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감염관리에 관한 인지도와 수행도 - 중소병원 초보간호사를 중심으로 -
Awareness and performance about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a early stage nurse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8, 2018년, pp.492 - 500  

김정미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최영실 (경인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초보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 정도를 확인하고, 병원감염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7년 9월15일부터 2017년 9월 30일까지 A시와 B시에 300병상 규모의 중소병원 2곳의 초보간호사 150명중 무응답 및 미흡한 응답자 11명을 제외한 1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사후검정$Scheff{\bar{e}}$ 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를 비교해 본 결과 요로 감염관리, 호흡기 감염 관리 그리고 소독 오염물품 관리 부분은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수행 정도는 손 씻기 영역에서는 근무부서와 직위, 수액요법영역은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 여부(p<.001)에서, 요로감염관리 영역 및 호흡기 감염관리 영역(p=<.001)에서는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 정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손 씻기, 수액요법, 요로감염관리, 호흡기 감염관리, 감염성 폐기물 관리, 소독오염 물품관리영역의 모든 영역에서 인지도가 수행도 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험과 지식이 부족한 초보간호사들이 병원감염관리 간호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수행도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병원감염관리 관련 교육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개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grees of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of early stage nurses working in medium and small sized hospitals. This survey was conducted for 15 days from Sep. 15 to Sep. 30, 2017. Data were then analyzed by SPSS Win 22.0 to determine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실무 경험은 부족하지만 간호 실무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하는 1∼3년차 초보간호사[16]를 대상으로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를 확인함으로서 추후 효과적이고 개별적인 병원감염관리를 위한 계획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초보간호사는 간호실무 경험과 현장에 대한 지식은 부족하지만 임상에서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간호사로 임상현장에서의 기대치가 높은 간호사이기 때문에[16] 병원감염관리의 인식과 그 수행 정도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보간호사의 병원감염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 정도 정도를 파악하여, 병원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감염관리 지식과 실무능력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병원감염관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경력 3년 이하의 초보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도를 확인하고, 감염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017년 9월15일부터 2017년 9월 30일까지 A시와 B시의 300병상 규모로 크기가 같은 중소병원 2곳에서 근무하는 임상경력 3년 이하 경력의 초보간호사로 총 138명이었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초보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 도를 확인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초보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 도를 조사하여 감염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병원감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감염의 증가의 특징은 무엇인가? 병원감염의 증가는 입원기간을 장기화하고 사망률을 증가시키며 인적,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다제 내성균 등 항생제 내성균의 확산을 야기함으로서 국민 건강에 큰 위협이 되고 있어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과거 국내 병원감염에 대한 연구 및 정책들은 대부분 400병상 이상 대형병원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 300병상 미만의 종합병원까지 의료기관 평가가 확대되면서 중소병원에서의 감염관리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6].
감염관리 필요성이 확대에 따른 우리나라의 과거부터의 변화는 어떠한가? 이와 관련해 우리나라는 1991년부터 감염관리전담간호사 활동 시작과 더불어 2002년에는 의료법 개정을 통해 효과적인 감염관리 조직체계를 명시, 2003년에는 의료법 시행규칙을 개정, 그리고 2005년에는 병원감염 예방관리지침을 공시하기에 이르렀다[7].
의학의 발전에 따라 감염에 노출될 위함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일반인들의 병원감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의료기관의 책임과 역할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1]. 또한 의학의 발전과 함께 감염에 취약한 노령 인구와, 만성질환자의 증가, 항암제 및 면역억제제의 사용으로 인한 면역부전환자의 증가, 항생제사용증가 및 인공호흡기, 중심 정맥관, 유치 도뇨관 등 각종 침습적 의료처치 이용 확대로 인해 감염에 노출될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병원감염은 미국의 경우 전체 입원환자의 5% 정도에서 발생하고 있고[2], 국내의 경우도 전체 입원환자의 5~10%로 추정되고 있는데[3], 현재까지 연구된 바에 의하면 노인요양병원의 경우 호흡기 감염이 3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E. C. Kim.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and Infection Control. In Korean Society for Nosocomical Infection Control, 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4th ed. Seoul: Hanmibook; 2011:3-8. 

  2.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American Recovery and Reinvestment Act Epidemiology and Laboratory Capacity(ELC) for Infectious Disease Program Healthcare - Associated Infections(HAIs) Grantee Meeting, From: http://www.cdc.gov/hai/recoveryact/pdf/oct09/5-0130_srinivasan_HAI_prevention_day1.pdf 

  3. Korean Association of Infection Control Nurses, KAICN Text of Infection Control Seoul: Eastern Culture, 2006. 

  4. S. Y. Kim, The Clinical Features and Hospital Courses of Patients Admitted to a Geriatric Hospital: Analysis of 600 Registered Cases.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2008. 

