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산성 지명의 분포와 변천: 『북한지(北漢誌)』 수록 지명을 중심으로
The Distribution and Changes of the Place Names in Bukhansanseong : Focusing on the Place Names in Bukhanji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3 no.2, 2017년, pp.325 - 353  

김순배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글의 목적은 북한산성 안에 분포하는 지명들의 지리적 분포와 문화적, 역사적,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고, 나아가 지명 변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을 기초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존하는 지명 자료 중 가장 많은 북한산성 지명을 담고 있는 문헌으로 평가받는 "북한지(北漢誌)" (1745)를 중심으로 시대별 지명 자료를 수집하였고, 후부 지명소에 따라 자연 지명과 인문 지명으로 나누어 지명의 분포 및 유형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북한산' 등의 주요 지명들을 선정하여 지명의 의미와 그 변천 양상을 전부 지명소를 중심으로 기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삼국시대에 활발하게 통용되던 북한산이란 지명은 고려시대에는 삼각산, 조선시대에는 다시 '북한산' 및 '북산' 이란 지명으로 적극적으로 사용되었고, 1711년 북한산성이 축조되면서 북한산이란 지명 통용이 공식화되면서 지명 언중들에 의해 활발히 인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북한지"에 수록된 지명들이 자연 지명 중 산지와 하천 지형을 가리키는 지명들과 이러한 지리적 환경에 자리 잡고 있는 산성 관련 각종 인공 시설물 명칭들, 특히 이 책을 편찬한 승려 성능을 통해 동일시된 불교적 정체성과 이데올로기를 담은 불교 관련 지명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the cultural, historical, and symbolic meanings of the place names in the area of Bukhansanseong (Fortress), and to basically suggest the several features which have happened throughout the process of toponymic changes. In order to 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산성의 경계선은 어떤 형태인가? 북쪽으로는 덕양구 효자동, 동쪽으로는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과 인수동, 남쪽으로는 성북구 정릉동과 종로구 평창동과 구기동,그리고 서쪽으로는 은평구 진관동과 각각 경계하고 있다. 이곳의 행정구역은 경기도 양주시와 서울시 사이를 비집고 고양시 덕양구의 신도동, 지축동, 효자동, 북한동이 동쪽을 향해 끼어있는, 즉 조선시대에볼 수 있었던 견아상입지(犬牙相入地) 형태의 경계선을 보이고 있다.1) 이 같은 비정상적인 경계선은 19세기말 20세기에 걸쳐 이 일대에서 일어났던 굴곡진 역사적 경험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흥미롭다.
지명은 어떤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는가? 한편 지명은 크게 지리적, 문화적, 언어적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개인이나 집단의 문화가 역사적으로 지명에 반영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문화유산, 특히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지명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논의가 국내외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삼국시대의 북한산이라는 지명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어떻게 사용되었나? 아울러 '북한산' 등의 주요 지명들을 선정하여 지명의 의미와 그 변천 양상을 전부 지명소를 중심으로 기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삼국시대에 활발하게 통용되던 북한산이란 지명은 고려시대에는 삼각산, 조선시대에는 다시 '북한산' 및 '북산' 이란 지명으로 적극적으로 사용되었고, 1711년 북한산성이 축조되면서 북한산이란 지명 통용이 공식화되면서 지명 언중들에 의해 활발히 인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북한지"에 수록된 지명들이 자연 지명 중 산지와 하천 지형을 가리키는 지명들과 이러한 지리적 환경에 자리 잡고 있는 산성 관련 각종 인공 시설물 명칭들, 특히 이 책을 편찬한 승려 성능을 통해 동일시된 불교적 정체성과 이데올로기를 담은 불교 관련 지명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경기문화재단, 2011, 북한산 조사연구자료집, 경기문화재단, 수원. 

  2. 경기문화재연구원, 2009, 북한산성 행궁지: 종합정비기본계획, 고양시.경기문화재단, 수원. 

  3. 고양군지편찬위원회, 1987, 高陽郡誌, 고양군, 고양. 

  4. 고양시사편찬위원회, 2005, 高陽市史, 고양군, 고양. 

  5. 국토지리정보원, 2008,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수원. 

  6. 김성태, 2013, 고양시 북한산성 이야기, (시민강좌) 고양시의 고고학 이야기, 겨레문화재연구원, 고양. 

