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좌·우뇌 비대칭 뇌파와 성격특성요인의 관계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EG of Brain Laterality and Personality Traits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9 no.1, 2016년, pp.83 - 94  

허미라 (건양대학교 상담대학원 상담심리전공) ,  이아라 (건양대학교 상담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상담심리학의 성격특성이론에 근거하여 좌 우뇌의 신경학적 비대칭성 및 두뇌 각 영역에서의 활성뇌파와 성격의 요인별 특성과의 관련성을 EEG측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96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8채널 EEG 장비를 이용하여 뇌파를 측정한 후 컴퓨터로 분석한 자료와 성격 5요인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한 자료를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전두엽의 쎄타파 좌 우뇌비대칭이 클수록 성격요인 중 신경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각 두뇌영역별로는 전전두엽좌측의 쎄타파 활성이 클수록 신경증은 높고, 성실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두엽좌측의 베타파 활성이 클수록 외향성과 개방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두뇌영역별 특정뇌파리듬의 활성이 개인의 성격 및 심리적 특성에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기존의 연구들 대부분이 주로 알파파, 베타파 영역에서 성격과의 관련성에 대해 언급했던 것과 달리, 본 연구결과는 세타파가 성격특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두뇌관련 상담전략과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of brain laterality, active EEG over all brain regions and personality traits by measuring EEG signals on the basis of the counseling psychology personality theories. For this study, the EEG of ninety-six college students as measured by an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과적으로 좌·우뇌 비대칭이 성격의 상반된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지금까지 두뇌특성과 성격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들의 공통된 견해이며, Nitscheke외(1994)는 좌·우뇌비대칭 지수는 성격적인 특성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하면서 외향적 성격이 불안과 EEG활동 사이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뇌파가 성격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반대로 성격이 뇌파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혀 뇌파와 성격이 상호 관련이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뇌특성과 성격이 관련이 있다는 기본 전제하에 상담심리학의 성격이론에 바탕을 둔 성격특성 요인들과 두뇌특성과의 관련성에 초점을 두었다.
  • 이에 좌·우뇌 비대칭을 측정할 수 있는 보다 객관적인 측정도구를 사용한 연구결과가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두뇌와 성격을 다룬 국내연구들에서 발견된 한계점과 제언을 바탕으로, EEG 뇌파분석도구를 사용하여 심리학적 성격이론에서 성격의 다차원적 측면과 두뇌특성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상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본다면, 첫째, 뇌파를 기반으로 한 기존의 성격연구들이 대부분 알파파와 베타파 위주로 측정되어 있었던 반면, 본 연구는 쎄타파 영역으로 이를 확대하여 성격요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이다. 알파파와 베타파 뿐 아니라 쎄타파 역시 개인의 행동과 정서와 관련성이 있을 것이라는 시사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결과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격은 어디에 영향을 미치는가? 일반적으로 성격은 개인의 독특하지만 일관된 행동 특징을 말하는 것으로, 다양한 장면에서 개인의 의사결정, 수행, 직무에 영향을 미친다(You & Lee, 1997). 이러한 개인의 성격이 뇌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는 인간의 오랜 관심사로서, 1982년에 Sperry가 노벨의학상을 수상하며 좌·우로 분리된 두뇌에 대해 발표한 이래, 두뇌의 이분구조가 인간의 행동과 심리적 특징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는 관점들이 대두하게 되었다.
전전두엽의 좌우 비대칭에 따라 성격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이에 96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8채널 EEG 장비를 이용하여 뇌파를 측정한 후 컴퓨터로 분석한 자료와 성격 5요인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한 자료를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전두엽의 쎄타파 좌 우뇌비대칭이 클수록 성격요인 중 신경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각 두뇌영역별로는 전전두엽좌측의 쎄타파 활성이 클수록 신경증은 높고, 성실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두엽좌측의 베타파 활성이 클수록 외향성과 개방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두뇌영역별 특정뇌파리듬의 활성이 개인의 성격 및 심리적 특성에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오늘날 개인의 성격을 이해하는 방식이 여러 부위의 조정 및 통합에 의한 정신 활동으로 이해하는 이유는? 하지만 오늘날 개인의 성격을 이해하는 방식은 양쪽 뇌의 어느 편이 좀 더 주도적으로 정서에 관여하는가 보다는 각각의 다른 특정 부위가 어떤 역할을 하고, 서로 어떤 방식으로 조정, 통합되어 하나의 정신 활동으로 나타나는 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본다 (Jung, 2003). 이는 근간에 이루어진 뇌신경과학 분야의 발전으로 인간의 대뇌피질을 50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의 각 부위에 따라 정해진 기능과 역할이 있어 감각 변별, 운동통제, 정보의 분석을 더욱 정교하게 해준다(Kalat, 1999)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뇌의 부위나 상호방식과 성격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는 개인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과학적인 설명과 예측, 변화의 과정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hn. C. K. & Chae, J. H. (1997).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9(1). 443-473. 

