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감염관리 인지도 및 수행도
Nurses' Perception of Accreditation,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in an Accredited Healthcare System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2, 2016년, pp.167 - 177  

홍문희 (영남대학교병원 감염관리팀) ,  박주영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infection control by examining nurses' perception of accreditation and by identifying its relationship with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인증제를 경험한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과 감염관리 인지도 및 수행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감염관리 수행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기관인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간호사들의 만족을 높여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어떤 것들이 필요한가? 따라서, 의료기관인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간호사들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증평가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동기가 부여되어야 하고 정신적 보상 뿐 아니라 적절한 물질적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22]. 이를 위해서는 인력보충, 업무의 재배치를 통해 업무 부담을 감소시키고 근거에 기반을 둔 수행 중심의 교육을 통해 업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스스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인증제 참여에 대한 보상으로 휴가, 포상, 승진 등의 구체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간호사의 근무환경을 변화시키고 나아가 의료기관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하여 내부구성원을 만족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의료기관인증제란 무엇인가?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의료기관평가제도를 시행하였고 현재의 의료기관인증제로 발전하게 되었다. 의료기관인증제는 의료기관이 환자안전과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하도록 하여 국민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절대평가의 성격을 가진 제도이다[1]. 인증을 받은 병원은 서비스의 질적 우수성을 공식적으로 확인받고 의료 서비스 질에 대한 고객 신뢰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병원에서는 의료기관인증을 받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 의료기관평가제도의 부작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국외의 의료기관인증제도는 1917년 미국외과학회에서 병원 표준화 프로그램을 수립한 후 1951년 병원인증독립기구인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ospital을 조직한 것이 시초이며, 미국을 비롯하여 호주, 캐나다 등에서는 의료기관 신임 제도를 도입하여 인증제도를 통해 환자안전과 의료 질 향상을 촉진하고 있다[2]. 국내 의료기관인증제도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의료기관평가제도는 1995년부터 시범평가를 거쳐 2004년부터 본격 도입되었으며 의료서비스 제공에 대한 의료기관의 관심, 서비스수준 향상, 임상 질 지표 도입 등 긍정적인 효과를 달성한 반면 평가결과의 서열화, 의료기관의 부담,과잉경쟁 등 여러 가지 문제점 및 부작용을 발생시켰다[3]. 이에 정부는 의료기관평가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의료기관의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질 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의료기관인증제로의 전환을 추진하였고 2010년 의료법이 개정되며 의료기관인증제를 시행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National Accreditation Standard in Healthcare service[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4 [cited 2014 February 26]. Available from: http://www.koiha.or.kr/ 

  2. Shaw CD. Toolkit for accreditation programs-some issues in the design and redesign of external health care assessment and improvement systems. Melbourne: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4. 

  3. Suk S.H. Improvement plans of accreditation program for healthcare organizations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3;202(2013.8):39-47. 

  4. Korean Association of Infection Control Nurses. Text of infection control. 2nd ed. Seoul: Hyunmoon; 2012. 

  5. Cloe M. Patient safety and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11;20(17):1122-1126. http://dx.doi.org/10.12968/bjon.2011.20.17.1122 

  6. Korean Society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4th ed. Seoul: Hanmibook; 2011. 

  7. Burke JP. Infection control- a problem for patient safet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3;348(7):651-656. http://dx.doi.org/10.1056/NEJMhpr020557 

  8. Ko EJ, Lee JY, Bae SH, Kim HJ. Changes in compliance rates of evaluation criteria after healthcare accreditation: Mainly on radiologic technologists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s in Daejeon area.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13;36(4):281-290. 

  9. Gould D, Wilson-Barnett J, Ream E. Nurses' infection-control practice: Hand decontamination, the use of gloves and sharp instru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1996; 33(2):143-160. 

  10. Pittet, D. Improving adherence to hand hygiene practic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2001;7(2):234-240. http://dx.doi.org/10.3201/eid0702.700234 

  11. Jung YW, Lee YH, Yu BC. The relationship of nurse's awareness, performance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Kosin Medical Journal. 2008;23(2): 85-91. 

  12. Sung MH, Kim NY, Choi HY.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the nurses about the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2007;16(1): 5-14. 

  13. Lee YH, Lim JD.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of patient safety & medical service quality and changes of management activity after medical institution accreditation: mental hospitals and geriatric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5;15(1):286-299. 

  14. Yeun YR., The impact of healthcare accreditation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bout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4):1820-1829. 

  15. Park SH. Effects of psychiatric nurse's awarenes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nursing performance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of Korea; 2015. 

  16. Choi Y.S. Effects of nurses' awareness on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on nursing performance [master's thesis].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1. 

  17. Han WS, Kim JY. The effect of the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to business performance in medical service organizations.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08;21(6): 2549-2580. 

  18. Bae JI. Study on hospital staff's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 ward the medical institute accreditation system: Focused on those working for the public hospital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9. 

  19. Lee SW, Kim JY, Kim SK, Yang J-S.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internal service quality, service value, and managerial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2010;15(2):253-276. 

  20. Kim BH. Study on the degrees of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hospital infection control among clinical nurses in a middle-sized and in a small-sized hospital[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4. 

  21. Kim MJ, Choi JS. Effects of perception of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5;22(2):87-95. http://dx.doi.org/10.5953/JMJH.2015.22.2.87 

  22. Yoo MS, Chung M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 of quality assurance and national hospital evaluation program and nursing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08;14(3): 260-267. 

  23. Park HM, Hong MS. A study on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the clinical nurses about the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6;11(1):25-38. 

  24. Jung HY, Jung YK. Recognition and performance level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in nurses of long-term care hospital. The Korean Journal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3;7(4):131-141. http://dx.doi.org/10.12811/kshsm.2013.7.4.131 

  25. Jeong SY, Kim OS. The structural model of hand hygiene behavior for the prevention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in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2; 24(2):119-129. http://dx.doi.org/10.7475/kjan.2012.24.2.119 

  26. Suh YH, Oh HY. Knowledge, perception, safety climate, and compliance with hospital infection standard precautions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1):61-70. 

  27. Cho DY.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training reactions in the university hospital's staff. The Korean Journal Healthcare Service Management. 2014;8(4):57-67. http://dx.Doi.org/10.12811/kshsm.2014.8.4.057 

  28. Her S, Kim IS, Kim KH. Factors affecting on the level of practice on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among operating room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8;20(3):375-385. 

  29. Kim YH, Jang, KS. Effect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2):245-255. http://dx.Doi.org/10.4040/jkan.2011.41.2.245 

  30. Ahn SY. Influence of perception of education training on the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general hospitals.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1;24(4):2073-20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