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장수 인구의 분포 패턴에 관한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과 수정 가능한 공간단위 문제(MAUP)의 Scale Effect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and the Scale Effect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MAUP)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6 no.3, 2013년, pp.40 - 53  

최돈정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서용철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수인구의 공간적 분포 패턴과 지역적 장수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국내의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확증적(confirmatory) 접근 방식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대다수의 연구자는 통계자료의 가용성에 의존하거나 임의적인 분석 공간 단위를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방식은 특히 장수 현상이 가지는 공간적인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며 수정 가능한 공간 단위(MAUP) 문제에서도 자유롭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 자료를 이용한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ESDA)을 통해 장수인구의 공간적 분포 패턴에 관한 공간적 자기상관의 발생여부를 파악 하고자 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상이한 분석 공간 단위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정 가능한 공간단위문제(MAUP)에 대한 평가를 수행 하였다. 공간적 자기상관의 발생 여부 파악을 위해 시군구와 읍면동의 상이한 공간단위에 대한 장수 인덱스를 산출하여 전역적 공간적 자기상관 측도인 Moran'I 분석을 수행 하였다. 또한 Getis-Ord Gi*를 이용하여 공간적 Hot Spot 과 Cold Spot 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시군구와 읍면동의 모든 공간단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공간적 자기상관과 장수인구 군집 지역(Hot spot 과 Cold spot)이 존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군구와 읍면동의 상이한 공간 단위에서 산출된 전역적(Global) 공간적 자기상관 지수와 국지적(Local) 공간 클러스터의 값에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MAUP의 Scale Effect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화로 인해 필연적으로 증가하게 될 장수에 대한 연구 시 연구자는 현상이 포함하는 공간적 차원을 고려하여야 하며 MAUP으로 인해 심각한 정보의 오류를 범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of the existing domestic studies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riented confirmatory approach. Furthermore, most of the studies in this research topic simply have used their own definition of spatial unit of analysis or employed arbitrary spatial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비 공간 자료의 공간DB화를 통한 통계적 분석 시 자료의 공간적 특징에 관한 검토는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AUP의 원인이 사물의 공간적 분포 그 자체에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장수인구의 공간 분포 패턴에 관한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과정에서 발생하는 MAUP의 Scale Effect를 다루고자 한다(Lee, 1999).
  • 산출된 장수 인덱스의 공간적 자기상관 유무를 측정하기에 앞서 적용된 자료의 공간 분포특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 불균형 지표로 활용되고 있는 변동계수(CV : Coefficient of Variation)를 활용하여 자료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누어 상대적인 분산도를 측정하는 변동계수는 특정 변수에 대한 공간적 불균형을 파악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Williamson, 1965; Choi et al.
  • 또한 국지적인 군집 성향을 파악하기 위한 Getis-Ord Gi*를 수행하여 장수인구의 분포가 지역적으로 어떠한 분포 패턴을 보이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CV와 ESDA 그리고 Getis-Ord Gi* 기법을 이용한 공간분석 시 시군구와 읍면동이라는 상이한 공간단위를 설정하여 산출된 주요 통계 수치는 MAUP의 Scale Effect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데 활용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 장수인구의 분포 패턴에 대한 탐색적 공간 자료 분석을 수행하여 장수도의 공간적 자기상관의 발생 유무를 파악하였다. 또한 상이한 분석단위를 적용하여 분석 공간단위의 범위를 달리 함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MAUP(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중 공간 단위(Spatial Unit)를 통합(Aggregation)함으로써 발생하는 Scale effect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역적 공간적 자기상관 측도인 Moran' I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장수인구의 분포에 공간적 자기상관이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 장수인구의 분포 패턴에 대한 탐색적 공간 자료 분석을 수행하여 장수도의 공간적 자기상관의 발생 유무를 파악하였다. 또한 상이한 분석단위를 적용하여 분석 공간단위의 범위를 달리 함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MAUP(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중 공간 단위(Spatial Unit)를 통합(Aggregation)함으로써 발생하는 Scale effect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지역의 장수 인덱스를 대변하는 주요 지표인 장수 인덱스 자료의 공간적 자기상관 발생 여부를 파악하고 상이한 공간단위를 적용한 분석시 발생하는 MAUP의Scale effect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선행연구의 방식에 따 라 장수인덱스를 산출하고 변동계수를 활용하여 자료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이슈라 할 수 있는 고령화와 관련하여 전국 장수인구 데이터에 관한 ESDA분석을 각각 시군구, 읍면동 단위로 실시한다. 이와 병행하여 ESDA의 결과에 대한 주요 통계량 비교를 통해 MAUP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Scale Effect의 발생 여부에 대해 고찰 해 보고자 한다.
  • 구축된 장수인덱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변동 계수(CV : Coefficient of Variation)를 산출하여 장수인구 분포가 공간상에 균형적으로 이루어 졌는지 파악한다. 이와 병행하여 본 연구에서는 장수인구 분포의 공간적 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전역적 차원과 국지적 차원의 ESDA분석을 수행한다. 전역적 공간적 자기상관 측도인 Moran's I 인덱스를 산출하고 이에 대한 Scatter Plot을 이용하여 장수인구의 분포에 대한 공간적 자기상관의 존재 여부를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AUP의 Scale Effect와 Zoning Effect는 각각 무엇을 나타내는가? 일반적으로 MAUP은 Scale Effect와 Zoning Effect2)로 구분할 수 있다. Scale effect는 동일한 분석을 상이한 공간 해상도로 수행할 때 발생하는 속성 값의 변화와 이에 따른 분석결과의 변화를 나타낸다. 반면에 Zoning effect는 분석 시 사용되는 공간 단위의 수는 같으나 구획(zoning)방식을 달리 했을 시 발생하는 속성 값의 변화와 이에 따른 분석결과의 변화를 나타낸다. MAUP에 관한 논의는 1970년대 이후 GIS기술의 발달과 함께 본격적으로 다루어졌고 특히 1980년대 후반 미국 지리정보 분석센터(NCGIA : National Center for Geographic Information and Analysis)에서 하나의 연구과제로 선정된 것이 주목할 만하다(Jung et al.
MAUP는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일반적으로 MAUP은 Scale Effect와 Zoning Effect2)로 구분할 수 있다. Scale effect는 동일한 분석을 상이한 공간 해상도로 수행할 때 발생하는 속성 값의 변화와 이에 따른 분석결과의 변화를 나타낸다.
MAUP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1981). 이는 공간 분석 시 분석 단위의 상이한 정의에 따라 분석의 결과가 달라지는 현상을 의미한다.(Cho,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eong, J.S. and W.J. Kim. 2012. Neighborohood-level crime research and the MAUP(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The Journal of Police Science 12(2):27-47 (정진성, 김우중. 2012. 지역 사회 범죄연구와 가변적 공간단위 문제 (MAUP). 경찰학연구 12(2):27-47). 

