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시계열 풍속벡터의 유사성을 이용한 포항지역 바람권역 분류
Classification of Wind Sector in Pohang Region Using Similarity of Time-Series Wind Vectors 원문보기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36 no.1, 2016년, pp.11 - 18  

김현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자원센터) ,  김진솔 (미국 버클리대학교 지구행성과학과) ,  강용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자원센터) ,  박형동 (서울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ocal wind systems in the Pohang region were categorized into wind sectors. Still, thorough knowledge of wind resource assessment, wind environment analysis, and atmospher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as required since the region has outstanding wind resources, it is located on the path of...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풍환경의 정확한 이해가 요구되는 포항지역의 국지풍계에 따라 바람권역을 분류하되, 선행연구의 기상자료의 한계성과 분류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해석자료로는 신뢰도가 검증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풍력자원지도를, 분류방법으로는 시계열 풍속벡터 유사성을 이용한 군집분석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계층적 군집분석을 사용함으로써 군집의 초기 중심점에 무관하게 최종적으로 유의한 군집 개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 8은 바람권역별로 지형고도, 평균풍속, 풍속의 표준편차 및 와이블 형상계수의 분포 특성을 비교한 상자그림(box plot)이다. 즉 각각의 바람권역 내에서 기상 요소값의 통계특성을 상자그림으로 도시하여 바람권역 간의 유의한 차이점을 판별하고자 하였다. 참고로 평균 및 산포가 유사한 범위 내에 있는 군집은 동일한 상자 색상으로 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군집분석에 의한 바람권역 분류 단계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첫 번째 단계에서는 계층적 군집분석(hierarchical clustering)을 통해 다음 단계에서 이용할 적합한 군집개수와 초기 중심점을 선택한다. 두 군집 사이의 거리는 각 군집에서 가장 거리가 먼 두 관측 값들 사이의 거리를 두 군집 사이의 거리로 정의하는 최장연결법을 사용하였으며, Eq. (1)을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였다. 적합한 군집개수는 병합되는 두 군집 사이의 거리와 군집개수에 대해 도시한 그래프를 이용하여 선정한다. 병합되는 두 군집 사이의 거리가 크게 증가할 때에 비유사성이 큰 두 군집이 병합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때가 병합이 중지되어야 할 시점으로, 적합한 군집개수를 나타낸다. 초기 중심점은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해 생성된 각 군집의 중심점으로 설정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비계층적 군집분석(nonhierarchical clustering)에 해당하는 K-평균(K-means) 군집분석을 통해 바람권역 분류를 수행한다.
포항의 특징은? 포항은 경상북도 동해안에 위치한 항구도시이자 산업도시이며, 형산강 하구 평탄한 지형에 시가지와 철강산업단지가 밀집되어 있다.
군집분석이란?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은 객체의 유사성이 높은 집단을 분류하는 통계기법으로, 이를 위하여서는 먼저 객체 간의 유사성 또는 비유사성의 척도를 나타내는 거리를 정의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ung, W. S., Lee, H. W. and Kim, H. G., An Analysis and Numerical Simulation on Southwestern Prevailing Wind Phenomenon Around Pohang in Winter,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24, No. 6, pp. 533-548, 2003. 

  2. Kim, H. G., Choi, J. O., Son, J. B., Jung, W. S. and Lee, H. W., Analysis on Wind Environments for Siting a Wind Far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19, No. 6, pp. 745-756, 2003. 

  3. Lee, H. W., Jung, W. S., Kim, H. G. and Lee, S. H., A Study of Atmospheric Field Around the Pohang for Dispersion Analysis of Air Pollutants - Numerical Simulation of Wind Field,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20, No. 1, pp. 1-15, 2004. 

  4. Jung, J. H., Lee, H. H., Lee, H. W., Chang, H. S. and Shon, B. H., Analysis of Wind Sector Division for Pohang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17, No. 4, pp. 385-396, 2008. 

  5. Jung, J. H., Lee, H. D. and Shon, B. H., Assessment of Location of the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Wind Sector Division in Poha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4, pp. 1931-1938, 2012. 

  6. Kim, J. S., Kim, H. G. and Park, H. D., Spatial Classification of Spatio-Temporal Wind Speed Data Using Pearson's Correlat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Mathematical Geoscience 2014, New Delhi, India. 

  7. Kim, H. G., Jang, M. S. and Lee, E. J., Meteorstatistical Analysis for Establishment of Jejudo Wind Resource Databas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17, No. 6, pp. 591-599, 2008. 

  8. Kim, H. G., Cho, K. P., An, H. J. and Jeon, W. H., Comparative Validation of WindCube LIDAR and Metek SODAR for Wind Resource Assessment - Remote Sensing Campaign at Gimje Plane,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ol. 16, No. 1, pp. 23-49, 2012. 

  9. Hwang, H. J. and Kim, H. G., Analysis on Offshore Wind Using SAR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ol. 15, No. 4, pp. 67-71, 2011. 

  10. Kim, H. G., Kang, Y. H. and Yun, C. Y., Comparative Analysis on Commercial Wind Resource Maps of South Korea,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ol. 19, No. 1, pp. 9-14, 2015. 

  11. Jung, W. S., Lee H. W., Park J. K., Kim, H. G., Kim, E. B., Choi, H. J., Kim, D. H. and Kim, M. J., Classification of Wind Sector for Assessment of Wind Resource and Establishment of a Wind Map in South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18, No. 8, pp. 889-910, 2009. 

  12. Davis, R. E., Kalkstein, L. S., Development of an Automated Spatial Synoptic Climatological Classif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10, pp. 769-794, 1990. 

  13. Jung, W. S., Lee, H. W. and Park, J. K., Analysis of Local Wind in Busan Metropolitan Area According to Wind Sector Division - Part III: Division of Local Wind Sector Over Busa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16, No. 3, pp. 311-321, 2006. 

  14. Fisk, C. J., Two-Way (Hour-Month) Time Section Plots as a Tool for Climatological Visualization and Summarization, 14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Seattle, US,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