  2. Allport, G. W. (1937). Personality :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3. Baehr, E., Rosenfeld, J. P., Baehr, R., & Earnest, C. (1999). Clinical Use of an Alpha Asymmetry Neurofeedback Protocol in the Treatment of Mood Disorders, New York: Academic Press, 181-201. 

  4. Borod, J. C. (1992). Interhemispheric and intrahemispheric control of emotion: A focus on unilateral brain dama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0(3), 339-348. 

  5. Buss, A. H. (1989). Personality as traits. American Psychologist, 44, 1378-1388. 

  6. Carver, C. S. & Scheier, M. F. (2008). Perspectives on Personality. MA: Pearson Education. 

  7. Chi, S. E., Chung, M. S., Park, C. B., Lee, J. Y., & Kim, H. T. (2003). A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EEG and personality.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6(1), 47-53. 

  8. Cho, S. H. (2004). The 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 between brain respiration train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during learning activities. Korea Institute of Brain Science Symposium, 2004(7), 91. 

  9. Choi, S. W., Jekal, E. J., & Ahn, C. I. (2008). Depression and baseline prefrontal EEG alpha wave asymmetr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4), 1053-1069. 

  10. Chung, B. K. (2007). Frontal brain asymmetry, positive affect and approach motivation.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19(2), 127-147. 

  11. Chung, M. S. (2003). A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EEG and Personality. Master's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12. Davidson, R. J. (1988). EEG measures of cerebral asymmetry: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science, 39(1-2), 71-89. 

  13. Davidson, R. J. & Sutton, S. K. (1997). Prefrontal brain Asymmetry: A biological substrate of the behavioral approach and inhibition systems. American Psychological Society, 8(3), 204-210. 

  14. Davidson, R. J. (1998). Affective style and affective disorders: Perspectives from affective neuroscience. Cognition & Emotion, 12(3), 307-330. 

  15. Eysenck, H. J. (1991). Biological dimensions of personality. In L.A. Pervin (Ed.). Handbook of Personality, 244-276. New York: Guilford Press. 

  16. Gotlib, I. H., Rangganath, C., & Rosenfeld, J. P. (1998). Frontal EEG alpha asymmetry,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ing. Cognition and Emotion, 12(3), 449-478. 

  17. Gray, J. A. (1990). Brain systems that mediate both emotion and cognition. Cognition and Emotion, 4, 269-288. 

  18. Gray, J. A. (1994). Three fundamental emotion systems. In P. Ekman & R. J. Davidson (Eds.), The Nature of Emotion: Fundamental Questions, 243-247. New York: Oxford University. 

  19. Han, Y. Y. (2003). The Effect of Big Five Personality Factor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Master's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 Her, O. R. (2013). The Effects of Guided Imagery Program on Problem Behaviors and Neurophysiological Changes of Adolesc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Doctor's dissertation, Changwon University. 

  21. Hong, S. H. & Woo, M. J. (2013). Correlational analysis of competitive anxiety and frontal EEG asymmetry score.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24(2), 1-13. 