  2. Cho, I.H. 2010. A study on spatial effects in MAUP : with a focus on scale and zoning effects.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144pp (조일환. 2010. MAUP에서의 Spatial effects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4쪽). 

  3. Choi, Y., B.H. Lee and H. Kim. 2009. A time series analysis of spatial inequality and spatial autocorrelation in metropolitan living sphere. Korea Real Estate Academy Review 36(1):14-26 (최열, 이백호, 김현. 2009 . 대도시 생활권의 공간적 불균형과 공간적 자기상관에 관한 시계열 분석. 부동산학보 36(1):14-26). 

  4. Chung, K.S., S.W. Kim and Y.W. Lee. 2012. A comparative study on the goodness of fit in spatial econometric models using housing transaction prices of Busan, Korea. Joun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43-51 (정건섭, 김성우, 이양원. 2012. 부산시 실거래 주택매매 가격을 이용한 공간 계량 모형의 적합도 비교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43-51). 

  5. Jelinski, D.E. and J. Wu. 1996.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and implications for landscape ecology. Landscape Ecology 11(3):129-140. 

  6. Jianquan, C.A. and F. Stewart. 2013. Multi -scale issues in cross-border comparative analysis. Geoforum 46:138-148. 

  7. Jung, N.S., J.J. Lee, H.J. Kim, J.M. Lee, K. Seo and H.J. Lee. 2003. A study on the longevity index and the criteria of longevity in rural area for aged socie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9(3):35-39 (정남수, 이정재, 김한중, 이지민, 서교, 이호재. 2003. 노령화사 회에 대비한 농촌지역 장수도의 정의 및 장수지역 기준마련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9(3):35-39). 

  8. Kim, D.S. and H.J. Park. 2003. Regional differentals on mortality in Korea, 1990-2000.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6(1):1-30 (김두섭, 박효준. 2003. 사망력 수준의 시.군별 편차 및 그 변화 추이, 1990-2000. 한국인구학 26(1) :1-30). 

