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한강 유역의 침수예상지역에 대한 홍수범람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tershed Analysis of the Expected Flood Inundation Area in South Han River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9 no.1, 2016년, pp.106 - 119  

홍성수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정다솜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황의호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채효석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수자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홍수 및 침수 등의 자연재해로부터 예방, 대비, 복구, 대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홍수위험지도, 홍수피해지도, 재해정보지도, 침수흔적도 등 지도 제작에 있어서 홍수범람해석이 핵심적인 내용을 수반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살리기 사업 이후의 충주댐부터 팔당댐까지의 남한강 구간에 대하여 하도 특성 및 유역특성을 분석하고, 하천기본계획상 계획홍수위를 이용하여 홍수 시나리오를 선정하였다. 하천의 흐름특성을 고려하여 HEC-RAS를 이용한 1차원 부등류 해석, FLUMEN을 이용하여 상습수해지역인 여주, 양평, 충주지구에 대해 2차원 부정류 해석을 실시함으로써 홍수범람해석을 하였다. 남한강 구간에 대해 각 지천별로 100년, 200년, 500년 빈도해석을 하였으며, 침수심 0.5m에 해당되는 100년 빈도는 2,379.8ha, 200년 빈도는 3,155.2ha, 500년 빈도는 3,995.3ha의 홍수피해면적이 산정되었다. 침수흔적도와 비교분석함으로써 하천정비기본계획, 토지이용계획, 홍수방어대책, 치수대책 등의 수립 및 신속한 호우피해 예상지역의 정보 취득으로 대피정보 제공을 위한 재해정보지도 구축의 중요한 의사결정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ood risk map, flood damage map, disaster information map, inundation trace map are involved with the cartographic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based on prevention, preparation, restoration, response from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 flooding, etc. In this study, the analysis for channel and b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계산된 1차원 수위계산을 토대로 월류 위험 구간을 선정하여 월류 범람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또한, 남한강 구간 내 파제범람 시나리오는 양평, 여주, 충주 지구에 대하여 저지대, 흐름 특성 등을 고려하여 각 지구별로 선정하였다.
  • 남한강 구간에 대해 1차원 부등류 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하류단 경계조건으로부터 400m마다 측정한 지점을 각 하천별 좌안과 우안에 대한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표 3에는 남한강 구간의 좌·우안에 대한 남한강의 1차원 부정류 해석 결과를 도시하였다.
  • 89km를 2차원 부정류 해석을 수행하였다. 남한강 구간의 시가지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74.63km와 달천 구간의 충주 지구를 제외한 나머지 14.31km를 1차원 부등류 해석을 수행하였다.
  • 둘째, 2차원 해석모형인 FLUMEN을 이용하여 1차원 부등류 해석을 수행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가지 지역에 대하여 부정류 해석을 수행하였다. 남한강 구간의 시가지 지역인 양평, 여주, 충주지역에 대하여 홍수가상범람도를 구축하기 위해 각 지구별로 저지대 분석 및 흐름 특성 등을 고려하여 양평 지구 3곳, 여주 지구 1곳, 충주 지구 5곳에 대해 파제지점을 선정하였다.
  • 계산된 1차원 수위계산을 토대로 월류 위험 구간을 선정하여 월류 범람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또한, 남한강 구간 내 파제범람 시나리오는 양평, 여주, 충주 지구에 대하여 저지대, 흐름 특성 등을 고려하여 각 지구별로 선정하였다. 표 4는 각 지구의 파제지점별 제내·외지 유로연장 및 홍수위를 한강 호우 지도 제작 지침을 준용하여 나타내었고, 표 5는 빈도별 상·하류단 경계조건을 도시하였다.