  22. Hwang, D. J. (2014).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Among Frontal Cortical Activation, Emotion, and Competitive Anxiety in Bowlers. Master's dissertation, Ulsan University. 

  23. Im, H. S. (2011).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Comparing EEG Asymmetry at Prefrontal Lobe with BIS/BAS. Doctor's dissertation, Seoul Venture University. 

  24. Jung, H. K. (2003). Effects of the Brain Laterality and Lateral Preferences on the MBTI Psychological Types. Master'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5. Kalat, J. W. (1999). Biological Psychology, 6th ed. Seoul:Sigma Press. 

  26. Kim, B. N., Kwon, J. S., Shin, M. S., Cho, S. C., & Hong, K. E. (2000). QEEG findings in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1), 208-216. 

  27. Kim, C. S. (2013). Personality type by brainwav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brain quotien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21C Social Welfare Researches, 10(2), 193-222. 

  28. Kim, D. G., Park, H. B., & Ahn, Y. W. (2005). Neurofeedback: Principles and clinical application.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3(2), 93-98. 

  29. Kim, D. J. (2004). A Study on analysis of EE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ersonalities. Journal of Industrial Science Researches, 22(1), 185-191. 

  30. Kim, Y. J. et al. (2000). Research articles : The evaluations of the functional state of the brain by brain wave measure during problem-Solving activities. Biology Education, 28(3), 291-301. 

  31. Klimesch, W. (1995). Memory processes described as brain oscillations in the EEG-alpha and theta bands. Psychology, 11, 134-143. 

  32. Levy, J. (1985). Right brain, left brain: Fact and fiction. Psychology Today, 19, 33-44. 

  33. Lubar, J. F. (2006). EEG biofeedback in the treatment of ADHD. Journal of Neurotherapy, 9(4), 5-34. 

  34. Maulsby, R. L. (1971). An illustration of emotionally evoked theta rhythm in infancy: Hedonic hypersynchrony. EEG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31, 10-14. 

  35. Nitschke, J. B., Heller, W., Etienne, M. A., Taitano, E. K., Cecola, T. A., & Miller, G. A. (1994). Moderating effects of exraversion on regional brain activity in anxiety(Abstract). Psychophysiology, 31, 572. 

  36. Park, M. W. (2004). Introduction to Neurofeedback. The Korean Society of Jungshin Science Institute, Seoul. 

  37. Park, S. H.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erebral lateralization and personalit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0(6), 121-144. 

  38. Ray, W. J. (1990). The electrocortical system. In J. T. Cacioppo & L. G. Tassinary (Eds.), Principals of Psychophysiology: Physical, Social and Inferential Elements, Cambrige, New York: Cambrige University Press, 385-412. 

  39. Shagass, C. (1972). Electrical activity of the brain. In N. S. Greenfield & R. H. Sternback (Eds.), Handbook of Psychophysiology, 263-328. New York: Holt, Rinehart & Wilson. 

  40. Shim, H. S. & Kang, S. M.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types, creative personality and brain prefere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y of Pychological Type, 11, 67-98. 

  41. Shin, M. S.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five Personality Traits and Academic Performances of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42. Tomarken, A. J., Davidson, R. J., & Wheeler. (1992). Individual differences in anterior brian asymmetry and fundamental dimensions of emo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4), 676-687. 

  43. Walter M., Yuichi S., & Ronald E. S. (2006), Introduction to Personality: Toward an Integration, 7th ed. Seoul; Sigma Press. 

  44. Yoo, T. Y., Lee, K. B., & Ashton, Michae C. (2004).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8(3), 225. 

  45. Yoo, T. Y. & Lee, D. H. (1997). The Relationships between Big 5 personality factors and job performance across a variety of job groups. Business Research Institute, 5, 69-94. 

  46. Zuckerman, M. (1994). Impulsive, unsocialized sensation seeking: The biological foundations of a basic dimension of personality. In J. E. Bates & T. D. Wachs (Eds.), Temperament: 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Interface of Biology and Behavior, 219-255. Hillsdale, NJ: Erlbaum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