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족생활 스트레스, 가족가치관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Life Stress and Family Values on Marital Stability among Middle-Aged Couple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2 no.4, 2018년, pp.17 - 32  

박주희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family life stress and family values on marital stability among middle-aged couples. The subjects included a total of 302 men and women aged 45-64 who had been married for more than 20 years and were living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족주의가 강한 한국의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은 현대사회의 개인주의와 함께 뒤섞여 가족의 갈등은 앞으로 더욱 다양해질 것으로 예측되고(하은하, 2002) 가족가치관은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가족가치관과 결혼안정성의 관계를 직접 살펴 본 연구들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성역할관과 결혼만족도에 초점을 둔 연구를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살펴보겠다. 초기의 연구인 Lye & Biblarz의 연구(1993)에 따르면 평등한 성역할태도를 지닌 부부일수록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지닌 부부에 비해서 부부의 결혼 관계 만족 수준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교육 및 생활수준, 종교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성별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결혼안정성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윤경자, 2010; 정연표‧이홍직, 2011; 김송미,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족생활 스트레스, 가족가치관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생활 유지 20년 이상이 된 중년기 기혼남녀 30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결혼 관계에 있는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결혼을 유지시키고자 하는 성향의 정도를 결혼안정성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년기의 구분은 학자마다 그 범위가 유동적이고 상이하여 명확한 구분을 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20년 이상 결혼생활을 한 부부들에 초점을 두고 은퇴 및 사회적 역할의 최종 시기를 65세 미만으로 판단하여 45세~64세를 중년기로 규정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결과들을 볼 때 기혼자들의 가족가치관 흐름이 그들의 결혼생활의 유지 및 안정성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가치관과 결혼안정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족생활 스트레스, 가족가치관, 결혼안정성의 관계를 탐구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년기 기혼남녀의 결혼생활을 위한 가족자원의 강화를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기 부부의 이혼예방 및 건강한 결혼에 기여하고 가족결속력 강화를 위한 가족복지정책의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9)

  1. 강양희(2016). 중년남성의 가족지지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2), 344-353. 

  2. 강인(1990), 중년기 가족스트레스와 가족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신.이선미(1998). 미혼남녀의 결혼관에 나타난 결혼 이데올로기. 한국가정과학회지, 1(1), 27-43. 

  4. 김귀애.홍창희(2012). 중노년기 여성의 우울에 성인 자녀와의 갈등과 통제 전략이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303-321. 

  5. 김길현.하규수(2012).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이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5), 256-271. 

  6. 김득성(1992).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의 관계: 사회 교환이론적 접근.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미숙.김명자(1990). 도시부부의 결혼안정성 및 그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1), 173-183. 

  8. 김명자(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남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송미(2012). 빈곤결혼이민 여성의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레질리언스 관점으로.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승권.조애조.이삼식.김유경.송인주(2000).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 김시연.서영석(2010).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결혼만족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2), 189-203, 

  12. 김태현.박주희(2005). 부부의 성역할 태도에 따른 부부관계 향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79-106. 

  13. 김태현.전길량(2002). 노인의 성에 대한 인식과 성생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33-143. 

  14. 김혜영.선보영.진미정.사공은희(2007). 비혼 1 인 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박성은(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안정성 관련변인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박지수(2007). 중년후기 성인이 지각하는 여가제약, 여가충족,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50세-64세 중년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지현(2009), 중년기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박지현.김태현(2011).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1), 229-257. 

  19. 서해정(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의 질과 결혼안정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선희라(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탄력성과 가족탄력성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신현주.전귀연(2008).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2), 195-227. 

  22. 신혜섭(2006). 중년기 위기와 가족 스트레스, 생활과학연구, 11, 84-90. 

  23. 오명자(2007). 중년기 여성의 주부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옥선화.진미정(2011). 가족가치관과 생활문화의 세대 비교: 가족의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9(4), 67-76. 

  25. 윤경자(2010). 부산광역시 초저출산의 가족학적 요인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안. 한국인구학, 33(2), 137-163. 

  26. 윤나경(2012). 원가족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존중감에 따른 결혼안정성: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비교,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은기수(2005). 미혼에서 결혼으로 이행. 보건복지포럼, 25-35. 

