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높은 공간능력과 낮은 언어능력을 가진 초등 미성취 과학영재의 발견가능성 탐색 - 빛의 직진 개념을 중심으로 -
Exploration on possibility of finding gifted underachievers with high spatial ability and low verbal ability in elementary science field: Focused on "Light Propagation"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6 no.1, 2016년, pp.101 - 122  

정연수 (화성 상봉초등학교) ,  이지원 (한국교원대학교) ,  김중복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공간능력이 과학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사회문화적 인식으로 인해 높은 공간능력과 낮은 언어능력을 가진 영재학생들이 미성취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영재 선발을 위한 관찰 추천 시에 교사들이 여전히 학업성취도를 많이 반영하고 있으며 높은 공간능력과 낮은 언어능력을 가진 미성취영재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간능력과 언어능력에 따른 빛의 직진에 대한 이해 정도와 과학학업성취도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빛의 직진 이해에서 보이는 특징을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높은 공간능력을 가진 미성취 과학영재1)의 발견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과학영재 추천 시 과학학업성취도를 중요하게 반영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여주며, 교육현장에서 높은 공간능력과 낮은 언어능력을 가진 미성취 과학영재의 발견가능성과 그들의 과학적 잠재력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비언어성 검사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possibility finding gifted underachievers who have high spatial ability, but low verbal ability in elementary science field. In Korea, because teachers used to refe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nly when they recommend gifted students, underachievers use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ALENT 프로젝트에서 무엇을 밝혔나? 미국에서는 스푸트니크가 발사된 이래로 미국 NSF위원회를 중심으로 물리학과 공학의 발전을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물인 ‘Scientific Careers’ 보고서에서 물리학자와 공학자의 어린 시절 특징 중 하나로 공간능력에서의 잠재력을 이야기하였다(Lubinski, 2010). 후속연구인 TALENT 프로젝트에서는 미국 고등학생 9~12학년 40만 명을 대상으로 11년에 걸쳐 진행된 연구를 통해 일반 지능, 언어능력, 수학능력보다 공간능력이 STEM 영역에서의 전문성을 발달시키는데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Wai, Lubinski, & Benbow, 2009). 또한, 미국의 속진프로그램인 SMPY(Study of Mathematically Precocious Youth)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0년간의 연구에서는 STEM 영역에서의 학위와 직업을 가지는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공간능력이 뚜렷한 역할을 수행하였다(Lubinski, 2010)
현재 실시되고 있는 영재 선발 방식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또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영재 선발 방식도 언어능력과 수학능력에 치중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공간능력에서 상위 1%에 해당하는 학생들 중 절반가량이 부족한 언어능력으로 인해 영재로 선발될 기회를 놓치고 있다(Wai et al., 2009). 영재 선발 시에 활용되는 유명한 검사들은 대부분이 공간능력이 아닌 언어적, 비언어적, 양적 영역에서의 유동성 지능을 측정하는 경우가 많으며 공간능력검사조차 의도한 구인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공간능력검사와 수리적 추론능력을 평가하는 비언어성 검사를 혼동하는 사례들도 발견되고 있다(Andersen, 2014).
공간능력과 과학의 발전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과학사 사건은 무엇이 있나? 또한, 과학사를 통해 공간능력과 과학의 발전과의 관련성을 찾아볼 수 있다. 우주의 행성 운동을 다룬 케플러 법칙이나 X선 회절을 활용한 DNA 나선구조의 발견과 같은 과학적 발견들은 과학자들에게 있어서 공간능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Wai et al., 2009). 특히, 물리학 에서는 갈릴레오의 운동 법칙, 맥스웰 법칙, 패러데이의 전자기장 이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등에서 시공간적 추론을 광범위하게 활용하였음이 밝혀졌다(Kozhevnikov, Motes, & Hegarty, 2007; Shepard, 1996). 과학의 학습에서도 공간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호감, 정영미 (2015). 학교 규모별 초등단위 영재학급 교육대상자 선발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 26(2), 157-175. 

  2. 고광병 (1997). 빛 개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수업 전.후의 개념 조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4. 구자홍 (2000). 고등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과의 상관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5. 권성기, 김지은 (2007). 초등학교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물리 오개념 비교. 초등과학교육, 25(5), 476-484. 

  6. 권오남, 박경미, 임형, 허라금 (1996). 공간능력에서의 성별차이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 35(2), 125-141. 

  7. 권재술, 정진우, 김범기, 최병순, 김한호 (1992). 빛에 대한 국민학교 학생들의 개념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2), 43-53. 

  8. 김동일, 이일화 (2010). 읽기 저성취 초등학생의 언어 지식과 독해력과의 관계. 학습장애연구, 7(1), 27-45. 

  9. 김범기, 이항로, 김기정 (1996). 천문 개념 성취도와 공간 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5(2), 315-325. 

  10. 김상달, 이용섭, 이상균. (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6(6), 461-468. 