  • 본 연구는 한강권역의 남한강 구간의 1차원 부등류 해석 및 2차원 부정류 해석을 통해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였다. 과거 홍수사상 자료를 이용하여 홍수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나타낸 결과를 그림 12에 ArcGIS로 나타낸 침수흔적도와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 본 연구는 한강권역의 남한강 구간의 홍수범람해석을 통해 예상되는 범람도를 추정함으로써 침수흔적도와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의 총 연장 85.
  •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유역을 대상으로 수리 및 한강 살리기 사업 이후의 하도특성, ArcView를 이용하여 남한강 유역특성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하천별 하천기본계획 상의 계획 홍수량을 기준으로 홍수규모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의 흐름특성을 고려하여 HEC-RAS 모형을 이용한 1차원 부등류 해석을 하였으며, 상습수해지역인 여주 및 양평지구에 대해 FLUMEN 모형을 이용하여 2차원 부정류 해석을 실시하여 남한강 구간의 하천별 홍수위험구역을 추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역인 여주, 양평, 충주 지구는 2차원적 범람흐름 특성을 나타내는 곳으로써 하도와 제내지를 하나의 2차원 계산격자망 안에서 계산하여 2차원 부정류 해석을 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인 남한강 구간은 총 85.
  • 본 연구에서는 설정된 홍수 시나리오에 따라 남한강 구간으로 유하형 범람의 가정 하에 1차원 모형인 HEC-RAS와 2차원 모형인 FLUMEN을 이용하여 홍수범람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는 범람원인, 흐름의 유형에 따라 연구 대상지역의 지형조건 및 수계형태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 표 4는 각 지구의 파제지점별 제내·외지 유로연장 및 홍수위를 한강 호우 지도 제작 지침을 준용하여 나타내었고, 표 5는 빈도별 상·하류단 경계조건을 도시하였다. 상류단 경계조건은 홍수 시나리오로 선정된 유량곡선을 사용하였고, 하류단 경계조건은 하천정비기본계획에 준용하여 홍수 시나리오에 대한 수위곡선을 사용하여 파제지점에 대한 지구별 범람도를 작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유역을 대상으로 수리 및 한강 살리기 사업 이후의 하도특성, ArcView를 이용하여 남한강 유역특성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하천별 하천기본계획 상의 계획 홍수량을 기준으로 홍수규모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의 흐름특성을 고려하여 HEC-RAS 모형을 이용한 1차원 부등류 해석을 하였으며, 상습수해지역인 여주 및 양평지구에 대해 FLUMEN 모형을 이용하여 2차원 부정류 해석을 실시하여 남한강 구간의 하천별 홍수위험구역을 추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설정된 홍수 시나리오에 따라 남한강 구간으로 유하형 범람의 가정 하에 1차원 모형인 HEC-RAS와 2차원 모형인 FLUMEN을 이용하여 홍수범람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는 범람원인, 흐름의 유형에 따라 연구 대상지역의 지형조건 및 수계형태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부등류 해석을 하기 위해 HEC-RAS모형을 사용하였고, 이는 미육군공병단(USACE)에서 개발한 모형으로써 표준축차 계산법을 사용하였다.
  • 0m 등으로 구분하여 7단계로 구분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Guidelines on Standards of disaster map, 2015). 이에 따라 홍수범람분석을 통해 침수심 0.05m를 제외한 0.5m를 기준으로 홍수범람면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표 6과 남한강 본류 및 주요 지천들에 대하여 침수심 0.
  • 첫째, 1차원 수리모형인 HEC-RAS를 이용하여 부등류 해석을 수행하였다. 상류단 경계조건인 팔당댐부터 하류단 경계조건인 충주댐까지의 남한강 구간에 대하여 조도계수는 각 하천별 하천정비기본계획 상의 조도계수를 기준으로 하여 범람구간에 대해서는 토지이용특성을 고려하여 홍수위험지도 제작에 관한 지침 (Ministry of Land, 2008)의 합성등가 조도계수를 사용하였다.
  • 표 1에 이러한 지형특성을 살펴보면 남한강 상류는 집중호우 발생시 급격하게 홍수량이 증가하여 시설물의 피해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으며 달천이 속해 있는 유역은 저지대와 평탄지가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홍수발생시 신속한 홍수 배제가 곤란할 것으로 예측된다. 홍수발생으로 인한 피해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한강지도 제작 보고서(3차)에 1984년부터 2006년까지 남한강 유역에 대한 홍수 피해현황을 살펴보았으며, 그에 따른 홍수피해 취약지역과 피해원인을 분석하여 그림 3에 도시하였다. 한강유역의 최근 20년간(1984~2006) 풍수해 상황을 살펴보면 총 피해액은 약 7조 4,300억원으로 연평균 3,602백만원의 손실을 발생하였다.

