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딸기세균모무늬병 발생분포 및 딸기세균모무늬병균 특성조사
Distribution of Bacterial Angular Leaf Spot of Strawberry and Characterization of Xanthomonas fragariae Strains from Korea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2 no.1, 2016년, pp.9 - 17  

윤명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명인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이재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김유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이용환 (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 재해대응과) ,  김대영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이영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2년 11월 국가관리세균병인 딸기세균모무늬병 발생 분포를 조사하였다. 충청남도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1,482농가포장을 조사한 결과, 경남 진주시 수곡면, 하동군 옥종면 88농가포장과 전북 남원 1농가포장에서 병이 발생되었다. 남원에서 발생된 포장은 병 진단 후 폐원되었다. 2012년 2월에서 2015년 1월까지 경남 진주시 수곡면과 하동군 옥종면의 딸기세균모무늬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2012년 12월 조사에서 수곡면은 45% 발생 후 감소하여 2015년 1월까지 약 5% 발생되었고, 옥종면은 2013년 11월 38% 발생후 감소하여 2015년 1월 약 5% 발생하였다. 분리된 세균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생리생확학적 특성은 X. fragariae 대표 균주와 일치하였다. 딸기세균모무늬병균의 dnaK (940 bp), fyuA (698 bp), gyrB (865 bp), rpoD (873 bp) 유전자들을 대상으로 3374 bp 염기의 MLSA 분석 결과를 딸기세균모무늬병 대표 균주와 비교한 결과 모든 유전자는 100% 일치하였다. X. fragariae BC3191과 BC3195에 대한 딸기 품종의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모든 품종은 딸기세균모무늬병에 감수성이었다. 모든 품종들은 접종 2주 후 접종 부위가 괴저되고 확장되어 저항성 등급 4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ionwide survey for angular leaf spot (ALS) of strawberry caused by Xanthomonas fragariae, a quarantine disease in Korea, was performed in November 2012. In the survey, ALS was observed in eighty eight farmers' fields of Sukok, Jinju and Okjong, Hadong in Gyeongnam Province, and one field in Namw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딸기 토경재배의 경우, 병원세균은 토양 속 병든 조직에서 생존하여 다음 작기에 전염원으로 작용하여 병을 전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딸기세균모무늬병이 발생된 포장에서 병든 식물체를 수거하여 태우는 방법으로 병 전염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에 발생된 딸기세균모무늬병 원인세균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병원세균들의 생리적, 유전학적 특성이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 국내 식물검역병인 딸기세균모무늬병 공적방제 지역을 설정하기 위하여 국내 병 발생 지역을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에 발생하는 딸기세균모무늬병의 원인균인 X.
  • 본 연구에서는 딸기세균모무늬병 공적 방제를 위한 병 발생 지역을 확인하고, 병 발생 지역에서 경시적 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 분리된 딸기세균모무늬병균의 생리생화학적, 유전학적 특성과 국내 재배되고 있는 딸기품종들의 저항성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딸기세균모무늬병의 피해는? 딸기세균모무늬병은 딸기생산에 중요한 병이다. 본 병에 의한 경제적 손실은 정확히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미국 플로리다에서 연간 8% (Roberts 등, 1997), 위스콘신에서75% (Epstein, 1996), 유럽에서 10%–20% (Elphinston, 2005)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꽃받침 감염에 의하여 상품성을 저하시킨다(Maas 등, 1995). 그리고 엽병과 지제부에 병이 발생하면 전신 감염되어 묘가 죽게된다(Hildebrand 등, 1967). X.
한국에 보고된 딸기세균모무늬병 발생은 언제 어디에서 일어났나? fragariae에 의한 딸기세균잎마름병(bacterial leaf blight of strawberry) (Janse 등,2001)이 보고되었다. 한국에서는 2010년 7월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과 하동군 옥동면에서 X. fragariae에 의한 딸기세균모무늬병 발생이 보고되었다(Kwon 등, 2010).
딸기세균모무늬병을 예방하는 방법은? 스트렙토마이신과 옥시테트라사이클린 같은 항생제는 병원세균 자체에 대해 효과적(Alippi 등,1989)이나 포장에서 사용할 때 약제 저항성균이 출현될 수있고(Stall과 Thayer, 1962), 현재까지 딸기세균모무늬병균 방제용 등록된 항생제가 없다(Roberts 등, 1997). 딸기세균모무늬병은 건전한 모종 사용, 재배지 습도와 양분관리, 보호살균제 살포 등의 방법으로 예방하고 있다. 병이 발생되면 동제 화합물과 만코제브 혼합물 살포로 병을 억제시킬 수 있으나 이들 화합물의 잦은 살포는 식물에 독성을 끼칠 수 있다(Conover와 Gerhold, 1981; Marco와 Stall, 1983; Roberts 등,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it Tayeb, L., Ageron, E., Grimont, F. and Grimont, P. A. 2005. Molecular phylogeny of the genus Pseudomonas based on rpoB sequences and applica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isolates. Res. Microbiol. 156: 763-773. 

