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녀 대학생의 가족가치관 유형에 따른 자녀출산에 대한 인식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Childbirth according to the Types of Family Value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0 no.1, 2016년, pp.109 - 140  

이연숙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김하늬 (고려대학교 가정학과) ,  이정우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different family values and to examine how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childbirth differ according to the types of family values.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601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the cities of Seoul, Incheon, and th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치란 무엇인가? 한편, 가치란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며 반응해야 하는지를 이끄는 신념인데(Lewis, 1991)이는 사람들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요소이며 각 다른 문화 및 가족은 가치에 있어 서로 다른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Chia외 6인, 1994). 이러한 개념에서 볼 때 가족가치관이란 개인이 살아가며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습득된 가족과 관련된 일련의 행동양식으로 가족에 대해 지니는 생각과 신념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90년대부터 저출산 현상이 나타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급속한 사회경제적 변화와 1960년대 초부터 도입된 정부주도의 인구증가 억제정책으로 급증하던 출산율이 6.0명에서 1970년 4.
저출산의 사회적 심각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함을 시사하는가? 저출산의 사회적 심각성은 생산가능 인구의 감소로이는 경제성장의 둔화를 의미하며 노년부양비의 증가로 소득분배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사회보장제도를 유지하는데 많은 비용이 필요한데 이는 재정수지를 약화시켜 국가경제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출산율 제고를 위한 임신 및 출산의 지원 강화, 일ㆍ가정양립 제도 확충과 더불어 고령자들의 노후 소득이 보장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제 3차 저출산ㆍ고령사회 기본계획(2015)에 따르면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사용한 저출산 대책 예산은 약 80조원으로 과거보다 영유아 가구의 양육비용의 경감, ‘일ㆍ가정양립’을 위한 제도적 틀 마련, 임신ㆍ출산의료비보장성 확대,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지원 등 출산을 지원하는 다양한 혜택이 확대ㆍ제공되었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나 이러한 정책들이 출산율을 높이는데 직접적인 효과를 주지 못했거나 그 효과가 미비하다는 비판(뉴시스, 2015; 새누리당, 2016; 연합뉴스, 2016; 조선일보, 2015)을 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6)

  1. 강유진(2007). 둘째자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자녀가치관 및 가족관계요인.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8(4), 639-653. 

  2. 고정자.강숙경(1996). 가정의 심리적 가정환경과 대학생의 가족가치관에 관한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85-96. 

  3. 권영인(2013). 출산장려정책 및 경제 상황 인식과 가족 가치관이 미혼 남녀의 미래 예상 출산 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 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75-92. 

  4. 권용은.김의철(2004). 자녀가치와 출산율. 아동교육, 13(1), 211-226. 

  5. 김건영(2009). 대학생의 결혼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경신(1998a). 가족가치관 세대별 비교연구 : 노년, 중년, 청소년 세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10), 145-160. 

  7. 김경신(1998b).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가족가치관과 세대 간 유사성.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2), 43-66. 

  8. 김보경.김한곤(2005). 대구지역 대학생들의 결혼 및 출산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여성건강 : 다학제적 접근, 6(2), 45-73. 

  9. 김승권(2001). 저출산 시대의 여성정책 방향. 여성부 저출산수준 지속화에 따른 21세기 여성정책방향 세미나 자료집. 

  10. 김시업(1999). 결혼과 가족. 서울 : 학지사. 

  11. 김일명(1988). 기성세대와 대학생의 가족생활에 대한 가치의식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은선(2014). 청소년의 가족가치관과 기대자녀수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자옥(2009). 기혼남성의 가족가치관과 자녀 출산의지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정례(2005). 우리나라 출산장려 정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진희(2010). 남녀대학생의 가족개념, 가족주의가치관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9(3), 499-510. 

  16. 김진희(2014).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자녀관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1-15. 

  17. 김태헌(2005). 가치관 변화와 저출산. 보건복지포럼, 125, 16-24. 