대상 데이터

  • 남한강 구간의 수계 구성은 국가하천 구간이 173.72km이고 지방하천 구간이 125.80km이며, 제 1지류인 국가하천구간은 북한강, 섬강, 달천 등 7개에 총 연장 258.15km으로 남한강 구간의 주요지점별 하천 현황을 조사하였다. 주요지점은 팔당댐 수위관측소, 북한강 합류점, 여주 수위관측소, 섬강 합류점, 달천 합류점, 충주댐 수위 관측소이다.
  • 둘째, 2차원 해석모형인 FLUMEN을 이용하여 1차원 부등류 해석을 수행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가지 지역에 대하여 부정류 해석을 수행하였다. 남한강 구간의 시가지 지역인 양평, 여주, 충주지역에 대하여 홍수가상범람도를 구축하기 위해 각 지구별로 저지대 분석 및 흐름 특성 등을 고려하여 양평 지구 3곳, 여주 지구 1곳, 충주 지구 5곳에 대해 파제지점을 선정하였다. 상류단 경계조건은 1차원 부등류 해석시 선정된 홍수 시나리오의 유량곡선을 사용하였고, 하류단 경계조건은 하천정비기본계획에 준용하여 홍수 시나리오에 대한 수위곡선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대상 지역인 남한강 구간에 대한 조도계수는 크게 하도구간과 범람구간으로 구분하였으며 하도구간의 조도계수는 하천별 하천정비기본계획 상의 조도계수를 기준으로 하였다. 남한강은 0.
  •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남한강은 우리나라의 제1의 하천으로써 강원도 삼척시 대덕산 남쪽의 금대봉 검룡소에서 발원하여 남서류하다 정선부근에서 오대천 및 송천이 합류하며, 하류로 내려오면서 제천천, 달천, 섬강, 청미천, 양화천, 복하천, 흑천, 경안천 등 크고 작은 지류들과 합류하여 유역을 이루고 있다. 그림 1은 과거 침수흔적도를 나타내었고, 그림 2는 하천정비기본계획의 4대강 살리기 사업 이전과 이후의 하도 단면에 대해 계획홍수위를 나타내었다.
  • 연구 대상 하천 구간에서 본류로 유입되는 큰 지천중 북한강은 경기도 양평군 양수리에서 북한강과 합류하여 한강 본류를 형성 및 관류한다. 상류단 경계조건인 팔당댐부터 하류단 경계조건인 충주댐까지 구간의 남한강 유역 지천 중 달천, 섬강, 청미천, 복하천, 북한강을 비교적 큰지천으로 선정하여 모형에 반영하였다.
  • 그림 1은 과거 침수흔적도를 나타내었고, 그림 2는 하천정비기본계획의 4대강 살리기 사업 이전과 이후의 하도 단면에 대해 계획홍수위를 나타내었다. 연구 대상 하천 구간에서 본류로 유입되는 큰 지천중 북한강은 경기도 양평군 양수리에서 북한강과 합류하여 한강 본류를 형성 및 관류한다. 상류단 경계조건인 팔당댐부터 하류단 경계조건인 충주댐까지 구간의 남한강 유역 지천 중 달천, 섬강, 청미천, 복하천, 북한강을 비교적 큰지천으로 선정하여 모형에 반영하였다.
  • 본 연구는 한강권역의 남한강 구간의 홍수범람해석을 통해 예상되는 범람도를 추정함으로써 침수흔적도와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의 총 연장 85.1km 중 여주, 양평 지구인 10.47km를 제외한 74.63km 및 달천의 충주 지구인 0.89km를 제외한 14.31km 구간은 1차원 부등류 해석을 수행하였고, 나머지 시가지 지구는 2차원 부정류 해석을 통해 도출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역인 여주, 양평, 충주 지구는 2차원적 범람흐름 특성을 나타내는 곳으로써 하도와 제내지를 하나의 2차원 계산격자망 안에서 계산하여 2차원 부정류 해석을 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인 남한강 구간은 총 85.1 km이며, 여주, 양평 지구 지역 10.47km 및 달천의 충주지구는 한강 합류점 인근 지역으로 총 15.20km로 중 시가지 지역인 0.89km를 2차원 부정류 해석을 수행하였다. 남한강 구간의 시가지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74.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부등류 해석을 하기 위해 HEC-RAS모형을 사용하였고, 이는 미육군공병단(USACE)에서 개발한 모형으로써 표준축차 계산법을 사용하였다. 모형에 사용된 홍수 시나리오는 「한강유역종합치수계획(Ministry of Land, The plan of integrated flood management in Han River basin, 2009)」을 기본으로 하여 각 하천별로 하천정비기본계획서 상의 계획홍수량을 기준으로 빈도별 산정을 하였다. 이에 따라 표 2에 남한강 본류 및 주요 지천들에 대한 경계조건을 나타내었다.
  • 035의 조도계수를 사용하였다. 범람구간에 대해서는 토지이용특성을 고려하여 「홍수위험지도 제작에 관한 지침 (Ministry of Land, Guideline of making flood risk map, 2008)」의 합성등가 조도계수를 적용하였다.
