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ffects of Differential Stability on Control of Multi-Joint Coordination in the Upper Extremity: A Torque Component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JKPT =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28 no.1, 2016년, pp.8 - 13  

Ryu, Young Uk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Shin, Hwa Kyung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control of upper limb multi-joint movements with differential coordination stability. To achieve the goals of the study, torque analyses were utilized to answer questions about how torque components were differed among various elbow-w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토크 요소 분석을 통하여 상지 다관절 운동의 조절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팔꿈지-손목 관절의 협응 과제 안정성에 따라 원위 및 근위관절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협응 패턴의 안정성에 상관없이 근위관절인 팔꿈치관절의 운동은 근육의 힘이 주요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원위관절인 손목관절에서는 근육 힘의 조절이 협응 패턴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 결과는 협응 패턴의 안정성에 상관없이 근위관절인 팔꿈치관절의 운동은 근육의 힘이 주요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원위관절인 손목관절에서는 근육 힘의 조절이 협응 패턴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고찰하고 인체 다관절 운동의 조절 및 재활에 주는 암시에 대해 토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상지 다관절 운동을 이용하여 훈련 없이 하기 어려운 협응 과제를 수행할 때, 원위관절과 근위관절의 토크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팔꿈치 관절과 손목 관절 사이의 상대 위상 0°, 90°, 180°에 대한 협응 과제를 적용하였다.
  • 본 연구는 토크 요소 분석을 통하여 상지 다관절 운동의 조절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팔꿈지-손목 관절의 협응 과제 안정성에 따라 원위 및 근위관절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10 이 수학적 모델이 예측하는 바는 양손 협응 운동,11 다관절 협응 운동,12,13 외부 자극과 운동 간의 협응,14-16 협응 패턴의 지각17,18 등의 연구 결과에서도 확인되었다. 연구 가설은 패턴에 상관없이 근위관절인 팔꿈치관절은 근육이 주요 운동 생성의 힘이 될 것이며, 원위관절인 손목관절에서는 패턴의 성격에 따라 MT의 사용량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Oh TY, Ha JY, Lee EJ et al. The effects of badminton on the shoulder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J Kor Soc Phys Ther. 2013;25:29-35. 

  2. Galloway JC, Koshland GF. General coordination of shoulder, elbow and wrist dynamics during multijoint arm movements. Exp Brain Res. 2002;142:163-80. 

  3. Huang L, Liu Y, Wei S et al. Segment-interaction and its relevance to the control of movement during sprinting. J Biomech. 2013;46:2018-23. 

  4. Dounskaia NV, Swinnen SP, Walter CB, et al. Hierarchical control of different elbow-wrist coordination patterns. Exp Brain Res. 1998;121:239-54. 

  5. Koshland GF, Galloway JC, Nevoret-Bell CJ. Control of the wrist in three-joint arm movements to multiple directions in the horizontal plane, J Neurophysiol. 2000;83:3188-95. 

  6. Dounskaia NV, Ketcham CJ, Stelmach G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control of various drawing movements. Exp Brain Res. 2002; 146:11-25. 

  7. Hiroshima M, Kudo K, Ohtsuki T. Utilization and compensation of interaction torques during ball-throwing movements. J Neurophysiol. 2003;98:1784-96. 

  8. Hirashima M, Kudo K, Watarai K. Control of 3D limb dynamics in unconstrained overarm throws of different speeds performed by skilled baseball players. J Neurophysiol. 2007;97:680-91. 

  9. Debicki DB, Watts S, Gribble PL et al. A novel shoulder-elbow mechanism for increasing speed in a multijoint arm movement. Exp Brain Res. 2010;203:601-13. 

  10. Haken H, Kelso JAS, Bunz H. A theoretical model of phase transitions in bimanual coordination. Bio Cybern. 1985;51:347-56. 

  11. Ryu YU, Buchanan JJ. Amplitude scaling in a bimanual circle-drawing task: pattern switching and end-effector variability. J Motor Behav. 2004;36:265-79. 

  12. Buchanan JJ, Kelso JAS. Posturally induced transitions in rhythmic multijoint limb movements. Exp Brain Res. 1993;94:131-42. 

  13. Buchanan JJ. Learning a single limb multijoint coordination pattern: the impact of a mechanical constraint on the coordination dynamics of learning and transfer. Exp Brain Res. 2004;156:39-54. 

  14. Ryu YU, Buchanan JJ. Learning an environment-actor coordination skill: visuomotor transformation and coherency of perceptual structure. Exp Brain Res. 2009;196:279-93. 

  15. Ryu YU. Learning a single Joint perception-action coupling: A pilot study. J Kor Soc Phys Ther. 2010;22:43-52. 

  16. Ryu YU, Buchanan JJ. Accuracy, stability, and corrective behavior in a visuomotor tracking task: a preliminary study. PLoS One. 2012;7:e38537. 

  17. Bingham GP, Schmidt RC, Zaal, FTJM. Visual perception of the relative phasing of human limb movements. Percept Psychophys. 1999;61:246-58. 

  18. Ryu YU. Visual Perception Dynamics of Relative Phase Coordination Pattern with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Using a Background Grid.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2012;23:409-24. 

  19. Coren S. The lateral preference inventory for measurement of handedness, footedness, eyedness, and eardness. Norms for young adults. Bull Psychon Soc. 1993;31:1-3. 

  20. Swinnen SP. Intermanual coordination: from behavioural principles to neural-network interactions. Nature Rev Neuro. 2002;3:348-59. 

  21. Gray S, Watts S, Debicki D et al. Comparison of kinematics in skilled and unskilled arms of the same recreational baseball players, J Sport Sci. 2006;24:1183-94. 

  22. Furuya S, Osu R, Kinoshita H. Effective utilization of gravity during arm downswing in keystrokes by expert pianists, Neuroscience. 2009;164: 822-31. 

  23. Vereijken B, Emmerik REV, Whiting HTA et al. Free(z)ing degrees of freedom in skill acquisition. J Mot Behav. 1992;24:133-42. 

  24. Mattos D, Schoner G, Zatsiorsky VM et al. Task-specific stability of abundant systems: structure of variance and motor equivalence. Neuroscience. 2015;310:600-15. 

  25. Schaefer SY, Dibble LE, Duff K. Efficacy and feasibility of functional upper extremity task-specific training for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cognitive impairment. Neurorehab neural repair. 2015;29:636-44. 

  26. Winstein CJ, Wolf SL, Dromerick AW et al. Effect of a Task-Oriented Rehabilitation Program on Upper Extremity Recovery Following Motor Stroke: The ICARE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2016;315:571-8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