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부산광역시 남부 나무섬과 남형제섬 화산암의 암석학적 연구
Petrological Study on the Volcanic Rocks in Namoo and Namhyeongje Island, Off the Southern Coast of Busan City,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5 no.1, 2016년, pp.1 - 12  

윤성효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산광역시 남해안에 위치한 무인도서인 나무섬과 남형제섬은 규장질 화산암류로 구성된다. 남형제섬은 주로 데사이트질 응회암 즉 결정-유리질 용결응회암으로 구성되며, 사장석 반정과 소규모의 암편(岩片)을 함유하며, 압축 신장된 부석편이 나란하게 배열된 유상구조(流狀構造)를 볼 수 있다. 현미경하에서 사장석 결정, 부석편, 암편과 기질부에 부분적으로 압축 신장된 부석편을 보여주는 화성쇄설 조직을 나타낸다. 나무섬은 암청회색 기질부에 사장석 반정을 함유하는 데사이트로 구성되며, 섬의 상부로 감에 따라 암색이 자회색을 띠는 유문데사이트로 이화하고, 산정 부근에서는 대부분 용암으로 구성되나 부분적으로 자각력화작용으로 응회각력암~각력암으로 산출되기도 한다. 섬의 동북부 남서쪽 해식애를 따라 암괴와 화산력 그리고 화산재가 분급이 불량하게 쌓여 있는 집괴암상이 나타난다. 또한 이들 집괴암상을 절단하면서 관입하여 상단의 용암류로 연결되는 규장질 틈새화도암맥이 나타난다. 전암 주성분 분석 결과, 나무섬의 화산암류로서 데사이트($SiO_2$ 65.5~68.3 wt.%) 용암과 화성쇄설물, 남형제섬의 화산암류는 유문암질($SiO_2$ 73.6~74.4 wt.%) 결정-유리질 응회암으로 구성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about the petrography of volcanic rocks in Namoo island and Namhyeongje island, off the southern coast of Busan City. The rocks in the Namhyeongje island composed of dacitic crystal-vitric welded tuff, showing phenocrysts of plagioclase, rock fragment with flow struc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나무섬과 그 남쪽 남형제섬을 구성하는 화성암류에 대하여 암석기재적 고찰 및 주성분 원소와 미량성분 원소를 분석하여 암석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무섬과 남형제섬 용암류에 대해 방사선 동위원소 측정에 의한 전암 연대측정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나무섬과 남형제섬의 화산암류는 다대포지역의 화산암 분포지에서 8~18 km 떨어져 있고, 직접 화산암 류와 접하는 곳이 없으므로 이들 화산암류를 형성한화산활동의 시기를 정확하게 규명하려면 용암류에 대하여 방사성 동위원소 측정에 의한 전암 연대측정이 필요하다. 다만 주변지역의 화산암류들의 층서적 관계(Chang et al.
부산 남해안에 위치한 나무섬은 어떤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현미경하에서 사장석 결정, 부석편, 암편과 기질부에 부분적으로 압축 신장된 부석편을 보여주는 화성쇄설 조직을 나타낸다. 나무섬은 암청회색 기질부에 사장석 반정을 함유하는 데사이트로 구성되며, 섬의 상부로 감에 따라 암색이 자회색을 띠는 유문데사이트로 이화하고, 산정 부근에서는 대부분 용암으로 구성되나 부분적으로 자각력화작용으로 응회각력암~각력암으로 산출되기도 한다. 섬의 동북부 남서쪽 해식애를 따라 암괴와 화산력 그리고 화산재가 분급이 불량하게 쌓여 있는 집괴암상이 나타난다.
한반도 동남부 일원의 경상분지는 과거에 어느 지역과 같은 특징을 지녔었는가? , 1991). 이 지역은 현재 동태평양의 칠레 해구에 연한 안데스 화산지역(Andean volcanic belt)과 같은 거대한 대륙연변화산호 (continental margin volcanic arc)에 해당하는 지역이 었다(Min et al., 1982;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ang, T.W., Kang, P.J., Park, B.H., Hwang, S.K., and Lee, D.W., 1983, Explanation text and geologic map(1:50,000) of Pusan and Gadeok sheet. KIGAM, 53p. 

  2. Cho, H.S., Kim, J.S., Son, M., Sohn, Y.K., and Kim, I.S., 2011, Petrography and $^{40}Ar/^{39}Ar$ ages of the volcanic rocks in the Cretaceous Daedaepo basin, Busan: Accumulation time and correlation of the Dadaepo Formation.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7, 1-18. 

  3. Hwang, S.K., 2012, Tectonic setting and arc volcanisms of the Gyeongsang arc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 367-383. 

  4. KIGAM, 1996, Geological map of Busan sheet(1:250,000),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Korea 

  5. Kim, S.W., Lee, J.Y., Kim, Y.K., and Koh, I.S., 1991, Petrology of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southern Yuchon minor basin.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7, 24-39. 

  6. Kim, H.M., Kim, J.S., and Son, J.D., 2006, Report of the volcanic geology of Yeongdo lighthouse and Mokdo island, activation of marine culture and uninhabited Islands tourism linkages research. Busan Regional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Office, 271-274. 

  7. Koh, J.S., Kim, E.H., and Yun, S.H., 2004, Petrology of the Cretaceous igneous rocks in Gadeog island, Busan, Korea.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3, 47-63. 

  8. Le Bas, M.J., Le Maitre, R.W., Streckeisenm A., Zanettin, B., and IUGS, 1986,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Silica Diagram. Journal of Petrology, 27, 745-750. 

  9. Lee, S.M., Kim, S.W., and Jin, M.S., 1987, Igneous activities of the Cretaceous to the Early Tertiary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in South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3, 338-359. 

  10. Min, K.D., Kim, O.J., Yun, S.K., Lee, D.S., and Joo, S.W., 1982, Applicability of plate tectonics to the post-late Cretaceous igneous activities and mineralization in the southern part of South Korea(I). Mining Geology, 15, 123-154. 

  11. Son, M., Kim, J.S., Hwang, B.H., Lee, I.H., Kim, J.M., Song, C.W., and Kim, I.S., 2007, Paleogene dyke swarms in the eastern Geoje Island, Korea: their absolute ages and tectonic implications.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6, 82-99. 

  12. Sun, S.S. and McDonough, W.F., 1989, Chemical and isotopic systematics of oceanic basalts; implications for mantle composition and processes. In: Magmatism in the ocean basins. Saunders, A.D. and Norry, M.J. (Editors),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London, 42, 313-345. 

  13. Winchester, J.A. and Floyd, P.A., 1977, Geochemical discrimination of different magma series and their differentiation products using immobile elements. Chemical Geology, 20, 325-343. 

  14. Wood, D.A., 1980, The application of a Th-Hf-Ta diagram to problems of tectonomagmatic classification and to establishing the nature of crustal contamination of basaltic lavas on the British Tertiary Volcanic Province.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50, 11-30. 

  15. Yun, S.H., 1998, Volcanic activiy and petrology of the Cretaceous volcanic complex in Yuchon volcanic field of southeastern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9, 408-424. 

  16. Yun, S.H., Kim, J.S., and Kim, Y.L., 1994, Petrology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Pusan area, Korea(II): - Petrogenesis and tectonic setting-.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5, 356-365. 

  17. Yun, S.H., Koh, J.S., and Kim, Y.L., 1996, Petrology of the Cretaceous andesiic volcanic rocks in southern Pusan a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Songdo-Tadaepo a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7, 472-4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