  28. 이삼식(2006).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26(2), 95-140. 

  29. 이소영(2010). 결혼 불안정성에 대응하는 가족건강성 요인 연구. 사회복지실천, 9, 5-32. 

  30. 이승원.김동배.이주연(2008). 중.고령자의 은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1), 107-125. 

  31. 이영희.이윤주(2011). 부모의 부부갈등과 원가족분화, 부부친밀감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2(1), 43-58. 

  32. 이정은.이영호(2000).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3), 531-548. 

  33. 이현심(2015). 황혼이혼 여성노인에 대한 사례 연구. 노인복지연구, 68, 85-106. 

  34. 임은혜(2003). 중년기 기혼남녀의 결혼안정성에 기여하는 요인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5. 임효영.김경신(2001). 중년기 기혼여성의 사회적지원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12), 189-203. 

  36. 임희섭(1994). 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치관. 서울:나남출판사. 

  37. 장온정(2007).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장은선(200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비합리적신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전춘애(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전춘애.박성연(1996). 자녀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4(5). 115-129. 

  41. 정선영(2006). 부부갈등과 갈등표출방식의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42. 정연표.이홍직(2011). 노년기 부부의 결혼불안 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GRI 연구논총, 13(2), 151-180. 

  43. 정옥분(2008). 성인.노인심리학, 서울. 서울: 학지사. 

  44. 정원길(2001). 기혼여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조유리(2000).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조은영(2003). 기혼남녀의 결혼의 질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조추용.송미영.이근선(2009).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43, 135-156. 

  48. 조하.신희천(2009).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 과와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1011-1026. 

  49. 진미정.정혜은(2010).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연구: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31-51. 

  50. 통계청(2017). 장래가구추계(2015-2065년). 

  51. 통계청(2018). 2017 혼인이혼통계. 

  52. 하은하(2002). 가족가치관에 따른 한국인의 가족개념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한경혜(2013). 베이비부머 삶의 변화와 지속성, 2010-2012.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 연구소. 메트라이프 재단. 

  54. 허제은.태영숙(2014). 중년여성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6(2), 181-190. 

  55. 홍백의.박은주.박현정.박진(2009). 결혼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3), 307-328. 

  56. Booth, A., Johnson, D., & Edwards, J. N. (1983). Measuring marital instabil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2), 387-394. 

  57. Brim, O.G., Ryff, C.D., & Kessler, R.C.(2004), How healthy are we? A national study of well-being at midlife, Chicago,IL: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8. Erikson, E. H. (1968). Life cycl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9, 286-292. 

  59. Gottman, J. M. (1994). What predicts divorce?. L. Erlbaum, USA. 

  60. Havighurst, Robert. T.(1972):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New York: David McKay Company. 

  61. Heaton, T. B. (2002). Factors Contributing to Increasing Marital Stability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Family Issues, 23, 3, 392-409. 

  62. Heaton, T. B., & Albrecht, S. L. (1991). Stable unhappy marriag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747-758. 

  63. Lamanna MA, Riedmann A.(2009). Marriages and families: Making choices in a diverse society, 2009, Belmont: Wadsworth. 

  64. Lewis, R. A., & Spanier, G. B. (1979).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InW. R. Burr, R. Hill, FI Nye, & IL Reiss (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Vol. 1, pp. 268-294). 

  65. Livson. F. B.(1981), Paths to psychological health in the middle years: Sex differences, in Present and post in middle life, (New York: Academic Press, 195-222. 

  66. Lye, D. N., & Biblarz, T. J. (1993). The effects of attitudes toward family life and gender roles on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Family Issues, 14(2), 157-188. 

  67. Martin, T. C., & Bumpass, L. L. (1989). Recent trends in marital disruption. Demography, 26(1), 37-51. 

  68. McCubbin HI, Patterson, J. M., Wilson, L. R. (1982). FILE: Family inventory of life changes. St. Paul, MN: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p. (Olson, D., McCubbin H. I., Barnes, H., Larson, A., Muxen, M., editors. Family inventories). 

  69. Park, J., & Liao, T. F. (2000). The effect of multiple roles of South Korean married women professors: Roles changes and factors which influence potential role gratification and strain. Sex Roles, 43(7/8), 571-5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