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IT기업 N사 영업사원의 핵심역량모델 개발
Developing a Competence Model for Salespeople in a Small-medium Size IT Firm N 원문보기

大韓工業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41 no.1, 2016년, pp.88 - 107  

이순희 (엔쓰리엔) ,  심지현 (숙명여자대학교 수련교수회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지속가능한 기업이 되기 위한 우수인재의 확보 및 개발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이를 위해 기업은 자신의 기업에 필요한 인재상을 체계적으로 반영한 역량을 정의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역량이란 우수한 업무수행자가 보유하고 있는 독특하고 고유한 행동으로 지식, 기술, 가치, 기타 개인적 특성들이 직무수행에서 통합되어 행동으로 나타난 것이며, 이를 체계화 하는 과정을 역량 모델링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경쟁이 치열하고 끊임없이 변화를 요구받는 중소 IT기업을 대상으로 역량모델링을 수행하고 맞춤형 역량모델을 개발하여 체계적인 인적자원의 관리 및 육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ubois의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법을 사용하여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도출된 역량모델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 및 워크숍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IT기업 N사의 영업사원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은 총 14개지만 영업의 시기에 따라 프로젝트 사전, 진행중, 사후로 나뉘어 13개, 9개, 6개가 유기적으로 활용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역량모델은 향후 N사의 영업부서직원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tching and developing great human resource is getting important in these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s. It is important to define and utilize personalized competence model for individual firm before hatching and developing its HR. Competence is a unique set of behavior shown as a result of s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중소 IT기업 N사에 재직중인 직원들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정의하고 핵심역량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중소기업 인사담당자들에게 핵심역량 모델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중소기업 특성상, 영업본부는 기업의 모든 매출을 책임지고 있는 핵심적인 부서이기 때문에 N사의 모든 부서들 중에서도 특별히 영업본부의 역량모델 개발이 가장 시급하다고 판단되어, 첫째, N사 영업본부 직원들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와 둘째, N사 영업본부 직원들이 생각하는 핵심역량은 영업이 이루어지는 시기(프로젝트 수주 전, 프로젝트 진행 중, 프로젝트 종료 후)에 따라 어떻게 구분 되는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비전문가인 중소기업 인사담당자도 본 연구를 참고로 하여, 자사에 맞는 역량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역량모델링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또한 도출된 역량모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도 함께 제시하였다.
  • 또한 사후관리가 중요한 통합보안솔루션이라는 제품특성상 지속적으로 구매자와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능력이 요구되는 직무환경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영업부서의 고성과자들은 이러한 직무특성별로 필요한 핵심 역량의 정의와 필요한 상황, 그리고 각 역량별로 기대되는 행동특성을 적절히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1차로 도출된 잠정적 역량모델(안)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영업본부 직원을 대상으로 1차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차 타당성 검토를 위한 영업본부 워크숍을 실시하였다. 해당 작업은 연구절차의 제5단계에 해당하는 작업이다.
  • 본 연구에서는 2단계를 확장하고, 역량모델 검증단계(5단계)를 추가한 다음의 과 같은 연구절차를 개발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소IT기업인 N사의 영업사원의 역량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인 역량모델링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설문조사와 워크숍을 수행하였다. 역량모델링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중소 IT기업 N사에 재직 중인 영업본부 직원들에 대한 핵심역량을 정의하고 핵심역량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중소기업 인사담당자들에게 핵심역량 모델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주된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비전문가인 중소기업 인사담당자도 본 연구를 참고로 하여, 자사에 맞는 역량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역량모델링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또한 도출된 역량모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도 함께 제시하였다.
  • 설문조사는 잠정적으로 도출된 역량이 고성과를 내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의 관련성(예/ 아니오)이 있으며, 해당 역량이 고성과를 내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의 중요도(6점척도)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해당역량은 N사의 영업주기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사전영업’, ‘프로젝트 진행 중’, ‘프로젝트 종료 후’ 중 어느 시기에 해당 역량이 필요한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 하지만 대기업과 다른 여건의 중소기업에서 기업별 핵심역량을 개발하는 작업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중소 IT기업 N사에 재직 중인 영업본부 직원들에 대한 핵심역량을 정의하고 핵심역량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중소기업 인사담당자들에게 핵심역량 모델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주된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비전문가인 중소기업 인사담당자도 본 연구를 참고로 하여, 자사에 맞는 역량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역량모델링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수인재의 확보 및 개발을 위해 기업은 무엇을 해야하는가?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지속가능한 기업이 되기 위한 우수인재의 확보 및 개발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이를 위해 기업은 자신의 기업에 필요한 인재상을 체계적으로 반영한 역량을 정의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역량이란 우수한 업무수행자가 보유하고 있는 독특하고 고유한 행동으로 지식, 기술, 가치, 기타 개인적 특성들이 직무수행에서 통합되어 행동으로 나타난 것이며, 이를 체계화 하는 과정을 역량 모델링이라 한다.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지속가능한 기업이 되기 위해 중요한 것은?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지속가능한 기업이 되기 위한 우수인재의 확보 및 개발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이를 위해 기업은 자신의 기업에 필요한 인재상을 체계적으로 반영한 역량을 정의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소 IT기업 맞춤형 역량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적용한 방법은? 본 연구에서는 특히 경쟁이 치열하고 끊임없이 변화를 요구받는 중소 IT기업을 대상으로 역량모델링을 수행하고 맞춤형 역량모델을 개발하여 체계적인 인적자원의 관리 및 육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ubois의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법을 사용하여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도출된 역량모델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 및 워크숍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IT기업 N사의 영업사원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은 총 14개지만 영업의 시기에 따라 프로젝트 사전, 진행중, 사후로 나뉘어 13개, 9개, 6개가 유기적으로 활용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권대식 (2006). MDS(Multidimensional Scaling)를 이용한 신입사원 통합 역량모델링 구축. 석사학위 논문. 호서대학교대학, 서울. 

