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노 경험 회상시 특성 분노 수준에 따른 뇌 기능
Brain Function During Recall of Anger Experi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Trait Anger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1 no.3, 2018년, pp.49 - 60  

음영지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이경화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  손진훈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특성 분노는 분노 경험과 관련된 개인의 심리 특성 중 하나로, 특성 분노가 높은 이들은 낮은 이들에 비해 더 자주, 더 강하게, 더 길게 분노를 경험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분노를 경험하는 동안에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관찰하고, 활성화된 뇌 영역 중 특성 분노와 연관이 있는 영역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 참가자 35명을 대상으로 과거에 분노했던 기억을 회상하여 분노를 유발하는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의 뇌 기능을 측정하였다. 정서적 중립 사건을 회상하는 조건에 비해 분노 사건을 회상하는 조건에서 더 활성화된 뇌 영역은 우측 superior temporal gyrus (BA38), 좌측 inferior frontal gyrus (BA45), 우측 thalamus, 우측 insula (BA13), 양측 cuneus (BA17), 그리고 우측 cerebellum anterior lobe으로 나타났다. 분노 회상 시 뇌 활성화 정도와 특성 분노 점수 간 상관 분석 결과, 특성 분노 점수가 높을수록 분노 회상시 우측 insula의 활성화가 높았다. Insula가 정서 경험과 신체 내부감각수용기에서 오는 정보를 통합하여 자극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을 표상하는 영역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특성 분노가 높은 사람일수록 분노 자극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을 더 강하게 표상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분노의 개인차에 대한 뇌 기제를 규명한 것으로, 분노 및 분노 조절 관련 문제들에 대한 신경과학적 이해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it anger is one of the psychological traits associated with experiences of anger. Individuals with high trait anger become angry easily at trivial events, and experience anger more frequently, intensely, and over a longer dura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neural responses during experie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 분노를 경험했던 사건을 회상할 때의 뇌 활성화를 확인하고, 그 뇌 활성화와 특성 분노와의 연관성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가장 먼저, 분노를 경험하는 동안 활성화되는 뇌 영역 및 뇌 활성화 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억 회상을 통한 분노 정서 유발 과제를 사용하였다.
  • 이 과제는 과거에 특정 정서를 유발하는 기억을 회상하여 해당 정서를 유발하는 과제로 모든 실험 참가자에게 안정적이고 일관적으로 해당 정서를 유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효과적으로 분노 정서를 유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Mills & D'Mello, 2014). 그리고 본 연구의 목적인 분노 경험 시에 활성화된 뇌 영역 중에 특성 분노와 상관이 있는 영역을 조사하고자 한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분노”는 분노와 관련된 강력 범죄 증가로 인하여(Oh, 2017; Yeon &Ryu, 2015), 대중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은 분노 관련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 분노를 경험했던 사건을 회상할 때의 뇌 활성화를 확인하고, 그 뇌 활성화와 특성 분노와의 연관성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가장 먼저, 분노를 경험하는 동안 활성화되는 뇌 영역 및 뇌 활성화 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분노 경험 동안에 활성화되는 뇌 영역 중 특성 분노와 관련이 있는 뇌 영역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노 자극은 분노를 효과적으로 잘 유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 때문에, 특성 분노의 뇌 기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실제 분노를 경험하는 동안에 활성화되는 뇌 영역과 그 영역이 활성화되는 정도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특성 분노의 수준에 따라 분노 경험과 관련된 뇌 활성화가 다른지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분노 유발을 위하여 실험 참가자들에게 그들이 과거에 경험한 분노 사건을 회상하는 과제를 사용하였다. 