  2. Alippi, A. M., Ronco, B. L. and Carranza, M. R. 1989. Angular leaf spot of strawberry, a new disease in Argentina: comparative control with antibiotics and fungicides. Adv. Hortic. Sci. 3: 3-6. 

  3. Bestfleisch, M., Richter, K., Wensing A., Wunsche, J. N., Hanke, M. -V., Hofer, M., Schulte, E. and Flachowsky, H. 2015. Resistance and systemic dispersal of Xanthomonas fragariae in strawberry germplasm (Fragaria L.). Plant Pathol. 64: 71-80. 

  4. Conover, R. A. and Gerhold, N. R. 1981. Mixtures of copper and maneb or mancozeb for control of bacterial spot of tomato and their compatibility for control of fungus diseases. Proc. Fla. State Hortic. Soc. 94: 154-156. 

  5. Desmet, E. M., Maes, M., Van Vaerenbergh, J., Verbraeken, L. and Baets W. 2009. Sensitivity screening of commonly grown strawberry cultivars towards angular leaf spot caused by Xanthomonas fragariae. Acta Hortic. 842: 275-278. 

  6. Dye, D. W. 1968.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Erwinia. I. The "amylovora" group. N. Z. J. Sci. 11: 590-607. 

  7. Elphinstone, J. G. 2005. Angular leaf spot and bacterial leaf blight: two new notifiable strawberry plant diseases. In: HDC Factsheet 03/05. Horticultural Development Council, East Mailing, Kent, UK. 

  8. Epstein, A. H. 1966. Angular leaf spot of strawberry. Plant Dis. Rep. 50: 167. 

  9. European and Mediterranean Plant Protection Organization (EPPO). (2010 onwards). EPPO Alert List. URL http://www.eppo.int/QUARANTINE/Alert_List/alert_list.htm [21 January 2012]. 

  10. Hall, T. A. 1999. BioEdit: a user-friendly biological sequence alignment editor and analysis program for Windows 95/98/NT. Nucleic Acids Symp. Ser. 41: 95-98. 

  11. Handelsman, J., Houser, B. and Kriegel, H. 1996. Biology Brought to Life: A Guide to Teaching Students to Think Like Scientists. McGraw-Hill, New York, NY, USA. 

  12. Hildebrand, D. C., Schroth, M. N. and Wilhelm, S. 1967. Systemic invasion of strawberry by Xanthomonas fragariae causing vascular collapse. Phytopathology 57: 1260-1261. 

  13. Howard, C. M. and Albregts, E. E. 1973. Strawberry. APS Fungic. Nematicide Tests 29: 47. 

  14. Janse, J. D., Rossi, M. P., Gorkink, R. F. J., Derks, J. H. J., Swings, J., Janssens, D. and Scortichini, M. 2001. Bacterial leaf blight of strawberry (Fragaria (x) ananassa) caused by a pathovar of Xanthomonas arboricola, not similar to Xanthomonas fragariae Kennedy & King. Description of the causal organism as Xanthomonas arboricola pv. fragariae (pv. nov., comb. nov.). Plant Pathol. 50: 653-665. 

  15. Jones, J. B., Woltz, S. S., Kelly, R. O. and Harris, G. 1991. The role of ionic copper, total copper, and select bactericides on control of bacterial spot of tomato. Proc. Fla. State Hortic. Soc. 104: 257-259. 

  16. Kastelein, P., de Vries, I., Krijger, M. and van der Wolf, J. 2009. Effect van loofdoodmiddel op de overleving van Xanthomonas fragariae in ondergewerkte gewasresten in aardbei. In: Rapport 258 Plant Research International. Biointeracties and Plant Health, Wageningen, the Netherlands. 

  17. Kennedy, B. W. and King, T. H. 1962a. Angular leaf spot of strawberry caused by Xanthomonas fragariae sp. nov. Phytopathology 52: 873-875. 

  18. Kennedy, B. W. and King, T. H. 1962b. Studies on epidemiology of bacterial angular leaf spot on strawberry. Plant Dis. Rep. 46: 360-363. 

  19. Kwon, J. H., Yoon, H. S., Kim, J. S., Shim, C. K. and Nam, M. H. 2010. Angular leaf spot of strawberry caused by Xanthomonas fragariae. Res. Plant Dis. 16: 97-100. (In Korean) 

  20. Lewers, K. S., Mass, J. L., Hokanson, S. C., Gouin, C. and Hartung, J. S. 2003. Inheritance of resistance in strawberry to bacterial angular leafspot disease caused by Xanthomonas fragariae. J. Am. Soc. Hortic. Sci. 128: 209-212. 

