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검은별무늬병균의 배양적 및 병원학 특성을 구명하고, 81개 시판 오이 품종의 저항성 여부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균은 2015년 3월 말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시설 오이 재배농가에서 채취한 병든 과실로부터 분리하였고 PDA상에서 배양하면서 형태적인 특성에 근거하여 검은별무늬병균(C. cucumerinum PT1)으로 동정되었다. 상처 유무와 과실 크기가 검은별무늬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과일 크기를 유과(10 cm 미만), 중과(10-20 cm), 대과(20 cm 초과)로 구분하고 과실 크기별로 상처와 무상처 조건으로 오이 과실표면에 $1{\times}10^5$ 포자/ml 농도의 병원균을 접종하였다. 작은 과실에서는 표면 상처 여부에 관계없이 심한 수침상의 병반과 빠른 병원균 생장을 보이면서 피해정도가 매우 컸던 반면, 중과와 대과에서는 상처 부위와 무상처 표면 모두에서 경미한 수침상의 병반이 나타났지만 식물체 안쪽 조직으로 병이 진전된 것은 상처 낸 과실에서 뿐이었다. 오이 유묘와 유과에 검은별무늬병균의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여 81개 시판 오이 품종의 병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미니오이와 피클오이 품종군은 대부분 저항성이었다. 특히 '처음처럼' 품종은 아무런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나머지 품종들은 저항성-중도저항성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른 품종군의 오이 품종은 대부분 감수성 품종으로 판명되었다. C. cucumerinum PT1에 대한 오이의 병 저항성은 품종 간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으며 일부 품종에 있어서 유묘 검정과 유과 검정 간에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검은별무늬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서 오이 유묘 검정과 유과 검정을 병행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선발된 저항성 품종을 농가에 적용한다면 오이 검은별무늬병 방제를 위한 실질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cultural and pathogenic characteristics of Cladosporium cucumerinum PT1 and resistance of 81 commercial cucumbers (Cucumis sativus). Cucumber leaves and fruits appeared as scab were collected from a plastic film house located in Pyeongtaek, Gyeonggi-provi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오이 시설 재배지에서 검은별무늬병은 잎, 신초, 과실, 줄기 등에 발생하고, 오이에서는 유묘의 병 저항성 정도와 과실의 병 저항성 정도 간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기 때문에 정확한 저항성 품종 선발을 위해서는 과실검정을 병행하여 이용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검은별무늬병을 일으키는 C. cucumerinum의배양적 특징, 병원성, 과실에 상처 유무에 따른 감염 정도를 구명하고, 오이 유묘와 과실을 이용하여 검은별무늬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검은별 무늬병의 피해를 극복하기 위해서 해야할 연구는 무엇인가? 오이 검은별무늬병에 걸리게 되면 신초 부위의 생장이 정지되고, 과실에 검정 병반이 생기며, 병반 쪽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상품성이 떨어져 심각한 피해를 준다. 그러므로 검은별 무늬병의 피해를 극복하기 위해서 병의 정확한 진단, 병원균의 생리 · 생태적 특성, 감염 경로, 발병 조건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검은별무늬병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저항성 품종 선발이 필요한데, 병 저항성 검정은 주로 유묘와 자엽을 이용해 수행하고 있다(Hijwegen, 1963; Lebeda, 1985; Vakalounakis와 Williams, 1989).
오이 검은별무늬병에 걸리면 어떻게 되는가? Cladosporium cucumerinum에 의한 검은별무늬병은 박과 작물, 가지, 작두콩 등 넓은 기주 범위를 가지고 있다(Cho 등, 1997; Kwon 등, 1999, 2000). 오이 검은별무늬병에 걸리게 되면 신초 부위의 생장이 정지되고, 과실에 검정 병반이 생기며, 병반 쪽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상품성이 떨어져 심각한 피해를 준다. 그러므로 검은별 무늬병의 피해를 극복하기 위해서 병의 정확한 진단, 병원균의 생리 · 생태적 특성, 감염 경로, 발병 조건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검은별무늬병에 감염된 오이 과실로부터 순수 분리한 병원균의 형태적 특징은 무엇인가? 검은별무늬병에 감염된 오이 과실로부터 순수 분리한 병원균을 PDA상에 14일간 배양하여 형태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균총은 회녹색-회흑색이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색이 옅어져 백색으로 보였다. 분생자경의 두께는 2.8-4.0 μm이며, ramo-conidia는 주로 격막이 없거나 1개였다. 크기는 11.0-17.8×3.8-4.9 μm로 나타났으며 양쪽이 잘린 독특한 모양을 하였다. 분생포자의 크기는 5.5-9.0×3.2-4.1 μm로 레몬모양-타원형이었다. 이러한 형태적인 특징은 기존에 기술된 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do, K., Carr, K. M., Colle, M., Mansfeld, B. N. and Grumet, R. 2015. Exocarp properties and transcriptomic analysis of cucumber (Cucumis sativus) fruit expressing age-related resistance to Phytophthora capsici. PLoS One 10: e0142133. 

