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oneM2M기반 ISO/IEEE 11073 DIM 전송 구조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SO/IEEE 11073 DIM Transmission Structure Based on oneM2M for IoT Healthcare Servic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전자공학회논문지, v.53 no.4, 2016년, pp.3 - 11  

김현수 (경북대학교 전자공학부) ,  천승만 (경북대학교 전자공학부) ,  정윤석 (경북대학교 전자공학부) ,  박종태 (경북대학교 전자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 IoT) 환경에서 IoT 디바이스들은 전원이나 메모리 등의 물리적 구성요소들에 의해 제한되며 대역폭, 무선 채널, 처리율, 페이로드 등의 네트워크 성능 또한 제한적임에도 불구하고 타 IoT 디바이스들과 리소스를 공유한다. 특히 IoT 헬스케어 서비스에 있어서 원격 디바이스 정보 관리 뿐만 아니라 원격 환자 정보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더욱이,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헬스케어 플랫폼간 상호연동성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헬스케어 플랫폼간 데이터 정보 표현, 데이터 전송 표현, 메시지 규격 등이 사물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국제표준 준수가 매우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국제의료정보 전송표준인 ISO/IEEE 11073 PHD (Personal Healthcare Device) 표준에서는 사물인터넷 환경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고려하지 않아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서비스에 적용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표준인 oneM2M과 의료정보 전송표준인 ISO/IEEE 11073 DIM(Domain Information Model)을 적용한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을 위해 oneM2M 기반인 OM2M 플랫폼을 활용하였고,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OM2M 플랫폼간 효율적인 전송 구문에 대한 평가를 위해 HTTP와 CoAP간, XML과 JSON간 단일 처리과정의 패킷 사이즈와 전송 패킷 수 등을 성능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environment of Internet of Things (IoT), IoT devices are limited by physical components such as power supply and memory, and also limited to their network performance in bandwidth, wireless channel, throughput, payload, etc. Despite these limitations, resources of IoT devices are shared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 제안한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oneM2M기반 ISO/IEEE 11073 DIM 전송 구조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성능 평가를 위하여 oneM2M표준기반의 OM2M 플랫폼을 이용하여 구현을 하였다[5]. OM2M 플랫폼은 LAAS-CNRS에서 개발한 oneM2M 기반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환경에 적용하기 위하여 ISO/IEEE 11073 DIM/서비스 모델과 CoAP을 합친 형태의 새로운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설계 및 세부 신호 체계를 고안하였으며, ISO/IEEE 11073 DIM 전송 시의 CoAP과 HTTP의 성능 비교를 위해 단일 처리 과정에서의 패킷 수 및 특정 손실률에서의 패킷 수,그리고 XML과 JSON 형식의 비교 성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가설 설정

  • 제시한 설계에 대한 평가를 위해 CoAP과 HTTP를 비교하였으며, XML과 JSON을 비교하였다. CoAP과 HTTP의 교환 패킷수와 CoAP의 재전송 기능을 검증하기 위해 리눅스 tc 커맨드를 사용하여 패킷 손실률을 10%로 가정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UDP 기반의CoAP은 확인 응답 메커니즘을 가짐으로써 전송 신뢰성이 보장된다.
  • CoAP 서버는 리소스 목록을 통해 모든 리소스를 관리한다. 관리에 대한 다른 측면은 상태 관리자를 통해 IoT-HD의 물리적 상태를 조정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물 인터넷은 어떤 분야에서 기대되고 있는가?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 IoT)은 점점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IoT는 IoT환경을 넘어 다양한 프로토콜, 도메인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수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 시스템 및 서비스들과의 높은 수준의 연결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1].
U-헬스케어의 시스템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일반적인 U-헬스케어 시스템은 측정, 취합 및 전송, 분석 및 피드백으로 크게 세가지로 구성된다. 가장 먼저, 디바이스들은 환자나 사용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여 WBAN/WPAN을 통해 이를 홈게이트웨이 또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 전송된 생체정보는 개인건강상태 모니터링 또는 저장을 위해 플랫폼 또는 병원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분석과 피드백이 끝나면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추후 환자의 데이터에 근거한 진단과 치료 계획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는 기존의 헬스케어 서비스들이 하나의 통합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헬스케어 서비스간 상호연동이 가능하며, 인터넷을 통해 원격 관리 서비스가 가능한 서비스를 말한다[2]. 좀더 구체적으로,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호운용성, 네트워크 연결성,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데이터의 연결성, 데이터 통합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IHE Patient Care Device Technical Framework, Vol. 2 (PCD TF-2): Transactions, Integrating the Healthcare Enterprise (IHE), Nov.4, 2014. 

  2. Pang, Z., Zheng, L., Tian, J., Kao-Walter, S., Dubrova, E., & Chen, Q. "Design of a terminal solution for integration of in-home health care devices and services towards the Internetof-Things," Enterprise Information Systems, pp. 86-116, Sep 1 2015. 

  3.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SO/IEEE 11073-20601 Standard for Health Informatics - Personal health device communication - Application profile Optimized exchange protocol. ISO/IEEE 11073-20601, 2008. 

  4. Z. Shelby, K. Hartke, and C. Bormann,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IEEE Internet -Draft, dratf-ietf-core-coap-18, June 28, 2013. 

  5. Open Source platform for M2M communication http://www.eclipse.org/om2m/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