  21. Maas, J. L., Gouin-Behe, C., Hartung, J. S. and Hokanson, S. C. 2000. Sources of resistance for two diffententially pathogenic strains of Xanthomonas fragariae in Fragria genotypes. HortScience 35: 128-131. 

  22. Maas, J. L., Pooler, M. R. and Galletta, G. J. 1995. Bacterial angular leaf spot disease of strawberry: present status and prospects for control. Adv. Strawberry Res. 14: 18-24. 

  23. Marco, G. M. and Stall, R. E. 1983. Control of bacterial spot of pepper initiated by strains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that differ in sensitivity to copper. Plant Dis. 67: 779-781. 

  24.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4.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s Yearbook.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25. National Plant Quarantine Service. 2008. History of Plant Quarantine in Korea. Dong Yang PNC, Anyang, Korea. 

  26. Opgenorth, D. C., Smart, C. D., Louws, F. J., de Bruijn, F. J. and Kirkpatrick, B. C. 1996. Identification of Xanthomonas fragariae field isolates by rep-PCR genomic fingerprinting. Plant Dis. 80: 868-873. 

  27. Perez-Jimenez, R. M., De Cal, A., Melgarejo, P., Cubero, J., Soria, C., Zea-Bonilla, T. and Larena, I. 2012. Resistance of several strawberry cultivars against three different pathogens. Span. J. Agric. Res. 10: 502-512. 

  28. Pooler, M. R., Ritchie, R. D. F. and Hartung, J. S. 1996. Genetic relationships among strains of Xanthomonas fragariae based on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PCR, repetitive extragenic palindromic PCR, and enterobacterial repetitive intergenic consensus PCR data and generation of multiplexed PCR primers useful for the identification of this phytopathogen. Appl. Environ. Microbiol. 62: 3121-3127. 

  29. Randhawa, P. S. and Schaad, N. W. 1984. Selective isolation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from crucifer seeds. Phytopathology 74: 268-272. 

  30. Roberts, P. D., Berger, R. D., Jones, J. B., Chandler, C. K. and Stall, R. E. 1997. Disease progress, yield loss and control of Xanthomonas fragariae on strawberry plants. Plant Dis. 81: 917-921. 

  31. Roberts, P. D., Hodge, N. C., Bouzar, H., Jones, J. B., Stall, R. E., Berger, R. D. and Chase, A. R. 1998. Relatedness of strains of Xanthomonas fragariae by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DNA-DNA reassociation, and fatty acid analyses. Appl. Environ. Microbiol. 64: 3961-3965. 

  32. Roberts, P. D., Jones, J. B., Chandler, C. K., Stall, R. E. and Berger, R. D. 1996. Survival of Xanthomonas fragariae on strawberry in summer nurseries in Florida detected by specific primers and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lant Dis. 80: 1283-1288. 

  33. Schaad, N. W., Jones, J. B. and Chun, W. 2001. Laboratory Guide for Identification of Plant Pathogenic Bacteria. 3rd ed.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St. Paul, MN, USA. 189 pp. 

  34. Schaad, N. W. and White, W. C. 1974. A selective medium for soil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Xanthomonas campestris. Phytopathology 64: 876-880. 

  35. Smith, I. M., McNamara, D. G., Scott, P. R. and Harris, K. M. 1992. Xanthomonas fragariae. In: Quarantine Pests for Europe. Data Sheets on Quarantine Pests for the European Communities and for the European and Mediterranean Plant Protection Organization, eds. by I. M. Smith, D. G. McNamara, P. R. Scott and K. M. Harris, pp. 829-833.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36. Stall, R. E. and Thayer, P. L. 1962. Streptomycin resistance of the bacterial spot pathogen and control with streptomycin. Plant Dis. Rep. 46: 389-392. 

  37. Stoger, A., Barionovi, D., Calzolari, A., Gozzi, R., Ruppitsch, W. and Scortichini, M. 2008. Genetic variability of Xanthomonas fragariae strains obtained from field outbreaks and culture collections as revealed by repetitive-sequence PCR and AFLP. J. Plant Pathol. 90: 469-473. 

  38. Suslow, T. V., Schroth, M. N. and Isaka, M. 1982. Application of a rapid method for Gram differentiation of plant pathogenic and saprophytic bacteria without staining. Phytopathology 72: 917-918. 

  39.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and Kumar, S.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30: 2725-2729. 

  40. Van den Mooter, M. and Swings, J. 1990. Numerical analysis of 295 phenotypic features of 266 Xanthomonas strains and related strains and an improved taxonomy of the genus. Int. J Syst. Bacteriol. 40: 348-369. 

  41. Young, J. M. and Park, D. C. 2007. Relationships of plant pathogenic enterobacteria based on partial atpD, carA, and recA as individual and concatenated nucleotide and peptide sequences. Syst. Appl. Micorbiol. 30: 343-3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