  9. Kim, H.Y., J.S. Kim and S.H. Lee. 2012. A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to the delimitation of CBD. Joun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42-54 (김호용, 김지숙, 이성호. 도심경계설정을 위한 공간 통계학적 접근.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4): 42-54). 

  10. Kim, J.I. 2002. Social-environment factors by region of centenarian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1(3) :157-168 (김종인. 2002. 백살 이상 장수노인의 거주 지역에 대한 사회 환경요인. 한국노년학 21(3):157-168). 

  11. Kim, J.I. 2007. Influence socialenvironment factors for region of centenarian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7(3):635-347 (김종인. 2007. 백세인의 지역별 장수지표와 사회 환경요인의 영향력. 한국노년학 27(3): 635-347). 

  12. Kim, K.Y. 2011. Effects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MAUP) on a spatial interac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46(2):197-211 (김감영. 2011. 공간 상호작용 모델에 대한 공간단위 수정가능성 문제(MAUP)의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46(2):197-211). 

  13. Kim, M.J. and A.H. Choi. 2008. A study on overview model development of the rural long-lived village: the case of Chapung1-ri of Umsung-kun, Chungcheongbuk-do. The Korean Spatial Planning Review. 59:37-59 (김묘정, 최아현. 2008. 농촌장수마을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충북 음성군차평 1리를 사례로. 국토연구 59:37-59). 

  14. Kim, Y.S., S.S. Kim, H.J. Lee and J.J. Lee. 2002. Assessment of geographic factors with time on longevit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8(3):41-48 (김윤순, 윤성수, 김한중, 이정재. 2002.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지리환경의 장수에 대한 영향평가. 농촌계획 8(3):41-48). 

  15. Lasse, T., M. Pekka, L. Mikko and H.L. Alastair. 2010. Comparing the effects of neighbourhood characteristics on allcause mortality using two hierarchical areal units in the capital region of Helsinki. Health Place 16(2):409?412. 

  16. Lee, J.H., H.D. Kim and K.D. Oh. 2009. Analysis on MAUP effects in visibility analysis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12(1):80-87 (이준학, 김항덕, 오경두. 2009. 가시권 분석에서의 MAUP 영향 분석.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12(1):80-87). 

  17. Lee, S.I. 1999. The delineation of function regions and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7(2):757-783 (이상일. 1999. 기능지역의 설정과 공간단위 수정가능성의 문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7(2):757-783). 

  18. Mitra, R. and R.N. Buliung. 2012. Built environment correlates of active school transportation: neighborhood and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20(1):51?61. 

  19. Openshaws, S. 1984.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Concept and Technique in Modern Geography 38. Norwich : Geo Books. 

  20. Park, G.J., S.D. Yoon and H.H. Kang. 2007. The factors influencing excercise behaviors of elderly living at the well-being villages in Korea. Rural Economy and Development 14(2):257-278 (박공주, 윤순덕, 강현정. 2007. 농촌건강장수마을 노인의 운동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농촌지도와 개발14(2):257-278). 

  21. Park, K.H. 2004. A study on the effects of spatial proximity weight matrices on the spatial autocorrelation measures: the case of Seoul administrative units. Seoul Studies 5(3):67-83 (박기호. 근린가중치 행렬이 공간적 자기상관 추정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를 사례로. 서울도시연구 5(3):67-83). 

  22. Park, S.O., E.J. Jeong and K.U. Song. 2005. Spatial characteristics of longevity degre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1(2):87-210 (박삼옥, 정은진, 송경언. 2005. 한국 장수도 변화의 공간적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2):87-210). 

  23. Park, S.O., E.J. Jeong and K.U. Song. 2006. Spatial characteristics of manufacturing production and innovation networks of the long-live area of Gangwon and Jeju.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41(1):1-21 (박삼옥, 정은진, 송경언. 2006. 강원.제주장수지역의 제조업 생산 연계와 혁신 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1(1):1-21). 

  24. Sim, J.S., H.Y. Kim, K.W. Nam and S.H. Lee. 2013.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way influence areas using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Joun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1):67-79 (심준석, 김호용, 남광우, 이성호. 지리가중회귀모델을 이용한 역세권 공간구조 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1):67-79). 

  25. Williamson, J.C. 1965. Regional inequality and the process of national development : a description of the patterns.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13(4): 1-84. 

  26. Wrigley, N. and R.J. Bennet. 1981. Quantitative Geography: A British View. Routledge, London. pp.60-69. 

  27. Tobler, W.R. 1970. A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Economic Geography 46(2):234-240. 

  28. http://www.kosis.kr/. 

  29. http://gis.nso.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