  5. Y.G.Kwak,Y.K.Cho,J.Y.Kim,M.S.Lee,H.Y.Kim,Ko 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Intensive Care Unit Module Report, Korea Journal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vol 16, no.1 pp.1-12, 2010. 

  6.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Hospital evaluation program: survey report 2009. http://www.khidi.or.kr/etcsite/medicalnotice.do.(updated on 30 April 2011) 

  7. J. H. Kang, H. Ch. Lee, "Infection Management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Analysis of Infection Education Effect: Comparison with Hospital Infection Management", Public Policy Review, Vol.29, No.1, pp.107-135, Mar. 2015. DOI: https://dx.doi.org/10.17327/ippa.2015.29.1.005 

  8. S. Y. Jeong, J. Y. Lee, S. R. Kim, M. J. Shin, S. E. Lee, O. S. Ki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Education Program for Novice Infection Control Nurses",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Vol.21, No.1, pp.18-30, 2016. DOI: https://dx.doi.org/10.14192/kjnic.2016.21.1.18 

  9. Haleyn R. W., Quade D, Freeman H. E., Bennett J. V. The SENIC Project. "Study on the Efficacy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SENIC Project). Summary of Study Desig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 111, no. 5, pp. 472-485, 1980. 

  10. M. J. Kim, Correlations among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Hospital Infection Control in Clinical Nurses, Master's Thesis Chodang University, 2010. 

  11. J. Y. Yoo, E. G. Oh, H. K. Hur, M. Choi. "Level of Knowledge on Evidence-based Infection Control and Influencing Factors on Performance among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24, No.3, pp.232-243, 2012. DOI: https://dx.doi.org/10.7475/kjan.2012.24.3.232 

  12. A. L. Choi.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the Clinical Nurses about The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2005. 

  13. K. M. Kim, H. J. Kim. Nationwide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Infection Control in Oriental Medical Hospitals,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vol. 16, no. 2, pp. 63-69, 2011. 

  14. S. Y. Jeong, O. S. Kim, J. Y. Lee, "The Status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mong Healthcare Facilities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5, pp.353-366, 2014. DOI: https://dx.doi.org/10.14400/JDC.2014.12.5.353 

  15. M. A. Sung, S. U. Yoon, "Infection Control practices in accordance characteristic of Dental institutions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roun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6 No.5, pp.299-307, 2018. DOI: https://dx.doi.org/10.14400/JDC.2018.16.5.299 

  16. P. Benner, "From Novice to Expert",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Vol.82, No.3, pp.402-407. 

  17. K. S. Jang,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Unpublished Doctor'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00. 

  18. S. J. Choi, H. J. Jeong, H. J. Woo, O. J. Kim, S. C. Park, C. H. Park, A Prospective Study on the Incidence of Intravenous Catheter-related Complication,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vol. 3, no. 2, pp. 10-112, 1998. 

  19. H. S. Cho, K .H. Yoo, A Study on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the Clinical Nurses about the Prevention of Nosocomial Infection, Korea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10, no. 1 pp. 5-23, 2001. 

  20. M. S. Soung, Clinical Nurse's Awareness and Practice of Nosocomical Infection Manag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2001. 

  21. B. H. Kim, A study on the Degrees of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Hospital Infection Control among Clinical Nurses in a Middle-sized and in a Small-sized Hospital.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cience and Management Yonsei University, 2003. 

  22. H. J. Ha, J. H. Park, M. H. Kim, "Knowledge and Performance Level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o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Central Venous Catheter and Ventilator Among Intensive Car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6, pp.113-120, 2016.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6.17.6.113 

  23. Y. H. Lee, I. S. Kim,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Levels on the Prevention of Hospital Infection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vol. 6, no. 2, pp. 197-210, 2002. 

  24. H. Y. Jung, Y. K. Jung, Recognition and Performance Level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in Nurses of Long-term Care Hospita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7, no. 4, pp. 131-141, 2013. 

  25. M. K. Lee.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2012. 

  26. M. S. Yoo, Y. J. Son, H. M, Ham, M. M. Park, A. H. Um ,A Comparative Study of Nurses' Recognition and Practice Level of General Nosocomial Infection, MRSA and VRE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Korea Academy Fundamental of Nursing, vol 11, no.1. pp. 31-40, 2004. 

  27. J. E. Moon, A Structural Model of Performance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Guidlin in Hospital Nurse. Unpublished Doctor's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6. 

  28. M. J. Kim. Correlations among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Hospital Infection Control in Clinical Nurses, Master's Thesis, Chodang University, 2010. 

  29. D. J. Lee, S. H .Ko, Y. H. Lee, "Perception and Practice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in Nurses of Geriatric Hospital : for Convergent Approach",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11, pp.461-470, 2015. DOI: https://dx.doi.org/10.14400/JDC.2015.13.11.461 

  30. H. J . Park, Y. M. Lee,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about Respiratory System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among ICU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5, no. 2, pp. 949-963,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