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간적 자기상관성의 정도에 따른 MAUP에서의 스케일 효과 연구 - LBSNS 데이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cale Effects of the MAUP According to the Degree of Spatial Autocorrelation - Focused on LBSNS Data -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4 no.1, 2016년, pp.25 - 33  

이영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권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유기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허용 (대한지적공사 공간정보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포인트 속성의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Location-Based Social Network Services, LBSNS) 데이터를 멀티스 케일의 타일맵상에 효과적으로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격자 기반으로 군집화하여 표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격자의 크기 및 개수를 결정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기준은 정해진 것이 없으며 데이터의 종류와 분석 목적에 따라 달라지므로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밖에 없다. 이때 연구 결과에 영향을 끼치는 공간단위 임의성의 문제(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MAUP)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LBSNS 중 지오태깅(geotagging)된 트위터(Twitter)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이러한 MAUP의 영향을 스케일 효과(scale effect)의 측면에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오차모델(spatial error model)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공간적 자기상관성(spatial autocorrelation)의 정도를 조절하였으며, 이에 대해 격자의 크기를 달리함에 따른 공간적 자기상관성의 변화를 Moran's I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원 데이터에는 양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공간오차모델의 공간자기회귀계수(spatial autoregressive coefficient)의 값이 증가할수록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트위터 데이터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의 강도를 5단계로 조절하였으며, 각 단계에 대하여 격자의 크기를 9단계로 나누어 각각에서의 Moran's I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합역 수준이 높아질수록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증가하다가 격자의 크기가 600m에서 1,000m 사이일 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강할수록 MAUP에서의 스케일 효과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visualize point based Location-Based Social Network Services(LBSNS) data on multi-scaled tile map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apply tile-based clustering method. Then determinating reasonable numbers and size of tiles is required. However, there is no such criteria and the number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MAUP는 스케일 효과와 구획 효과로 구분되어 나타난다고 보고, 같은 변수에 대해 각각 다른 기능지역을 설정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는 통계치가 합역양식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지적하기 보다는 다양한 통계치 중에서 유의미한 것은 무엇이며, 그 통계치를 도출한 공간 단위의 합역양식이 무엇인지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MAUP와 관련된 연구는 1980년대부터 꾸준히 진행되어 왔지만 그에 반해 LBSNS라는 것은 2000년대 초반,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에 생겨난 것이기 때문에 두 분야의 접점이 없었던 것이 그 이유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라고 할 수 있는 LBSNS 데이터를 대상으로 공간적 자기상관성에 따른 MAUP의 효과를 탐색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 본 연구는 포인트 속성을 지니는 LBSNS 데이터를 멀티스케일의 지도상에 군집화하여 표현하고자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MAUP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LBSNS 중 트위터 포인트 데이터에 대하여 MAUP에서의 스케일 효과를 공간적 자기상관성의 측면에서 알아보았다.
  • 이때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간단위 임의성의 문제(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이하 MAUP)’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정으로써 LBSNS 중 트위터 포인트 데이터에 대하여 MAUP의 영향을 스케일 효과(scale effect)의 측면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 즉 식 (1)에서 본래 변수인 벡터 ∊에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존재하는 경우, ρ의 값이 증가할수록 공간적 자기상관성은 감소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자기상관성의 정도에 따라 구성된 분포에 대하여 각각에서 격자의 크기 변화가 공간적 자기상관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므로 원 데이터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제거하기보다는 공간적 자기상관성의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격자(grid) 기반의 군집화 기법이란 무엇인가? LBSNS에서 추출한 포인트 데이터를 타일맵 형태로 제공되는 멀티스케일의 지도상에 나타내고자 할 때, 정보의 가독성을 위하여 군집화(clustering)하여 표현해야 한다. 여러 군집화 기법 중 격자(grid) 기반의 군집화 기법은 대상 공간을 일정한 격자 구조로 구성하고, 모든 군집화 과정을 이 격자 구조 내에서 실행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객체 수에 대해 독립적이고 미리 계산된 격자의 수에 의존하기 때문에 계산량이 적고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LBSNS 데이터에 대하여 격자 기반 군집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도의 각줌 레벨(zoom-level)별로 적절한 격자의 크기 및 개수를 결정해야 한다.
격자(grid) 기반의 군집화 기법의 장점은? LBSNS에서 추출한 포인트 데이터를 타일맵 형태로 제공되는 멀티스케일의 지도상에 나타내고자 할 때, 정보의 가독성을 위하여 군집화(clustering)하여 표현해야 한다. 여러 군집화 기법 중 격자(grid) 기반의 군집화 기법은 대상 공간을 일정한 격자 구조로 구성하고, 모든 군집화 과정을 이 격자 구조 내에서 실행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객체 수에 대해 독립적이고 미리 계산된 격자의 수에 의존하기 때문에 계산량이 적고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LBSNS 데이터에 대하여 격자 기반 군집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도의 각줌 레벨(zoom-level)별로 적절한 격자의 크기 및 개수를 결정해야 한다.
격자 기반 군집화 작업시 격자 크기에 대한 기준이 없어 연구자의 주관 개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은? LBSNS 데이터에 대하여 격자 기반 군집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도의 각줌 레벨(zoom-level)별로 적절한 격자의 크기 및 개수를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격자 크기에 대한 기준은 정해진 것이 없고 데이터의 성격과 활용 목적에 따라 달라지므로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밖에 없다. 이때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간단위 임의성의 문제(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이하 MAUP)’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정으로써 LBSNS 중 트위터 포인트 데이터에 대하여 MAUP의 영향을 스케일 효과(scale effect)의 측면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ysis, Vol. 27, No. 2, pp. 93-115. 

