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서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중학생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ading in Mathematics Classroom on Mathematical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19 no.1, 2016년, pp.83 - 102  

나기윤 (이리중학교) ,  손홍찬 (전북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독서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들에게 정의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였다. 중학교 2학년 100명의 남학생을 대상으로 정의적 특성요소로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 자기조절력, 수학 불안 5개 요인을 조사해보고, 상 중 하 수준별 학생들에게 수학과 독서수업이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또 사전 사후 검사 결과와 학생의 인터뷰를 통해 바람직한 독서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모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effect of reading in mathematics classroom on five mathematical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100 2nd male middle school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five affective characteristics - interests, self-confidence, recognition of mathema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쉽고 재미있게 배우는 수학’을 표방하면 서 수학적 의미, 역사적 맥락 및 실생활 사례 소개하는 스토리텔링 교과서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 정규수업 4시간 중 1시간을 수학과 독서시간으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수학독서 수업을 5개월에 걸쳐 매주 1시간씩 총 16시간을 실시하였다. 같은 대상에 대하여 실험 전후로 사전 사후 정의적 수학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수준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 수학의 정의적 특성 5개의 요인에 대한 전체 집단의 변화를 살펴보고 각 수준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요인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본다. 그리고 수준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수준별 사전 사후검사에서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한다.
  • 본 연구에서는 수학의 정의적 특성인 수학적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 자기조절력, 수학불 안의 다섯 가지 요인에 대하여 상 • 중 • 하 수준별 학생의 변화를 파악하고 바람직한 독서 지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상ㆍ중ㆍ하 그룹에 속한 학생들을 2명씩 선정하여 수학과 독서수업과 관련된 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수업의 장ㆍ단점과 보완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수학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수학과 교수ㆍ학습 방법 중 수학과 독서지도를 실시하면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독서의 필요성과 독서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수학과와 연계했을 때의 방법을 여러 선행연구 자료를 조사하였다.
  • 따라서 수학 교과에서 독서 지도가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서는 위에서 5가지 요인에 대해 학생집단을 수준별로 나누어 독서지도가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바람직한 독서 지도의 방향을 아울러 모색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서 지도에서 유의할 점에 대하여 이경식이 주장한 것은? 독서 지도에서 유의할 점에 대하여 이경식(2013)은 수학 교과에서의 독서는 교과의 특수성으로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는 독서이므로 수학적 언어와 기호를 익숙하게 하여 수학적 개념을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흥미를 유발하고, 학생들이 학습방법을 스스로 터득하고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함을 주장하였다
교육과학 기술부가 초․중등 독서 활성화 방안을 발표 한 이유는? 교육과학 기술부(2011)는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인성함양을 위하여 2011년 7월 4일 초․중등 독서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독서활성화 방안에서는 학교생활 속에서 정규교 과와 연계한 독서활동의 활성화, 교원․학부모 독서교육 역량 강화, 독서 친화적 환경조성, 학교․지역중심의 독서문화 운동, 독서 활성화 지원체제 구축을 주요과제로 선정한 바 있다.
수학교과에서 독서 활동의 목적과 관련하여 한국교육개발원(2012)은 수학과 관련된 다양한 책을 읽은 뒤 감상문 쓰기, 책 쓰기, 토론 등의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력과 사고력을 확장시키는데 제시한 세가지 목적은 무엇인가? 첫째, 수학의 가치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사회생활을 위한 소양이자 평생학습을 위한 토대로서의 수학에 대한 역할을 강화한다. 둘째, 수학에 대한 기초개념을 자연스럽게 형성하고, 실생활과 연계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수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킨다. 셋째, 논리적, 창의적 사고력과 합리적 문제 해결능력을 제고하여 끈기를 갖고 깊이 생각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배양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별책 8].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중등 독서 활성화 방안 보도자료 2011. 7. 4(월).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해설(별책 8). 

  4. 김남두, 강충렬, 박낙규, 우한용, 허경철, 황규호 (1999). 초.중등학교의 독서자료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 개발 연구. 교육부, P126. 

  5. 김리나, 신항균 (2015). 초등학생의 수학불안 요인 분석 연구. 한국초등교육, 26(1). 83-101. 

  6. 김소영 (2005). 독서자료를 활용한 수학학습지도가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이경식 (2013). 수학독서자료 활용을 통한 수리논술능력의 향상 연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경화 (2005). 교과학습독서와 독서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No 10. 145-162. 

  9. 이순애 (2007). 독서지도를 통한 수학사 자료의 수행평가집 구성:중학교 1학년 1학기 내용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이정현 (2009). 중학교 수학교육에서 독서자료의 활용: 기하영역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조우정 (2006). 독서자료를 활용한 수학 학습의 효과: 중학교 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조희경 (2010). 수학 관심도 증진을 위한 수학 관련 도서의 활용: 중학교 1학년 수학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최수정, 김홍찬 (2009). 독서자료를 활용한 수준별 고등학생들의 특성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3) 319-345. 

  14. 한국교육개발원 (2012). 독서교육매뉴얼 2012 연구자료. CRM 2012-79-3. 

  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I2010-9. 

  1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a).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연구보고 RRE-2013-6-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b). TIMSS 2011 결과에 따른 수학.과학 교육 현황 국제비교. 연구보고. RRE 2013-7-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허혜자 (1996). 수학불안 요인에 관한 연구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Artley, A. S (1944). A study of certain relationships existing between general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a specific subject matter are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7, 404-473. 

  20. Herber, H. L., & Sanders, P. L (1969). Research in Reading in the Content Areas: First Year Report. Reading and Language Arts Center, Syracuse University. 

  21. Hopko, D. R., Mahadevan, R., Bare, R. L., & Hunt, M. A. (2003). The Abbreviated Math Anxiety Scale(AMAS): Construction, reliability, and validity. Assessment, 10, 178-2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