실험 자극은 Sinha &Tuit (2012)가 표준화한 절차에 따라 ‘정서 유발 사건 질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 선행 연구에서는 특성 분노가 분노 얼굴 표정 인식에 의해 활성화되는 lateral dorsal amygdala와 정적 상관이 있고(Carré, Fisher, Manuck &Hariri, 2012), 휴지 상태에서의 OFCamygdala 연결성의 강도와는 부적 상관이 있음을 밝혔다(Fulwiler, King &Zhang, 2012). 이 연구들은 특성 분노와 정서 재인 또는 휴지 상태에 따른 뇌 기능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특성 분노는 개인의 분노 경험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성으로, 분노를 경험할 때 분노를 경험하는 강도와 분노 감정이 지속되는 정도에 개인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Deffenbacher et al.
  • MRI 촬영실에는 CCTV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실험자는 촬영실 밖에 있는 운영실(operating room)에서 CCTV와 연결된 관찰 모니터를 통해 MRI scanner 안에 있는 실험 참가자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실험자는 실험참가자가 실험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과제에 집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험 자극은 운영실(operating room)의 자극 제시용 컴퓨터 에 연결된 프로젝터를 통해 제시하였고, 실험 참가자는 머리 코일(head coil) 위에 장착된 거울을 통해 반사된 자극을 볼 수 있었다.
  • 실험이 끝나면, 실험자는 인터폰으로 실험 참가자의 상태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질문의 내용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자극에 집중을 잘 하였는지 여부와 졸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 후, 실험 참가자들은 MRI scanner 에서 나와 fMRI 실험에서 제시되었던 자극에 대한 심리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노는 무엇으로 인한 심리반응인가? 분노는 좌절, 위협 또는 모욕에 의해 일어나는 심리 반응으로, 분노를 일으킨 대상에게 보복을 하려는 잠재된 충동이다(Frost &Averill, 1982; Lazarus, 1991). 또한 긴장, 격분 등의 주관적인 느낌과 그에 따른 신경계의 활성화로 이루어진다(Spielberger et al.
분노를 경험하는 동안 주로 활성화되는 뇌 영역은 어디인가? 분노 경험시에 일어나는 또는 분노와 관련된 뇌 기제에 대한 fMRI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분노를 경험하는 동안에는 insula, inferior frontal cortex (IFG), 그리고 anterior temporal lobe (ATL) 등의 뇌 영 역이 주로 활성화된다고 알려져 있다(Lindquist, Wager, Kober, Bliss-Moreau &Barrett, 2012; Murphy, Nimmo-Smith &Lawrence, 2003; Phan, Wager, Taylor &Liberzon, 2002). 그러나 분노를 경험시 일어나는 뇌 활성화와 분노의 개인차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긴 했지만(Denson, Pedersen, Ronquillo &Nandy, 2009), 아직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심리 특성 중 상태특성 분노 이론에서 말하는 특성 분노란 무엇인가? , 1996). 상태특성 분노 이론에서는 특성 분노를 분노 경험에 대한 개인의 경향성으로 만성적이고 오래 지속되는 특성으로 정의한다(Spielberger, Jacobs, Russell &Crane, 1983). 특성 분노가 높은 사람은 특성 분노가 낮은 사람에 비해 더 많은 사건에서 분노를 빈번하게 경험하며, 분노 경험이 더 강하고, 더 오랫동안 지속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Bar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dolphs, R. (2003). Cognitive neuroscience: cognitive neuroscience of human social behaviour. Nature Reviews Neuroscience, 4(3), 165-178. DOI: 10.1038/nrn1056 

