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설악산 자연지명의 역사지리적 분석
A Historical Geographical Analysis on the Physical Place Name of Mt. Seoraksan in Joseon Period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51 no.1, 2016년, pp.127 - 142  

최원석 (경상대학교 명산문화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선시대 설악산(백두대간 권역)의 역사지리적 정보를 담고 있는 주요 자료로서 지리지 고지도 유산기를 통해 설악산의 공간 인지 범위, 자연지명의 분포 특성, 유람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늘날의 설악산과 조선시대의 설악산은 공간적인 범위 및 지명 영역이 달랐다. 지역적으로 설악산권역과 한계산권역으로 나뉘어 인지되었음도 알 수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현재의 대청봉을 중심으로 설악산이라고 했고, 울산바위는 천후산(혹은 이산), 한계령 북쪽의 산은 한계산이라고 구별해 불렀다. 조선후기에 와서야 일부 문헌에서 설악산이라는 이름이 한계산, 천후산을 포함한 대표 지명으로 나타났다. 지리지 고지도 유산기에 수록된 산지, 고개, 하천 유형의 자연지명 중에서 산지 지명은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오늘날 한계령에 해당하는 오색령은 대부분의 고지도에 일반적으로 표기되어 있어서 대표적인 명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설악산 유산기에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유람 행로는 백담사$\rightarrow$오세암$\rightarrow$신흥사 코스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nalyzes on the physical place name of Mt. Seoraksan in Joseon period from the historical geographical perspective. The analysis materials are Jirijis, old maps and travel records of Joseon peri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pace range of Mt. Seoraksan in Joseon period and today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글은 조선시대에 제작된 자료로 지리지·고지도·유산기에 드러난 설악산(백두대간 권역) 자연지명의 분포 특성을 역사지리적으로 분석하고, 설악산의 공간 인지 영역과 그 변천 양상을 살피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 이 연구는 조선시대 설악산(백두대간 권역)의 지명 정보를 담고 있는 주요 자료로서, 지리지·고지도·유산기의 역사지리적 분석을 통해서 조선시대 설악산의 공간 인지 및 지명 영역의 변천, 자연지명의 분포 특성, 유산기의 유람 경로를 고찰하였다.
  • 일반적으로 지명은 의미와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하는 사회적 주체들에 의해 시대에 따라 그 의미와 영역이 다르게 인식되어 변화해 왔다(김순배, 2014, 37). 조선시대 설악산의 자연지명을 통해 지명 영역의 역사지리적 차이와 변화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검토해보자. 지리지·고지도·유산기 자료에 수록된 지명은 당시의 공간 인지 상황을 반영하기에 지명 분석을 통해 시공간적 단면을 시계열적으로 확인할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악산 자연지명의 변천을 파악하기에 지리지·고지도·유산기가 적합한 이유는? 지리지·고지도·유산기는 만들어진 당시의 지명 현황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이들 자료를 연대순으로 대비, 분석함으로써 설악산 자연지명의 변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설악산에 대한 지명 영역(toponymic territory)의 변화, 지리지와 지도 간 지명 분포의 편차, 산지 지명과 하천 지명의 밀도 차이 등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조선시대의 설악산의 공간 범위는 어디까지였는가? 자료들을 검토해보면, 조선시대의 설악산은 오늘 날의 설악산과 공간 범위 및 지명 영역이 달랐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대체로 현재의 대청봉을 중심 으로(외설악-설악동지구) 설악산이라고 하였고, 울산바위는 천후산, 한계령 북쪽의 산(내설악-백담 및장수대 지구)은 한계산이라고 불렀다. 상(북) 설악산과 하(남) 한계산으로 설악산권역이 인식되기도 하였다. 오늘날 설악산의 공간 범위는 조선시대의 설악산·한계산(오색산)·천후산을 모두 포함하는 지명으로 일반화된 것이다.
설악산 자연지명의 변천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한 자료는? 지리지·고지도·유산기는 만들어진 당시의 지명 현황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이들 자료를 연대순으로 대비, 분석함으로써 설악산 자연지명의 변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설악산에 대한 지명 영역(toponymic territory)의 변화, 지리지와 지도 간 지명 분포의 편차, 산지 지명과 하천 지명의 밀도 차이 등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1)

  1. 三國史記 

  2. 世宗實錄地理志 

  3. 新增東國輿地勝覽 

  4. 輿地圖書 

  5. 增補文獻備考 

  6. 大東地誌 

  7. 關東誌 

  8. 關東邑誌 

  9. 江原道 襄陽郡邑誌 

  10. 襄陽府邑誌 

  11. 關東地誌 

  12. 峴山誌 

  13. 東國輿地誌 

  14. 八道地圖 

  15. 海東地圖 

  16. 靑丘圖 

  17. 靑邱要覽 

  18. 大東輿地圖 

  19. 大東方輿全圖 

  20. 東輿圖 

  21. 左海分圖 

  22. 東國輿地勝覽 

  23. 東國地圖 

  24. 關東地圖 

  25. 地圖 

  26. 輿地圖 

  27. 朝鮮地圖 

  28. 朝鮮八道地圖 

  29. 八道地圖 

  30. 東域圖 

  31. 左海地圖 

  32. 輿地圖 

  33. 東國輿地圖 

  34. 輿地圖 

  35. 朝鮮地圖帖 

  36. 東國輿圖 

  37. 東國輿地圖 

  38. 備邊司印 方眼地圖 

  39. 地乘 

  40. 廣輿圖 

  41. 1872년 地方地圖 

  42. 寒溪山記 

  43. 遊金剛山記 

  44. 遊寒溪錄 

  45. 關東秋巡錄 

  46. 曲淵記 

  47. 寒溪山記 

  48. 遊曲淵記 

  49. 東征記 

  50. 雪岳日記 

  51. 遊楓嶽記 

  52. 遊雪嶽記 

  53. 東遊日記 

  54. 東遊小記 

  55. 遊鳳頂記 

  56. 東遊記 

  57. 寒溪 

  58. 雪嶽 

  59. 雪嶽往還日記 

  60. 後雪岳記 

  61. 東行記 

  62. 雪嶽記 

  63. 遊雪嶽錄 

  64. 記觀東山水 

  65. 湖東西洛記 

  66. 김순배, 2014, "설악산권 자연지명의 의미와 지명 영역의 변화-'설악'과 '한계'를 중심으로," 지명학, 21, 37-78. 

  67. 이기용, 2012, "조선시대 襄陽府 所冬羅嶺의 고찰," 襄陽文化, 46-65. 

  68. 최병헌, 2012, 寒溪嶺과 五色嶺 지명에 관한 고찰, 인제문화원. 

  69. 인제군.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12,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역사자원조사 학술용역보고서. 

  70. 인제군.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4.01, 설악산(백두대간 권역) 자연지명 조사연구 학술용역보고서. 

  71.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