  18. 김태헌(2007). 저출산 대응 미래세대 가치관정립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 김태현.임선영(2004). 가족이념, 생활교류가 부모-자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85-109. 

  20. 김혜정(2010). 미혼남녀별 결혼 및 자녀출산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일부 미혼남녀 대상.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김혜영(2005). 가족의식의 세대적 특성. 가족과 문화, 17(1), 115-146. 

  22. 김혜환(2008). 저출산 시대의 가족가치관 경향 : 중등학생과 미혼남녀(20-29세) 실태조사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김홍규.주연희(2003). 가족가치관에 관한 조사연구. 인하교육연구, 9, 177-194. 

  24. 남주희(2007). 가족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결혼?동거?성역할?자녀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뉴시스(2015). 2015 국감 : 저출산 예산 10년간 81조원, 출산율은 제자리. 2015.9.14. 사회면. 

  26. 대한민국정부(2015). 제 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16-2020). 

  27. 도미향(2011). 대학생들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이 미래결혼과 출산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6(4), 163-178. 

  28. 류진아(2014).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의 가족 가치관 :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머니투데이(2015). 저출산 정책도 선진국 스웨덴 : '모든 아이는 모두의 아이. 2016.02.03. 

  30. 매일경제(2015). '저출산.고령화 5관왕 신기록' 오명 쓴 대한민국을 어찌하리오. 2015.12.10. 

  31. 박수선(2010).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가족개념과 가족건강성의 관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1), 37-55. 

  32. 박수현(2003). 대학생의 가족개념 인식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박은아(2003). 단독가구 남녀노인의 부부간 의사소통. 의사결정 참여 및 가정생활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박현주(2006).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박혜인(1990). 한국가족의 변화와 가족가치관. 가정학연구의 최신정보 II. 서울 : 교문사. 

  36. 백주희(2009). 가족가치관과 성역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변인 : 국제비교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3), 239-251. 

  37. 손승영(2004). 출산의욕 고취를 위한 성인지적 관점의 사회적 대처 방안. 보건복지부. 

  38. 신경수(2013). 대학생들의 출산의지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권 종합대학교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신수진(1998).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과 그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0. 신효영.방은령(2009).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치관과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사회적 인식. 대한가정학회지, 47-10, 123-136. 

  41. 새누리당(2016). 보도자료 : 새누리당 저출산 대책특별위원회 제7차 회의 주요내용. 2016.1.29. 

  42. 양명숙(1996). 예비 부모세대의 결혼관과 자녀관 그리고 성역할관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2), 167-181. 

  43. 양옥경(2002). 가족주의 가치관에 따른 한국인의 복지의식 연구 : 서울지역 기혼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1, 229-256. 

  44. 연합뉴스(2016). 당정, 저출산대책 총력체제, '총리가 컨트롤타워 돼야'. 2016.1.29. 

  45. 옥선화(1989). 현대 한국인의 가족주의 가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6. 옥선화.성미애.신기영(2000). 도시 및 농촌 거주자의 가족 및 친족관련 가치관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38(9), 1-17. 

  47. 옥선화.진미정(2011). 가족가치관과 생활문화의 세대 비교 : 가족의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9(4), 67-76. 

  48. 은기수(2004). 가치관과 혼인 및 출산-전국가족조사에 따른 한국가족의 현실과 정책전망. 여성부. 

  49. 은기수.이윤석(2005). 한국의 가족가치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한국인구학, 28(1), 107-132. 

  50. 이동원(1987). 가족가치관에 관한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회 논총, 52, 229-256. 

  51. 이미란(2010). 기혼 여성이 처한 환경적 요인이 자녀에 대한 가치관과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99-121. 

  52. 이삼식(2006).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26(2), 95-140. 

  53. 이삼식.최효진.오영희.서문희.박세경.도세록(2009).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보건복지가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4. 이세영(2014). 대학생의 결혼관과 출산의지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5. 이정우.이연숙.김하늬(2012). 남녀 대학생의 가족가치관과 자녀출산 계획에 관한 연구. 학술원 논문집, 51(1), 1-37. 

