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모유영양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rhamnosus IDCC 3201의 항 알레르기 효과
Anti-allergic effect of Lactobacillus rhamnosus IDCC 3201 isolated from breast milk-fed Korean infant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2 no.1, 2016년, pp.18 - 24  

이승훈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  강재훈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  강대중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아토피 완화능을 가진 유산균을 선별하기 위해 한국인 유아 분변으로부터 23종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후보 균주들을 배양하여 열처리 된 세포와 상등액 농축물을 각각 얻었다. 우수 균주 선별은 마우스 비장세포를 이용하여 IL-4의 억제 및 IFN-${\gamma}$의 증가 정도를 확인하는 실험을 통해 진행되었다. 선별 실험 결과로 Lactobacillus rhamnosus IDCC 3201 (RH3201)을 OVA로 면역 반응을 유발시킨 BALB/c 마우스에 투여할 유산균으로 선정하였다. RH3201의 균체와 대사물을 경구 투여한 군에서는 유발군에 비해 혈중 IgE의 과다 생성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한 알레르기 억제능은 type-1 T helper (Th1) 세포와 type-2 T helper (Th2) 세포의 싸이토카인 간의 균형을 향상시킴으로써 유도되었다. 따라서 RH3201의 균체와 배양물은 면역 조절을 통해 아토피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23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breast milk-fed infant in order to select strains which show superior anti-allergic effect. The candidates were cultivated and then we obtained dried powders of tyndallized cells and supernatant concentrate separately. Screening was carr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actobacillus rhamnosus GG 의 경우 알레르기 증상이 있는 유아들에게 투여하여 장내염증과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증상이 완화된 바 있다 (Majamaa and Isolauri, 1997). 본 연구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증상 예방 및 완화능을 갖는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한국인의 유아 분변에서 분리된 유산균에서 in vitro 실험을 통해 Th1/Th2 싸이토카 인의 균형을 동시에 유지시킬 수 있는 유산균을 선별하고 동물실험을 통해 그 면역 조절 기능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아토피 완화능을 가진 유산균을 선별하기 위해 한국인 유아 분변으로부터 23종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후보 균주들을 배양하여 열처리 된 세포와 상등액 농축물을 각각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내 세균 총의 변화는 무엇에 의해 인지되고 어떤 반응을 일으키는 가? , 2002). 장내 균 총의 변화는 수지상 세포나 장 상피 세포에 존재하는 toll-like receptor 등에 의해 인지되고 면역 반응을 일으키게 되므로, 유익균의 섭취를 통한 장내 균 총의 변화는 아토피에서 나타나는 면역 반응 조절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Kelly et al., 2005).
유익균으로 널리 알려진 유산균은 어떤 작용을 하는 가? 유익균으로 널리 알려진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유해균의 생육 저해 및 부착 억제능으로 장내 세균 총을 조절하여 정장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uviere et al., 1992; Styriak et al.
장내 세균 총에는 어떤 균들이 존재하는 가? 인간의 장내에는 약 100조 이상의 장내세균이 서식하고 있다. 장내 세균 총(intestinal microflora)에는 소위 유익균이라 하는 숙주에 이로운 역할을 하는 균이 있는 반면 각종 부작용을 일으키는 유해균도 존재하는데, 이들 균주의 균형을 유지 하는 것이 건강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다(Gail, 2007). 최근 아토피 유발 환자의 증가로 인해 큰 사회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원인으로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위생가설(hygiene hypothesis)에 따르면 비위생적 환경에 노출될수록 다양한 면역 반응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아토피를 예방할 수 있다(Yazdanbakhs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orish, L. 1998. Updates on cell and cytokine. J. Allergy Clin. Immun. 101, 293-297. 

  2. Chauviere, G., Coconnier, M.H., Kerneis, S., Arlette, D.M., Joly, B., and Alain, L.S. 1992. Competitive exclusion of diarrheagenic Escherichia coli (ETEC) from human enterocyte-like Caco-2 cells by heat-killed Lactobacillus. FEMS Microbiol. Lett. 91, 213-217. 

  3. Claes, I., Segers, M., Verhoeven, T., Dusselier, M., Sels, B., Keersmaecker, S., Vanderleyden, J., and Lebeer, S. 2012. Lipoteichoic acid is an important microbe-associated molecular pattern of Lactobacillus rhamnosus GG. Microb. Cell Fact. 11, 161. 

  4. Cross, M.L., Stevenson, L.M., and Gill, H.S. 2001. Anti-allergy properties of fermented foods : an important immunoregulatory mechanism of lactic acid bacteria. Int. Immunopharmacol. 1, 891-901. 

  5. Fujiwara, D., Inoue, S., Wakabayashi, H., and Fujii, T. 2004. The anti-allergic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are strain dependent and mediated by effects on both Th1/Th2 cytokine expression and balance. Int. Arch. Allergy Immunol. 135, 205-215. 

  6. Gail, C.M. 2007. Use of probiotics: Benefits of a balanced microbiome in the intestinal tract. National Parent Club Canine Health Conference pp. 19-21. 

  7. Herich, R. and Levkut, M. 2002. Lactic acid bacteria, probiotics and immune system. Vet. Med. Czech. 47, 169-180. 

  8. Ishida, Y., Nakamura, F., Kanzato, H., Sawada, D., Hirata, H., Nishimura, A., Kajimoto, O., and Fujiwara, S. 2005. Clinical effect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ain L-92 on perennial allergic rhinitis :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J. Dairy Sci. 88, 527-533. 

  9. Kato, I., Tanaka, K., and Yokokura, T. 1999. Lactic acid bacterium potently induces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12 and interferon- $\gamma$ by mouse splenocytes. Int. J. Immunopharmacol. 21, 121-131. 

  10. Kelly, D., Conway, S., Aminov, R. 2005. Commensal gut bacteria: mechanisms of immune modulation. Trends Immunol. 26, 326-333. 

  11. Majamaa, H. and Isolauri, E. 1997. Probiotics : A novel approach in the management of food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99, 179-185. 

  12. Retnaninggtyas, L.P., Sudarmo, S.M., Harsono, A., and Damanik, S.M. 2008. Effect of probiotic on the fecal sIgA level in preterm infants. Paediatr. Indones 48, 246-252. 

  13. Schwandner, R., Dziarski, R., Wesche, H., Rothe, M., and Kirsehning, C.J. 1999. Peptidoglycan and lipoteichoic acid-induced cell activation is mediated by toll-like receptor 2. J. Biol. Chem. 274, 1746-1749. 

  14. Styriak, I., Nemcova, R., Chang, Y.H., and Ljungh, A. 2003. Binding of extracellular matrix molecules by probiotic bacteria. Lett. Appl. Microbiol. 37, 329-333. 

  15. Vercelli, D. 1995. Immunoglobulin E regulation in humans, 1989-1994. Allergy, 50, 5-8. 

  16. Xu, M., Zhao, M., Yang, R., Zhang, Z., Li, Y., and Wang, J. 2013. Effect of dietary nucleotides on immune function in Balb/C mice. Int. Immunopharmacol. 17, 50-56. 

  17. Yazdanbakhsh, M., Kremsner, P.G., and van Ree, R. 2002. Allergy, parasites, and the hygiene hypothesis. Science 296, 490-494. 

  18. Yu, J.H., Jang, S.O., Kim, B.J., Song, Y.H., Kwon, J.W., Kang, M.J., Choi, W.A., Jung, H.D., and Hong, S.J. 2010. The effects of Lactobacillus rhamnosus on the prevention of asthma in a murine model. Allergy Asthma Immunol. Res. 2, 199-2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