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사성폐기물 신분류기준을 고려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핵종재고량 예측
Prediction of Radionuclide Inventory for the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by the Radioactive Waste Classific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14 no.1, 2016년, pp.63 - 78  

정강일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정노겸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문영표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정미선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박진백 (한국원자력환경공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meet nuclear regulatory requirements, more than 95% individual radionuclides in the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inventory have to be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radionuclide inventory has been estimated by taking the long-term radioactive waste generation, the development p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특성 및발생현황 그리고 발생전망을 정리하였다. 또한 국내 핵종재고량 평가방법[3]을 적용하여 2014년까지 수집된 방사성폐기물 발생량 자료를 기반으로 처분시설 별 처분가능한 방사성폐기물의 분류 및 전체 처분부지(80만 드럼)의 핵종재고량을 예측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특성 및발생현황 그리고 발생전망을 정리하였다. 또한 국내 핵종재고량 평가방법[3]을 적용하여 2014년까지 수집된 방사성폐기물 발생량 자료를 기반으로 처분시설 별 처분가능한 방사성폐기물의 분류 및 전체 처분부지(80만 드럼)의 핵종재고량을 예측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고리 1호기(600 MWe)를 해체 시 발생하는 해체폐기물의 양은 대략 14,000 드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8].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 해체폐기물의 핵종재고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관리 시행계획[2]의 장기발생량 예측결과에 근거하여 해체시점과 해체폐기물의 발생시점 및 발생량을 반영하였다.
  • 예측결과, 중준위 폐기물을 처분하는 1단계 처분시설이 가장 높은 핵종재고량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중수로발전소의 폐수지와 폐필터가 높은 핵종재고량을 나타냈다. 이러한 핵종 재고량 예측결과를 기반으로 방사성폐기물의 신분류기준에 맞추어 향후 경주 처분시설의 안정적인 종합개발에 반영하고자 한다. 또한 전체 처분시설에 대한 종합개발이 안전성평가를 통한 처분시설 및 개발단계 별 safety case의 구축을 통해 안전성 최적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설 설정