  2. Can, A., 1996, Weight matrices and spatial autocorrelation statistics using a topological vector data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Vol. 10, No. 8, pp. 1009-1017. 

  3. Cheong, J. S. and Park, J. H., 2015, Test of the scale effect of MAUP in crime study: analyses of sex crime using nation-wide data of eup-myon-dong and si-gun-gu,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10, pp. 150-159. 

  4. Cho, D. H., 2013, Trends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spatial cluster analysis for count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8, No. 5, pp. 768-785. 

  5. Doreian, P., 1981, Estimating linear models with spatially distributed data, Sociological Methodology 12, pp. 359-388. 

  6. Getis, A., 2010, Spatial autocorrelation, In Handbook of applied spatial analysis,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 255-278. 

  7. He, Z., Zhao, W. and Chang, X., 2007,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of spatial heterogeneity of plant community in the transitional zone between oasis and desert using semivariance analysis, Landscape Ecology, Vol. 22, No. 1, pp. 95-104. 

  8. Jelinski, D. E. and Wu, J., 1996,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and implications for landscape ecology, Landscape Ecology, Vol. 11, No. 3, pp. 129-140. 

  9. Jung, D. Y. and Son, Y. G., 2009, A analysis on the spatial features of the neighborhood trade area using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7, No. 1, pp.141-147. 

  10. Kwan, M. P. and Weber, J., 2008, Scale and accessibility: Implications for the analysis of land use-travel interaction, Applied Geography, Vol. 28, No. 2, pp. 110-123. 

  11. Lee, S. I., 1999, The delineation of function regions and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MAU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Vol. 7, No. 2, pp. 757-783. 

  12. Lee, S. I., 2001, Developing a bivariate spatial association measure: an integration of Pearson's r and Moran's I,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s, Vol. 3, No. 4, pp. 369-385. 

  13. Lee, S. I., 2007,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to residential differentiation (I): Developing a spatial separation measur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2, No. 4, pp. 616-631. 

  14. Lee, G. H. and Kim. K. Y., 2013, A study on the spatial mismatch between the assessed land value and housing market price: Exploring the scale effect of the MAUP,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8, No. 6, pp. 879-896. 

  15. Moran, P. A., 1950, Notes on continuous stochastic phenomena, Biometrika, Vol. 37, No. 1/2, pp. 17-23. 

  16. Oh, C. W., 2002, Spatio-temporal analysis of land price variation considering modifiable area unit problem, Th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Vol 10. No. 2, pp. 185-199. 

  17. Openshaw, S., 1984,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Geo Abstracts University of East Anglia. 

  18. Swift, A., Liu, L. and Uber, J., 2008, Reducing MAUP bias of correlation statistics between water quality and GI illness,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32, No. 2, pp. 134-148. 

  19. Tobler, W. R., 1970, A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Economic Geography, Vol. 46, pp. 234-240. 

  20. Viegas, J. M. and Martinez, L. M., 2007, Effects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on the delineation of traffic analysis zone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advance online publication, pp. 1-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