  2. Ando, K., Carr, K. M. and Grumet, R. 2012. Transcriptome analyses of early cucumber fruit growth identifies distinct gene modules associated with phases of development. BMC Genomics 13: 518. 

  3. Cho, W. D., Kim, W. G., Jee, H. J., Choi, H. S., Lee, S.-U. and Choi, Y. C. 1997. Compendium of vegetable diseases with color plate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447 pp. (In Korean) 

  4. Choi, K. J. 2003. Development of cucumber cultivars resistant to major diseases as a replacement of the imported seeds for the domestic and export market. Research Information of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Naju, Korea. 204 pp. (In Korean) 

  5. Ellis, M. B. and Holliday, P. 1972. Cladosporium cucumerinum. CMI Descriptions of Pathogenic Fungi and Bacteria 348: 1-2. 

  6. Gevens, A. J., Ando, K., Lamour, K. H., Grumet, R. and Hausbeck, M. K. 2006. A detached cucumber fruit method to screen for resistance to Phytophthora capsici and effect of fruit age on susceptibility to infection. Plant Dis. 90: 1276-1282. 

  7. Hammerschmidt, R., Lamport, D. T. A. and Muldoon, E. P. 1984. Cell wall hydroxyproline enhancement and lignin deposition as an early event in the resistance of cucumber to Cladosporium cucumerinum. Physiol. Plant Pathol. 24: 43-47. 

  8. Hijwegen, T. 1963. Lignification, a possible mechanism of active resistance against pathogens. Neth. J. Plant Pathol. 69: 314-317. 

  9. Kim, K. C. 1999. Diagnosis and control of cucurbit crop diseas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Gwangju, Korea. 702 pp. (In Korean) 

  10. Kwon, J. H., Kang, S. W. and Park, C. S. 1999. Occurrence of eggplant scab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in Korea. Plant Pathol. J. 15: 345-347. 

  11. Kwon, J. H., Kang, S. W. and Park, C. S. 2000. Occurrence of sword bean scab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in Korea. Mycobiology 28: 54-56. 

  12. Lebeda, A. 1985. Resistance of Cucumis sativus cultivars to Cladosporium cucumerinum. Sci. Hortic. 26: 9-15. 

  13. Lee, I. K., Chae, Y. W., Kim, W., Son, J. H. and Choi, D. W. 2013. Consuming pattern of fruit vegetables in consumer household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97 pp. (In Korean) 

  14. Lee, K. H., Ban, Y. H., Yoon, B. H., Seo, B. M., Lee, M. W., Kim, S. K., Chang, W. B. and Kim, Y. G. 2015. Occurrence of diseases in cucumber in Chungbuk province. Res. Plant Dis. 21: 155. (Abstract) 

  15. Lee, K. Y., Youn, K. H., Kang, H. J., Ahn, K. S., Min, K. B. and Cha, B. J. 1997. Cucumber scab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in Korea. Korean J. Plant Pathol. 13: 288-294. (In Korean) 

  16. Lim, Y. S., Lee, M. J., Seo, Y. J. and Nam, H. H. 2010. High temperature adaptable improvement of cucumber in greenhouse. Agricultural Research Report of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Daegu, Korea. 117-120 pp. (In Korean) 

  17. Park, S. H., Hong, S. J., Shim, C. K., Kim, M. J., Park, J. H., Han, E. J., Gang, G. H., Park, J. W., Kim, S. C. and Kim, Y. K. 2015. Selection of resistant cucumber cultivars against Cladosporium cucumerinum using cucumber seedling bio-assay. Res. Plant Dis. 21: 379. (Abstract) 

  18. Son, J. H. 2007.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techniques of fostering domestic cultivars on cucumber. Korea Agric. Trade Inform. Newslett. 6: 62-69. (In Korean) 

  19. Statistics Korea. 2016. Agricultural area survey. Statistics Korea, Daejeon, Korea. (In Korean) 

  20. Vakalounakis, D. J. and Williams, P. H. 1989. A cotyledon screen for resistance to scab (Cladosporium cucumerinum) in cucumber (Cucumis sativus) seedlings. Ann. Appl. Biol. 115: 443-4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