  • 재포장 드럼은 200 L 포장물의 방사능량을 동일하게 가정하였으며, 초고압압축 폐기물은 200 L 포장물 방사능량의2배를 적용하였다. 고리 4-pack 폐기물은 200 L드럼의 4배를 적용하고, 고리 원형콘크리트는 폐수지 200 L 1개를 재포장하기 때문에 200 L의 방사능량을 동일하게 가정하였다. 폴리머 콘크리트(PC-HIC)는 농축폐액 200 L 드럼 4개를 재포장하기때문에 200 L 드럼의 4개의 방사능량을 적용하였다.
  • 원자력발전소 해체폐기물의 방사능량은 중수로를 제외한 200 L 드럼 중 준위 별로 가장 높은 폐기물로 가정하였다. 극저준위에는 농축폐액 시멘트 고화폐기물의 방사능량, 저준위에는 폐수지 건조의 방사능량, 중준위에는 폐수지 건조의 방사능량으로 가정하여 적용하였다.
  • 처분대상 개봉선원 폐기물의 총 저장량은 200 L 드럼 기준으로 5,566 드럼이며, 개봉선원 폐기물 중 약 80%가 가연성 폐기물이다. 방사성동위원소 폐기물은 모두 200 L 드럼에 포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였다.
  • 처분대상 방사성폐기물(80만 드럼)은 중준위는 5만 드럼, 저준위는 39만 드럼, 극저준위는 36만 드럼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산업체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은 기타폐기물로 분류하였으며, 분석결과 저준위로 분류되어 2단계 처분시설에 처분을 가정하였다.
  • 원자력발전소 운영폐기물 중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 폐기물을 우선 처분한다고 가정하였다.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 폐기물 종류는 폐수지 중 HIC-FE, C1형, C2형, 고리원형, 시멘트고화 재포장(320 L), 건조 재포장(320 L)이며, 농축폐액 중에는 C1형, C2형, 고리 4-pack, 시멘트고화 재포장(320 L),농축폐액 고화체(320 L), 농축폐액 고화체 재포장(320 L), 농축폐액 폴리머 콘크리트 PC-HIC(860 L), 폐필터 중 C2형, C4형, 콘크리트라이닝 재포장(320 L)이고, 잡고체 중에는 일반잡고체 재포장(320 L), 초고압압축(320 L), 차폐잡고체 재포장(320 L), 중수로 초고압압축(320 L)이 이에 해당한다.
  • 원자력발전소 해체폐기물의 발생시점을 2030년으로 가정하였으며 원자력발전소의 운영계획에 따라 2070년부터 2080년 사이에는 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이 없기 때문에 해체폐기물의 발생량이 동일하게 적용하였다[2]. Table 4는 발생원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발생량 추이를 요약하였다.
  • 원자력발전소 해체폐기물의 방사능량은 중수로를 제외한 200 L 드럼 중 준위 별로 가장 높은 폐기물로 가정하였다. 극저준위에는 농축폐액 시멘트 고화폐기물의 방사능량, 저준위에는 폐수지 건조의 방사능량, 중준위에는 폐수지 건조의 방사능량으로 가정하여 적용하였다.
  • 원자력발전소의 운영 시 호기 당 연간 100 드럼의 발생과 원자력발전소의 해체 시 호기 당 14,000 드럼의 발생을 가정하였다. 특히, 원자력발전소 해체 시 발전소 2개 단위로 해체하며 운영수명 종료 시 6년 간 관리 후 5년 간 해체를 가정하였다.
  • 재포장 드럼은 200 L 포장물의 방사능량을 동일하게 가정하였으며, 초고압압축 폐기물은 200 L 포장물 방사능량의2배를 적용하였다. 고리 4-pack 폐기물은 200 L드럼의 4배를 적용하고, 고리 원형콘크리트는 폐수지 200 L 1개를 재포장하기 때문에 200 L의 방사능량을 동일하게 가정하였다.
  • 중준위(5만 드럼) 폐기물은 해체 폐기물 및 비원전폐기물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발생한 중준위 과 발생비율을 적용하여 예측하였다. 저준위 및 극저준위도 중준위와 동일한 가정을 적용하여 최적화하였다.
  • DTC방법은 ISO에서 주요 핵종의 핵종재고량 평가방법으로 감마핵종 분석방법과 함께 표준방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미국 DOE의 TRU폐기물의 방사능분석 및 스페인, 핀란드에서도 DTC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중수로 폐수지의 경우는 방사화학분석법으로 주요 핵종의 비방사능을 구한 후 전체 폐수지가 균질하다는 가정을 적용하여 방사능량을 예측하였다.
  • 원자력발전소의 운영 시 호기 당 연간 100 드럼의 발생과 원자력발전소의 해체 시 호기 당 14,000 드럼의 발생을 가정하였다. 특히, 원자력발전소 해체 시 발전소 2개 단위로 해체하며 운영수명 종료 시 6년 간 관리 후 5년 간 해체를 가정하였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연간 364 드럼이 발생하며 한전원자력연료㈜는 연간 350 드럼 그리고 RI폐기물은 연간 33 드럼 발생을 가정하였다.
  • 폐기물 준위 별 평균 방사능과 개별 처분시설의 처분수량에 따라 처분시설 별 핵종재고량을 예측하게 되며 이때 다음의 가정사항을 적용하였다.
  • 한국원자력연구원 폐기물은 원자력발전소 운영폐기물 중 폐기물 종류가 유사한 폐기물을 참조하여 방사능량을 가정하였으며, 농축폐액은 시멘트고화, 폐수지는 건조, 폐필터는 콘크리트 라이닝, 잡고체는 일반잡고체를 적용하였다.
  • 특히, 원자력발전소 해체 시 발전소 2개 단위로 해체하며 운영수명 종료 시 6년 간 관리 후 5년 간 해체를 가정하였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연간 364 드럼이 발생하며 한전원자력연료㈜는 연간 350 드럼 그리고 RI폐기물은 연간 33 드럼 발생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처분대상 핵종재고량의 예측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처분시설의 장기종합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기 위해 부지 내 전체 처분대상 핵종재고량의 예측은 필수적이다. 또한 처분시설의 핵종재고량은 처분시설의 설계를 위한 기반자료 및 처분시설의 안전성평가 수행을 위한 기초입력데이터로 사용되며, 처분시설의 Safety Case 구축을 위해 필요하다.
국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이하 처분시설)에 대한 핵종재고량은 무엇을 규명하여야 하는가? 국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이하 처분시설)에 대한 핵종재고량은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1]에 따라 전체 방사성 핵종의 95%이상을 규명하여야 하며, 주요 핵종에 대해서는 그 농도를 규명하여야 한다. 경주 처분시설 부지에는 1단계 동굴처분시설이 운영 중이며, 향후 추가 처분시설을 증설할 계획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Notice of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No. 2015-04, Acceptance Criteria for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2014). 

  2. Korea Radioactive Waste Agency, Management plan for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2015). 

  3. Korea Radioactive Waste Agency, Safety Analysis Report for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on the Planning Phase (2008). 

  4. Korea Hydro and Nuclear Power, Surface dose of low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2014). 

  5.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Activity of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2014). 

  6.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Nuclear Fuel Company, Activity of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2014). 

  7.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Managing Low Radioactivity Material for the Decommissioning for Nuclear Facilities Technical Report Series No. 462 (2008). 

  8. J.S. Song, Y.G. Kim, and S.H. Lee, "A pre-study on the Estimation of NPP Decommissioning Radioactive Waste and Disposal costs for Applying Now Classification Criteria", J.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13(1), 45-53 (2015). 

  9.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Classification of Radioactive Waste, General safety Guide No.GSG-1, Vienna (2009). 

  10. Notice of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No. 2014-03, Guidelines for Radioactive waste Classification and Clearance Standards (2014). 

  11. Korea Hydro and Nuclear Power, Development of a Computer Program for Evaluating Radioisotope Inventory of Radioactive Wastes from Nuclear Power Plants : Appendix 2, User Guide, 2010-50003339-0168TR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