Cognition and Instruction, 12(3), 185-233. 

  13. Van Merrienboer, J. J., & Sweller, J. (2005). Cognitive load theory and complex learning: Recent developments and future direction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7(2), 147-177. 

  14. Baddeley, A. D. (1992). Working memory. Science, 255, 556-559. 

  15. Mousavi, S. Y., Low, R., & Sweller, J. (1995). Reducing cognitive load by mixing auditory and visual presentation mod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7, 319 -334. 

  16. Kalyuga, S. (2012). Instructional benefits of spoken words: A review of cognitive load factor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7(2), 145-159. 

  17. Ginns, P. (2005). Meta-analysis of the modality effect. Learning and Instruction, 15(4), 313-331. 

  18. Tabbers, H. K., Martens, R. L., & v1an Merrienboer, J. (2004). Multimedia instructions and cognitive load theory: Effects of modality and cue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 71 -81. 

  19. Van Gog, T., & Paas, F. (2008). Instructional efficiency: Revisiting the original construct in educational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43(1), 16-26. 

  20. Paas, F. G., & Van Merrienboer, J. J. (1994). Variability of worked examples and transfer of geometrical problem-solving skills: A cognitive-load approac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1), 122. 

  21. Schuler, A., Scheiter, K., Rummer, R., & Gerjets, P. (2012). Explaining the modality effect in multimedia learning: Is it due to a lack of temporal contiguity with written text and pictures? Learning and Instruction, 22(2), 92-10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