  2. Alia-Klein, N., Goldstein, R. Z., Tomasi, D., Woicik, P. A., Moeller, S. J., Williams, B., Craig, I. W., Telang, F., Biegon, A., Wang, G.-J., Fowler, J. S., & Volkow, N. D. (2009). Neural mechanisms of anger regulation as a function of genetic risk for violence. Emotion, 9(3), 385-396. DOI: 10.1037/a0015904 

  3. Allison, T., Puce, A., & McCarthy, G. (2000). Social perception from visual cues: role of the STS reg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4(7), 267-278. DOI: 10.1016/S1364-6613(00)01501-1 

  4. Baron, K. G., Smith, T. W., Butner, J., Nealey-Moore, J., Hawkins, M. W., & Uchino, B. N. (2007). Hostility, anger, and marital adjustment: concurrent and prospective associations with psychosocial vulnerability.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30(1), 1-10. DOI: 10.1007/s10865-006-9086-z 

  5. Bechara, A., & Naqvi, N. (2004). Listening to your heart: interoceptive awareness as a gateway to feeling. Nature Neuroscience, 7(2), 102-103. DOI: 10.1038/nn0204-102 

  6. Bettencourt, B., Talley, A., Benjamin, A. J., & Valentine, J. (2006). Personality and aggressive behavior under provoking and neutral conditions: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32(5), 751-777. DOI: 10.1037/0033-2909.132.5.751 

  7. Britton, J. C., Taylor, S. F., Sudheimer, K. D., & Liberzon, I. J. N. (2006). Facial expressions and complex IAPS pictures: common and differential networks. Neuroimage, 31(2), 906-919. DOI: 10.1016/j.neuroimage.2005.12.050 

  8. Carre, J. M., Fisher, P. M., Manuck, S. B., & Hariri, A. R. (2012). Interaction between trait anxiety and trait anger predict amygdala reactivity to angry facial expressions in men but not women.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7(2), 213-221. DOI: 10.1093/scan/nsq101 

  9. Coccaro, E. F., McCloskey, M. S., Fitzgerald, D. A., & Phan, K. L. (2007). Amygdala and orbitofrontal reactivity to social threat in individuals with impulsive aggression. Biological Psychiatry, 62(2), 168-178. DOI: 10.1016/j.biopsych.2006.08.024 

  10. Craig, A. (2002). How do you feel? interoception: the sense of the physiological condition of the body. Nature Reviews Neuroscience, 3(8), 655-666. DOI: 10.1038/nrn894 

  11. Craig, A. (2009). Emotional moments across time: a possible neural basis for time perception in the anterior insula.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364(1525), 1933-1942. DOI: 10.1098/rstb.2009.0008 

  12. Crick, N. R., & Dodge, K. A. (1994). A review and reformulation of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mechanisms in children's social adjustment. Psychological Bulletin, 115(1), 74-101. DOI: 10.1037/0033-2909.115.1.74 

  13. Damasio, A. R., Grabowski, T. J., Bechara, A., Damasio, H., Ponto, L. L., Parvizi, J., & Hichwa, R. D. (2000). Subcortical and cortical brain activity during the feeling of self-generated emotions. Nature Neuroscience, 3(10), 1049-1056. DOI: 10.1038/79871 

  14. Deffenbacher, J. L., Oetting, E. R., Thwaites, G. A., Lynch, R. S., Baker, D. A., Stark, R. S., Thacker, S., Eiswerth-Cox, L. (1996). State-trait anger theory and the utility of the trait anger scal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2), 131-148. DOI: 10.1037/0022-0167.43.2.131 

  15. Denson, T. F., Pedersen, W. C., Ronquillo, J., & Nandy, A. S. (2009). The angry brain: neural correlates of anger, angry rumination, and aggressive personality.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21(4), 734-744. DOI: 10.1162/jocn.2009.21051 

  16. Dougherty, D. D., Shin, L. M., Alpert, N. M., Pitman, R. K., Orr, S. P., Lasko, M., Macklin, M. L., Fischman, A. J. & Rauch, S. L. (1999). Anger in healthy men: a PET study using script-driven imagery. Biological Psychiatry, 46(4), 466-472. DOI: 10.1016/S0006-3223(99)00063-3 

  17. Eckhardt, C. I., & Cohen, D. J. (1997). Attention to anger-relevant and irrelevant stimuli following naturalistic insul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3(4), 619-629. DOI: 10.1016/S0191-8869(97)00074-3 

  18. Fabiansson, E. C., Denson, T. F., Moulds, M. L., Grisham, J. R., & Schira, M. M. (2012). Don't look back in anger: Neural correlates of reappraisal, analytical rumination, and angry rumination during recall of an anger-inducing autobiographical memory. Neuroimage, 59(3), 2974-2981. DOI: 10.1016/j.neuroimage.2011.09.078 

