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적인 식품 개발에 있어서 SIT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H사의 신제품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IT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New Food Products - Focusing on the New Products of 'H' Company - 원문보기

品質經營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v.44 no.1, 2016년, pp.95 - 108  

허건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송해근 (동의과학대학교 경영정보계열) ,  심재헌 (한국야쿠르트 중앙연구소) ,  박영택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duct creativity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new product in the food industry. In addition, the applicability of creative thinking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new food product is examined. Methods: In this study, OPA(Original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식품산업에서도 신제품의 성공을 위한 창의성 도구의 활용에 대해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식품산업에서 제품의 창의성이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둘째, 창의적인 식품 아이디어 도출에 발명적 사고 도구(SIT: Systematic Inventive Thinking)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해 독창성-실용성 분석(OPA: Originality-Practicality Analysis) 도구를 이용하여 신제품의 창의성 수준을 네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분류 결과에 따른 재무적 성과 차이의 유의성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 최근 들어 신제품의 창의성이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Na 2014; Yun 2014).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신제품 창의성의 효과가 식품산업에서도 유효한지 검증해 보고, 창의적인 식품 개발에 있어 창의성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해 보았다. 국내 식품기업인 H사의 신제품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OPA 결과로부터 식품산업에서도 실용성과 독창성이 높은 창의적인 신제품의 재무적 성과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의적 평가 방법의 기본적인 틀은? CAT는 Amabile(1982)에 의해 체계화된 창의성 평가 방법으로,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창의적이라고 서로 합의할 수 있는 암묵적인 준거에 의해서 산물의 창의성을 평가할 수 있다는 논리에 근거한다. 이 방법의 기본적인 틀은 해당 영역에 경험이 많거나, 영역에 대한 훈련을 받은 적이 있는 적절한 관찰자가 개별적으로 제시된 산물을 일정한 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게 하는 것이다. 신뢰도 높은 평가결과를 얻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절한 평가자를 확보하는 것이다.
CAT이란? 현재까지 산출물에 대한 창의적 평가를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되는 방법은 합의적 평가 방법(CAT: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이다. CAT는 Amabile(1982)에 의해 체계화된 창의성 평가 방법으로,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창의적이라고 서로 합의할 수 있는 암묵적인 준거에 의해서 산물의 창의성을 평가할 수 있다는 논리에 근거한다. 이 방법의 기본적인 틀은 해당 영역에 경험이 많거나, 영역에 대한 훈련을 받은 적이 있는 적절한 관찰자가 개별적으로 제시된 산물을 일정한 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게 하는 것이다.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창의성의 세 가지 역할은? 창의성은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세 가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Kang 2014). 첫째, 창의성은 기업 구성원들이 신제품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혁신의 개념화 과정은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창출, 수용, 실행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따라서 독창적이며 유용한 아이디어의 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창의성은 혁신의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Scott and Bruce 1994). 둘째, 창의성은 기업의 성과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인 제품차별화를 가능하게 한다(Im and Workman 2004). 독창적이고 유용한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제품차별화는 경쟁사의 제품에 비해 독특함, 품질적 우월성, 가격대비 가치, 기술적인 성능 등을 통해서 뛰어난 신제품 가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창의적 신제품 가치는 고객의 충성도와 만족도를 높여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킨다(Sethi et al. 2001). 셋째, 자원기반이론(Resource based theory)의 관점에서 신제품 창의성은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가능하게 한다(Hunt and Morgan 1995). 자원기반 이론은 차별적이고 희소성을 지닌 쉽게 모방할 수 없는 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Barney 1991), 신제품 창의성은 기업의 독차적인 혁신 기반역량에 의한 중요한 무형자원으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abile, T. M. 1982.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5):997-1013. 

  2.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2):357-76. 

  3. Altshuller, G. S. 1984. Creativity as an Exact Science: The Theory of Solution of Inventive Problems. New York: Gordon and Breach. 

  4. Barney, J. 1991.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17(1):99-120. 

  5. Choi, H, Ree, S. 2010. "An Empirical Study on How the Quality Attribute and the Perceived Quality Effect to the Customer Attitude for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38(1):108-114. 

  6. Costa, A. I. A., and Jongen, W. M. F. 2006. "New insights into consumer-led food product development." Trends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7:457-465 

  7. Finke, R. A. 1990. Creative Imagery: Discoveries and Inventions in Visualiza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8. Goldenberg, J. 1999. "Toward Identifying the Inventive Templates of New Products : A Channeled Ideation Approach."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6(May):200-210. 

  9. Goldenberg, J. 2003. "Finding Your Innovation Sweet Spot." Havard Business Review. 

  10. Horowitz, R. 2001. "ASIT's Five Thinking Tools with Examples." TRIZ Journal September:9-15. 

  11. Hunt, S., and Morgan, R. 1995. "The Comparative Advantage Theory of Competition." Journal of Marketing 59(2):1-15. 

  12. Im, S., and Workman, J. P. 2004. "Market Orientation and New Product Performance in High-Technology Firms." Journal of Marketing 68(2):114-32. 

  13. Jung, D., and Kim, H. 2006.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 Traits and New product Creativity on Development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2):109-32. 

  14. Kang, S., Hur, W, Park, K. 2014. "The sources and roles of new product creativity for successful new product development."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9(4):123-47. 

  15. Ljas, A. 2014. "Consumer-led new product development. case: dairy industry." MS diss., Lappeenranta University of Technology. 

  16. Linnemann, A. R., Benner, M., Verkerk, R. van Boekel, M. A. 2006. "Consumer-Driven Food Product Development."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17(4):184-90. 

  17. Lundahl, D. 2011. Breakthrough Food Product Innovation Through Emotions Research: Eliciting Positive Consumer Emotion. London: Academic Press. 

  18. Mayer, R. 1999. "Fifty Years of Creativity Research." In Sternberg, R. J.(Ed) Handbook of Creativity. 449-460.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Moskowitz, H., and Hartmann, J. 2008. "Consumer Research: Creating a Solid Base for Innovative Strategies."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19(11):581-89. 

  20. Na, Y. 2014. "The effect of new product creativity on market performance-Focused on Quirky Products-." MS diss., Sungkyunkwan University. 

  21. Paletz, S., and Peng, K. 2008. "Implicit Theories of Creativity Across Cultures: Novelty and Appropriateness in Two Product Domain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9(3):286-302. 

  22. Park, Y., Kim, S. 1998. "Application of Creativity Techniques to New Product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26(4):202-218. 

  23. Park, Y. 2015. "Quality Management and Creative Innov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43(1):1-10. 

  24. Scott, S. G., and Bruce, R. A. 1994.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3):580-607. 

  25. Sethi, R., Smith, D. S., and Park, C. W. 2001. "Cross-Functional Product Development Teams Creativity and Innovativeneness of New Consumer Produ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8:73-85 

  26. Stern, Y., Taragin, R., and Larry, S. 2007. "New Thought for Food." Food Technology 61(19): 34-40. 

  27. Stewart-Knox, B., Parr, H., Bunting, B., and Mitchell, P. C. 2003. "A Model for Reduced Fat Food Product Development Succes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4:583-93. 

  28. Van Trijp, H. C. M., and van Kleef, E. 2008. "Newness, Value and New Product Performance."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19(11):562-73. 

  29. Winger, R., and Wall, G. 2006. "Food product innovation: a background paper (Agricultural and Food Engineering Working Document 2)." Rom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30. Yun, D. 2014. "The inventive thinking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roducts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mobile phone cameras." MS diss., Sungkyunkwan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