  • 이는 범람원인, 흐름의 유형에 따라 연구 대상지역의 지형조건 및 수계형태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부등류 해석을 하기 위해 HEC-RAS모형을 사용하였고, 이는 미육군공병단(USACE)에서 개발한 모형으로써 표준축차 계산법을 사용하였다. 모형에 사용된 홍수 시나리오는 「한강유역종합치수계획(Ministry of Land, The plan of integrated flood management in Han River basin, 2009)」을 기본으로 하여 각 하천별로 하천정비기본계획서 상의 계획홍수량을 기준으로 빈도별 산정을 하였다.
  • 남한강 구간의 시가지 지역인 양평, 여주, 충주지역에 대하여 홍수가상범람도를 구축하기 위해 각 지구별로 저지대 분석 및 흐름 특성 등을 고려하여 양평 지구 3곳, 여주 지구 1곳, 충주 지구 5곳에 대해 파제지점을 선정하였다. 상류단 경계조건은 1차원 부등류 해석시 선정된 홍수 시나리오의 유량곡선을 사용하였고, 하류단 경계조건은 하천정비기본계획에 준용하여 홍수 시나리오에 대한 수위곡선을 사용하였다. 2차원 홍수범람해석 결과로 남한강 구간에 대한 100년 빈도에서 침수심 0.
  • 첫째, 1차원 수리모형인 HEC-RAS를 이용하여 부등류 해석을 수행하였다. 상류단 경계조건인 팔당댐부터 하류단 경계조건인 충주댐까지의 남한강 구간에 대하여 조도계수는 각 하천별 하천정비기본계획 상의 조도계수를 기준으로 하여 범람구간에 대해서는 토지이용특성을 고려하여 홍수위험지도 제작에 관한 지침 (Ministry of Land, 2008)의 합성등가 조도계수를 사용하였다. 남한강 구간의 4대강 사업 이후 변경된 하도에 대하여 좌안의 경우 100년 빈도 최고 홍수위는 E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루사 (2002)’,‘매미(2003)’,‘메기(2004)’등의 태풍이 동반한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에 대응하여, 서울시가 추진하는 것은? 이처럼 호우에 의한 자연재해로 인해 태풍‘루사 (2002)’,‘매미(2003)’,‘메기(2004)’등태풍이 동반한 집중호우로 인해 많은 재산 및 인명피해를 발생시켰다(Hwang, 2015). 이에 따라 서울시는 침수취약지역 34개소에 대한 수해 예방 사업을 중점 추진하였으며, 지난 3년간 (2013-2015년)간 총 12개소에 대하여 침수 해소 사업을 완료하였으며, 2016년 5개 지역의 사업을 마무리하고 나머지 17개지역을 2019년까지 완료할 예정이다(Park, 2015). 이와 같이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의 발생 빈도 및 규모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으나 홍수 및 침수 등의 재해로부터 사전예방 및 신속한 대응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홍수위험지도 및 재해(정보)지도는 반드시 필요하고, 이러한 위험지도 제작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홍수 범람해석이다(Lee, 2015).
남한강은 어떤 곳인가?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남한강은 우리나라의 제1의 하천으로써 강원도 삼척시 대덕산 남쪽의 금대봉 검룡소에서 발원하여 남서류하다 정선부근에서 오대천 및 송천이 합류하며, 하류로 내려오면서 제천천, 달천, 섬강, 청미천, 양화천, 복하천, 흑천, 경안천 등 크고 작은 지류들과 합류하여 유역을 이루고 있다. 그림 1은 과거 침수흔적도를 나타내었고, 그림 2는 하천정비기본계획의 4대강 살리기 사업 이전과 이후의 하도 단면에 대해 계획홍수위를 나타내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극한 기상현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8정도 증가하였다(IPCC, 2008). 또한 지구온난화에 따라 호우, 태풍, 폭염 등의 극한 기상현상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미래 기후 전망 모델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Houghton, 1995). 세계협력기구(WMO)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2000-2010년간 연평균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 W.H., G.Y. Han, H.S. Kim and J.S. Kim. 2015. A study on inundation analysis considering inland and river floo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 (1):74-89 (조완희, 한건연, 김현식, 김진수. 2015. 내수 및 외수영향을 고려한 침수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8 (1):74-89). 