  19. Frost, W. D., & Averill, J. R. (1982).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everyday experience of anger. In J. R. Averill (Eds.), Anger and Aggression (pp. 281-316). New York, NY: Springer. DOI: 10.1007/978-1-4612-5743-1_13 

  20. Fulwiler, C. E., King, J. A., & Zhang, N. (2012). Amygdala-orbitofrontal resting 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is associated with trait anger. Neuroreport, 23(10), 606-610. DOI: 10.1097/WNR.0b013e3283551cfc 

  21. Hahn, D. W., Chon, K. K., Lee, C. H., & Spielberger, C. D. (1997).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ger and blood pressur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1), 60-78. Retrieved from http://kiss.kstudy.com 

  22. Harmon-Jones, E. (2007). Trait anger predicts relative left frontal cortical activation to anger-inducing stimuli.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66(2), 154-160. DOI: 10.1016/j.ijpsycho.2007.03.020 

  23. Hirayama, K. (2015). Thalamus and emotion. Brain and Nerve Shinkei Kenkyu no Shinpo, 67(12), 1499-1508. DOI: 10.11477/mf.1416200328 

  24. Kreibig, S. D. (2010).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in emotion: a review. Biological Psychology, 84(3), 394-421. DOI: 10.1016/j.biopsycho.2010.03.010 

  25. Lazarus, R. S. (1991). Progress on a cognitive-motivational-relational theory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46(8), 819-834. DOI: 10.1037//0003-066X.46.8.819 

  26. Lee, Y. C., Jang, E. H., Chung, S. C., & Sohn, J. H. (2007). ANS responses in negative emotions induced by audio-visual film clips.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9(4), 471-480. Retrieved from http://www.ndsl.kr/ 

  27. Lindquist, K. A., Wager, T. D., Kober, H., Bliss-Moreau, E., & Barrett, L. F. (2012). The brain basis of emotion: a meta-analytic review.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35(3), 121-143. DOI: 10.1017/S0140525X11000446 

  28. Mazzola, V., Arciero, G., Fazio, L., Lanciano, T., Gelao, B., Popolizio, T., Vuilleumier, P., Bondolfi, G., & Bertolino, A. (2016). What impact does an angry context have upon us? The effect of anger on functional connectivity of the right insula and superior temporal gyri. Frontiers in Behavioral Neuroscience, 10, 109. DOI: 10.3389/fnbeh.2016.00109 

  29. Mills, C., & D'Mello, S. (2014). On the validity of the autobiographical emotional memory task for emotion induction. PloS One, 9(4), e95837. DOI: 10.1371/journal.pone.0095837 

  30. Murphy, F. C., Nimmo-Smith, I., & Lawrence, A. D. (2003). Functional neuroanatomy of emotions: a meta-analysis. Cognitive, Affective, & Behavioral Neuroscience, 3(3), 207-233. DOI: 10.3758/CABN.3.3.207 

  31. Oh, S. Y. (2017). Factors in crime of passion and countermeasures,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26(1), 39-65. DOI: 10.21181/KJPC.2017.26.2.37 

  32. Paulus, M. P., Feinstein, J. S., Leland, D., & Simmons, A. N. (2005). Superior temporal gyrus and insula provide response and outcome-dependent information during assessment and action selection in a decision-making situation. Neuroimage, 25(2), 607-615. DOI: 10.1016/j.neuroimage.2004.12.055 

  33. Pawliczek, C. M., Derntl, B., Kellermann, T., Gur, R. C., Schneider, F., & Habel, U. (2013). Anger under control: neural correlates of frustration as a function of trait aggression. PloS One, 8(10), e78503. DOI: 10.1371/journal.pone.0078503 

  34. Phan, K. L., Wager, T., Taylor, S. F., & Liberzon, I. (2002). Functional neuroanatomy of emotion: a meta-analysis of emotion activation studies in PET and fMRI. Neuroimage, 16(2), 331-348. DOI: 10.1006/nimg.2002.1087 