  11. 김종원 (2013). 빛의 직진 개념에 대한 Peer instruction 중심의 과학교사 연수 자료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2. 박매옥, 강호감, 최선영(2009). 공간능력에 따른 초등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탐구능력간의 상관관계. 과학교육논총, 22(1), 95-108. 

  13. 박소영, 이진희 (2007). 복합판별 과정에 의한 초등학교에서의 미성취 영재 판별. 영재교육연구, 17(2), 251-279. 

  14. 신정화 (2002). 읽기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지능 및 해부호화 능력과 독해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15. 안도희, 김옥분 (2007). 학문적 미성취 중학생들의 학업관련 특성: 학업성적, 학업관련 태도,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1(3), 723-745. 

  16. 윤초희, 박희찬 (2013). 관찰추천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영재학생 판별기준과 추천요인 분석. 영재교육연구, 23(5), 771-791. 

  17. 이경훈, 임종옥 (2010). 9학년 학생의 공간 능력 차이에 따른 지구자전 개념의 획득. 한국지구과학회지, 31(3), 267-275. 

  18. 이명자, 문병상 (2007). 미성취 영재의 특성과 교육적 지도 방안. 중등교육연구, 55(1), 159-179. 

  19. 이정은 (2015). 학생, 예비교사, 교사의 광원에 따른 빛의 진행에 대한 개념 유형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 이지원, 김종원, 김규환, 황명수, 김중복 (2013). 동료 교수법 기반의 과학교사 연수를 위한 단계형 개념검사문항 개발 -바늘구멍 사진기의 원리 학습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229-248. 

  21. 이지원, 윤하영, 김중복 (2014). 빛과 그림자 개념 이해를 돕는 3차원 시뮬레이션 콘텐츠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연구지, 38(3), 703-717. 

  22. 이효녕, 조현준, 박미란 (2012). 공간능력의 차이에 따른 10학년 학생들의 판 운동 관련 개념에 대한 이해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3(4), 360-375. 

  23. 전만국, 김형범, 정진우 (2013). 초등학생의 공간능력에 따른 태양의 고도에 관한 개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1), 28-39. 

  24. 정미경, 윤소윤 (2012). 영재와 공간능력간의 탐색적 고찰: STEM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18(3), 135-155. 

  25. 정수정, 최나야 (2013).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과 읽기태도가 교과 성적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2(4), 257-275. 

  26. 조선미, 한기순 (2014). 비인지적 영역 영재교육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영재교육연구, 24(1), 45-61. 

  27. 천경록 (2006). 독서 능력 표준화 검사 도구의 연구 개발. 독서연구, 15, 407-436. 

  28. 최선일, 진석언 (2015). 중학교 영재학생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방안으로서의 읽기이해 전략 프로그램 개발. 영재교육연구, 25(4), 649-667. 

  29. 한기순, 신정아 (2007). 성취 영재와 미성취 영재는 어떻게 다른가?: 학습전략, 동기, 능력신념, 그리고 문제해결성향의 차이분석. 영재교육연구, 17(1), 27-50. 

  30. Andersen, L. (2014). Visual-Spatial ability: Important in STEM, ignored in gifted education. Roeper Review, 36(2), 114-121. 

  31. Galili, I., & Hazan, A. (2000). Learners' knowledge in optics: Interpretation, structure and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1), 57-88. 

  32. Gohm, C. L., Humphreys, L. G., & Yao, G. (1998). Underachievement among spatially gifted student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5(3), 515-531. 

  33. Kozhevnikov, M., Motes, M. A., & Hegarty, M. (2007). Spatial visualization in physics problem solving. Cognitive Science, 31(4), 549-579. 

  34. Kozhevnikov, M., & Thornton, R. (2006). Real-time data display,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and learning force and motion concep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5(1), 111-132. 

  35. Lohman, D. F., Lakin, J. M., Sternberg, R., & Kaufman, S. (2009). Reasoning and intelligence. Handbook of Intelligence, 419-441. 

  36. Lord, T., & Nicely, G. (1997). Does spatial aptitude influence science-math subject preferences of children?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9(2), 67-81. 

  37. Lubinski, D. (2010). Spatial ability and STEM: A sleeping giant for talent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9(4), 344-351. 

  38. Mann. R. L. (2005). Gifted students with spatial strengths and sequential weaknesses: An overlooked and underidentified population. Roeper Review, 27(2), 91-96. 

  39. Miller, D. I., & Halpern, D. F. (2013). Can spatial training improve long-term outcomes for gifted STEM undergraduate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6, 141-152. 

  40. Reis, S. M., & McCoach, D. B. (2000). The underachievement of gifted students: What do we know and where do we go? Gifted Child Quarterly, 44(3), 152-170. 

  41. Shepard, R. (1996). The science of imagery and the imagery of scienc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l Psychological Society, San Francisco. 

  42. Silverman, L. K. (2002). Upside-down brilliance: The visual-spatial learner DeLeon Pub. 

  43. Wai, J., Lubinski, D., & Benbow, C. P. (2009). Spatial ability for STEM domains: Aligning over 50 years of cumulative psychological knowledge solidifies its import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1(4), 8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