  7. 김성태, 2016, 북한산성의 지명과 불교의 가르침, 경인일보(2016년 3월 29일자 17면), 수원. 

  8. 김순배, 2011, 하남 지역의 지명 변천, 지명학, 17, 61-104. 

  9. 김순배, 2012, 지명과 권력: 한국 지명의 문화정치적 변천, 경인문화사, 서울. 

  10. 김순배, 2013a, 동해 지명의 의미 '들'과 영역 '들'의 변화, 문화역사지리, 25(3), 99-131. 

  11. 김순배, 2013b, 필사본 朝鮮地誌資料 충청북도편 지명 자료의 시론적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1), 31-44. 

  12. 김순배, 2014, 설악산권 자연지명의 의미와 지명 영역의 변화: '설악'과 '한계'를 중심으로, 지명학, 21, 37-78. 

  13. 김순배, 2015, 백두대간 고개지명의 분포와 변천: 설악산과 오대산 일대를 중심으로, 지명학, 23, 5-74. 

  14. 김순배.김영훈, 2010, 지명의 유형 분류와 관리 방안, 대한지리학회지, 45(2), 201-220. 

  15. 남풍현, 1981, 차자 표기법 연구, 단국대학교출판부, 서울. 

  16. 도수희, 1999, 한국 지명 연구, 이회, 서울. 

  17. 도수희, 2003, 한국의 지명, 아카넷, 서울. 

  18.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서울지명사전, 서울시, 서울. 

  19. 이수건, 1989, 조선시대 지방행정사, 민음사, 서울. 

  20. 이은만, 1991, 고양군 지명유래집, 고양문화원, 고양. 

  21. 지헌영, 2001, 한국 지명의 제문제, 경인문화사, 서울. 

  22. 한글학회, 1985, 한국 지명 총람 17(경기편: 상), 한글학회, 서울. 

  23. 한글학회, 1991, 한국 땅이름 큰사전(상.하), 한글학회, 서울. 

  24. 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 조선총독부, 태학사 영인본(1985). 

  25. 舊韓末 韓半島 地形圖, 일본육군참모본부, 성지문화사 영인본(1996) 

  26. 近世韓國五萬分之一地形圖(1:50,000, 京城), 조선총독부, 경인문화사 영인본(1988). 

  27. 東國輿地備攷, 작자미상, 북한산조사연구자료집(2011). 

  28. 東國輿地志, 유형원, 아세아문화사 영인본(1983). 

  29. 北漢誌, 성능, 북한산조사연구자료집(2011). 

  30. 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越智唯七, 태학사 영인본(1985). 

  31. 輿地圖書, 국사편찬위원회 영인본(1973). 

  32. 戶口總數, 서울대학교출판부 영인본(1996). 

  33. 경기문화재연구원 북한산성문화사업팀 ("다시 보는 북한산성") https://www.youtube.com/watch?vm5Vomi11Muk 

  34. 고양신문("300년 역사 북한동 마을 사라져: 공원관리 사업소 남은 5가구 철거", 2011년 1월 20일) http://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26797 

  35. 국토지리정보원 지도검색서비스(1:50,000, 1:25,000, 1:5,000 지형도) http://sd.ngii.go.kr 

  36. 네이버 지식백과(한국의 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terms.naver.com 

  37. 농지공간포털 지도서비스 http://njy.mafra.go.kr/jsp/map/PortalMap.jsp 

  38. 다음지도 http://map.daum.net/ 

  39.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해동지도, 지승, 1872년 지방지도) http://kyujanggak.snu.ac.kr 

  40. 서울지명사전 http://culture.seoul.go.kr/sggDic/sggDic.do 

  41. 연합뉴스("300년 역사 북한동 마을 전설 속으로: 연말까지 55가구 이주하고 사찰만 남아", 2010년 6월 24일) http://www.yonhapnews.co.kr 

  42. 조선시대전자문화지도시스템 http://www.atlaskorea.org 

  43. 종로도서관(京畿道高陽郡郡勢一班) http://jnliboldbook.sen.go.kr 

  44. 한국고전종합DB(신증동국여지승람) http://db.itkc.or.kr 

  45. 한국사데이터베이스(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조선왕조실록) http://db.history.go.kr 

  46. 현대 1:5만지형도(서울, 성동), 국토지리정보원(2013-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