  35. Putman, P., Hermans, E., & van Honk, J. (2004). Emotional stroop performance for masked angry faces: it's BAS, not BIS. Emotion, 4(3), 305-311. DOI: 10.1037/1528-3542.4.3.305 

  36. Schum, J. L., Jorgensen, R. S., Verhaeghen, P., Sauro, M., & Thibodeau, R. (2003).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and ambulatory blood pressure: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6(5), 395-415. DOI: 10.1023/A:1025767900757 

  37. Singer, T., Seymour, B., O'doherty, J., Kaube, H., Dolan, R. J., & Frith, C. D. (2004). Empathy for pain involves the affective but not sensory components of pain. Science, 303(5661), 1157-1162. DOI: 10.1126/science.1093535 

  38. Sinha, R., & Tuit, K. (2012). Imagery Script Development Procedures Manual. North Charleston, SC: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Retrieved from http://books.google.co.kr/ 

  39. Smith, P., & Waterman, M. (2003). Processing bias for aggression words in forensic and nonforensic samples. Cognition & Emotion, 17(5), 681-701. DOI: 10.1080/02699930302281 

  40. Smith, P., & Waterman, M. (2005). Sex differences in processing aggression words using the emotional stroop task. Aggressive Behavior, 31(3), 271-282. DOI: 10.1002/ab.20071 

  41. Smith, T. W., Glazer, K., Ruiz, J. M., & Gallo, L. C. (2004). Hostility, anger, aggressiveness, and coronary heart disease: an interpersonal perspective on personality, emotion, and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72(6), 1217-1270. DOI: 10.1111/j.1467-6494.2004.00296.x 

  42. Spielberger, C. D. Johnson, E. H., Russell, S. F., Crane, R. J., Jacobs, G. A., & Worden, T. J. (1985).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n anger expression scale. In M. A. Chesney & R. H. Rosenman (Eds.), Anger and Hostility in Cardiovascular and Behavioral Disorders, (pp. 5-30). Washington DC: Hemisphere. Retrieved from http://books.google.co.kr/ 

  43. Spielberger, C. D., Jacobs, G., Russell, S., & Crane, R. S. (1983). Assessment of anger: the state-trait anger scale. In J. N. Butcher & C. D. Spielberger (Eds.),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Vol. 2, pp. 159-187).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Retrieved from http://books.google.co.kr/ 

  44. Tafrate, R. C., Kassinove, H., & Dundin, L. (2002). Anger episodes in high-and low-trait-anger community adult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8(12), 1573-1590. DOI: 10.1002/jclp.10076 

  45. Todorov, A., & Bargh, J. A. (2002). Automatic sources of aggression.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7(1), 53-68. DOI: 10.1016/S1359-1789(00)00036-7 

  46. van Honk, J., Tuiten, A., van den Hout, M., Putman, P., de Haan, E., & Stam, H. (2001). Selective attention to unmasked and masked threatening words: relationships to trait anger and anxie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4), 711-720. DOI: 10.1016/S0191-8869(00)00160-4 

  47. Wager, T. D., & Barrett, L. F. (2017). From affect to control: Functional specialization of the insula in motivation and regulation. BioRxiv, 102368. 

  48. Wilkowski, B. M., Robinson, M. D., Gordon, R. D., & Troop-Gordon, W. (2007). Tracking the evil eye: trait anger and selective attention within ambiguously hostile scen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3), 650-666. DOI: 10.1016/j.jrp.2006.07.003 

  49. Xu, J., Gannon, P. J., Emmorey, K., Smith, J. F., & Braun, A. R. (2009). Symbolic gestures and spoken language are processed by a common neural system.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6(49), 20664-20669. DOI: 10.1073/pnas.0909197106 

  50. Yeon, S. J., & Ryu, C. H. (2015). Recent Developments of Anger Management Virtual Reality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VR-CBT) Program for Juvenile Offenders (Report No. 15-AB-04). Retrieved from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Website: https://www.kic.re.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