  2. 김주연 (2011). 여성인력개발기관 종사자의 핵심역량 모델연구.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서울. 

  3. 김진모, 주대진, 이진화, 길대환, 주현미, 이정은 (2007).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식을 적용한 농촌지도공무원 역량모델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2), 115-138. 

  4. 김현주, 전상길 (2006). 역량기반인적자원관리의 적용에 관한 연구 : 한국기업을 위한 상황론적 접근. 인사/조직연구, 14(2), 107-139. 

  5. Spencer L. M. & Spencer S. M. (1998).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Competence at Work) (정재창, 민병모, 박동건, 박종구 역). 서울 : 피에스아이컨설팅 

  6. Lucia, A. D., & Lepsinger, R. (2001). 알기 쉬운 역량모델링(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정재창, 민병모, 김종명, 역). 서울 : 피에스아이컨설팅 

  7. 박천오 (2004). 인사행정의 이해. 서울 : 법문사. 

  8. 박천오, 김상묵 (2004). 정부산하단체 임원의 공통 직무수행역량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1), 1-25 

  9. 안희정, 최은석 (2003). 역량모델 개발과 구축방법에 대한 개관.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집, 42, 43-59 

  10. 양대현, 이찬 (2013). 대기업 HRD 직무역량 모델 개발 사례연구 : A기업 사례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26(3), 27-49. 

  11. 양석균, 박성규 (2008). 역량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4, 5-20. 

  12. 양석균 (2010). 중소기업의 역량모델 개발 실증연구 : H기업을 중심으로. 경영컨설팅리뷰, 1(1), 179-201. 

  13. 이주엽, 이순규 (2002). 두산중공업 역량진단 시스템 구축 사례. 월간산업교육, 제121차 HRD 포럼 자료집 

  14. 이정재 (2014).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고등교육체계 혁신방안연구. 한국과학기술평가원. 

  15. 오진영 (2009). 중소기업 HRD담당자의 핵심역량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16. 오헌석, 배진현, 윤정이 (2010), 자동차 영업사원의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기업교육연구, 12(1), 41-68. 

  17. 윤정일, 김민성, 윤순경, 박민정 (2007).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교육학연구, 45(3), 233-260. 

  18. 진주현 (2006). 표준역량모델 개발. 석사학위 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9. 주인중, 김덕기, 정종태, 김호현, 최선아 (2010). 기업체에서의 역량모델 개발과 활용실태 분석. 직업교육연구, 29(3), 309-334. 

  20. 전영욱, 김진모 (2005). 기업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핵심직무역량모델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2), 111-138. 

  21. 전영욱, 변현정, 이준철 (2006). 직무역량을 이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기업교육연구, 8(2), 79-100. 

  22. 정재삼, 장정훈 (1999). 수행 컨설턴트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조직문화 변화 해결책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15(3), 99-127. 

  23. Bartram, D. (2004). Assessment in organizations.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53(2), 237-259. 

  24.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y rather than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25. McLagan, P. (1996). Great Ideas revisited: Job competency models, Training and Development, 50(1), 40-47. 

  26. Mirabile, R. J. (1997).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Training and Development, 51(8), 73-77. 

  27. Rothwell, W. J., & Lindholm, J. E. (1999). Competency identification, modelling and assessment in the USA,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3(2), 90-105. 

  28. Tubbs, S. L., & Eric S. (2006). Exploring a taxonomy of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and meta-competencies.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Business, 8(2), 29-3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