  56. 이지해(2010). 저출산 사회와 기혼여성의 가족가치관, 자녀가치관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 이학식.임지훈(2005). SPSS 12.0 매뉴얼. 경기 : 법문사. 

  58. 이훈희(2011). 형제자매 유무 및 관계가 결혼.자녀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9. 임선영.박주희(2014). 미혼자의 가족가치관, 부모의 자원 제공 요수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177-193. 

  60. 임정빈.지영숙.문숙재.이기영.이연숙 (1994). 가정관리학. 서울 : 신정. 

  61. 조복희.김양은(2010). 현재 자녀수를 결정하는 변인 분석 : 자녀양육 관련 변인, 자녀가치 관련 속담, 가족정책 표어를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14(2), 169-191. 

  62. 조선일보(2015). 발언대 : 저출산 대책, 의료지원 확대해야. 2015.15.15. 사설면. 

  63. 조아라(2005). 저출산 대책 마련 연구 : 여성의 사회적 역할 변화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4. 진미정.정혜은(2010).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31-51. 

  65. 최현경.이성희(2014). 대학생의 자녀관에 영향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4), 588-596. 

  66. 통계청(2015). 2015년 고령자통계. 통계청. 

  67. 하은아(2002). 가족가치관에 따른 한국인의 가족개념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8.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7). 2006년도 전국청소년 결혼, 자녀, 양성평등 가치관 조사. 

  69. 황지영(2007). 대학생들의 결혼 및 출산의식에 대한 연구. 서울기독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0. 홍성애.윤혜려(2012). 대학생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가치관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6(3), 197-208. 

  71. 홍승직(1971). 한국인의 가치관 연구. 한국사회학연구총서. 고려대 아세아문제 연구소. 

  72. 홍표자(2009). 청소년 가치관이 기대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3. Arland, T. & Linda, Y.(2011). Four decades of trends in attitudes toward family issues in the United States : The 1960s through the 1990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3(4), 1009-1037. 

  74. Beets, G.(1997). European variations in education and in timing of first birth : Primarily FFS evidence. A paper presented in the 23rd General Population Conference of the IUSSP, 11-17 October 1997, Beijjing. 

  75. Chia, R. C., Wuensch, K. L., Childers, J., Chuang, C., Cheng, B., Cesar-Romero, J. & Nava, S.(1994). A comparison of family values among chinese, mexic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9(2), 249-258. 

  76. Erikson, E. H.(1950).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 Norton. 

  77. Fernandez, R. & Fogli, A.(2005). Fertility : The role of culture and family experience. NYC Working Paper, Ec-05-14, 1-12. 

  78. Hoffman, L. W. & Hoffman, M. L.(1973). The value of children to parents. In James T. Fawcett(Ed),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Population(pp 19-76). New York : Basic Books. 

  79. Jacqueline, S.(2006). Family and gender roles : How attitudes are changing. GeNet Working Paper, 21, 1-17. 

  80. Jutta, M. J.(2010). Children and the timing of women's paid work after childbirth : A further spec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9(4), 1008-1021. 

  81. Jutta, M. J.(2011). Paid leave and the timing of women's employment before and after birt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9(4), 1008-1021. 

  82. Nauck, B.(2000). The changing value of Children : A special action theory of fertility behavior and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in cross-cultural comparison. "Low fertility, families and public policies" organised by the European Observatory on Family Matters in Sevilla, 1-12. 

  83. Lewis, H.(1991). A question of values. New York : Harper & Collins. 

  84. Trommsdorff, G., Kim, U. & Nauck, B.(2005). Factors influencing value of children and intergenerational relations in times of social change : Analyses from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Applied Psychology : An International Review, 54(3), 313-316. 

  85. William, E. E.(2011). Career interruptions following childbirth. Journal of Labor Economics, 5(2), 255-277. 

  86. UNFPA(2014). State of world population 2014. New York :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