  2. Choi, C.K., Y.S. Choi and K.T. Kim. 2013.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using LiDAR and LISFLOOD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4):1-15 (최천규, 최윤석, 김경탁. 2013. LiDAR 고도자료와 LISFLOOD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4):1-15). 

  3. Hougton, J.T., L.G.M. Filho, B.A. Callander, A. Kattenberg and K. Makell. 1995. Climate Change 1995 :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Hwang, D.Y. 2015. Prediction of inundation area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Proceeding of KSCE 2015 Conference 10:101-102. 

  5.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 Climate change 2007 :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II and III to the 4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Geneva, Switzerland, 104pp. 

  6.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4. Climate change 2007 :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II and III to the 5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Geneva, Switzerland, 151pp. 

  7. Lee, G.S., D.G. Go and W.G. Kim. 2004. Efficient construction method of topographic data for flood mapping using digital map.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7(1):52-61 (이근상, 고덕구, 김우구. 2004.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홍수지도 제작용 지형자료의 효과적인 구축방법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1):52-61). 

  8. Lee, J.S., C.D. Sin and C.G. Moon. 2015. A study on the flood inundation analysis by watershed size in Korean streams. Proceeding of KSCE 2015 Conference 10:177-178. 

  9.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05 Chronology of disaster(1996- 2006) (국민안전처. 2006. 재해연보(1996-2006)). 

  10. Min. G.S. and H.S. Lee. 2010. Analysis of flooded areas for cadastral informationbased rainfall frequenc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4):101-110 (민관식, 이형석. 2010. 지적정보 기반의 강우 빈도별 침수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101-110). 

  11.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1. Comprehensive plan for storm and flood damage reduction (국민안전처. 2011. 풍수해저감종합계획). 

  12.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5. Guidelines on standards of disaster map (국민안전처. 2015. 재해지도 작성 기준등에 관한 지침). 

  13.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8. Guideline of making flood risk map (국토교통부. 2008. 홍수위험지도 제작에 관한 지침). 

  14.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Maritime Affairs). 2012. Report ofmaking flood risk map on Han riverwatershed. (국토교통부. 2012. 한강권역홍수위험지도 제작(3차)). 

  15. Newspaper of Environment. 2016. Prevention of urban flood by work without anyplans (환경일보. 2016. http://hkbs.co.kr/). 

  1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 (서울특별시청. 2015. http://seoul.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